
총 627개
-
실험 장비 사용법 및 Thevenin 등가회로_예비레포트2025.01.091.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Power supply는 전력선에 의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만들어주는 기기입니다. 이상적인 Power supply는 출력되는 전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출력 전류에 따라 출력 전압이 영향을 받습니다. Power supply의 전력선을 연결하고 전원을 켠 후, 케이블을 통해 구성한 회로에 전원을 연결합니다. Power supply의 Output ON/OFF 버튼으로 채널의 출력을 동작시키며 다이얼을 통해 해당 전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2025.01.09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2025.05.14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고정저항(10 kΩ, 1/4 W, 5%, 30개)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측정 회로도와 DMM 조작 방법, 평균값과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 계산 및 의미, 식스시그마 개념 등을 다루었습니다. 또한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감소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가변저항 측정 방법과 4-wire 측정법에 대해서도 설명하였습니다. 2. 직류 전압 측정 DMM을 사용하여 6 V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과 전압 안정 직류 전원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회로도 및 조작 방법을 ...2025.05.14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5.151. DMM, Oscilloscope, 함수발생기의 접지상태와 내부연결 DMM, Oscilloscope, 함수발생기의 접지상태와 내부연결, 입력저항을 고려하여 이들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다. 모든 전압측정 실험에서 수식을 통한 이론값을 이용하여 결과값을 추정하였고 이론값과 측정값의 오차가 모두 0.6%~1.9%이내의 오차로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전압 측정 실험 DMM을 이용하여 교류전압 측정, 오실로스코프와 DMM을 이용한 전압 측정, DC+AC 신호의 측정 등 다양한 전압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이론값...2025.05.15
-
재료의 전기화학적 성질 부식실험의 이해2025.05.161. 부식 실험의 개요 부식이란 금속이 주어진 환경의 성분과 화학적 반응을 하여 비금속 산화물을 만들고 금속으로서의 성질과 성능을 잃고 소모해 가는 현상을 일컫는다. 부식 환경에 놓인 금속은 특정 이론 배경한 부위에서 양극 반응에 의해 용출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전자는 음극부위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전자는 수소이온이나 산소와 결합하여 음극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부식의 원리를 이용하여 부식 속도(mpy)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다. 2. 실험 과정 1) 실험할 시편을 polishing 하고 초기 무게와 부피를 측정한다. 2) ...2025.05.16
-
중첩의 원리와 테브난/노턴 정리 예비보고서2025.01.131. 중첩의 원리 중첩의 원리란 다중 전원이 있는 선형 회로 소자만으로 구성된 선형 회로망에서 모든 전원이 동시에 인가 될 경우 회로망에서의 전류 및 전압의 반응은 각 전원이 개별적으로 작용할 경우의 반응의 합과 같다는 것이다. 중첩의 원리를 사용하면 다중 전원을 가진 선형 회로에서 쉽게 전압 및 전류를 구할 수 있다. 2. 테브난 정리 테브난 등가 회로는 전원을 포함한 선형 회로를 하나의 비종속 전압 전원과 이와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저항으로 구성된 회로로 표현한 것이다. 테브난 등가 회로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비종속 전원이...2025.01.13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2025.05.10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전원 전압원을 12V로 고정하고 입력저항 및 부하저항을 1kΩ, 피드백 저항을 계산하여 설정하였습니다. 입력 전압을 0V에서 6V까지 변화시키며 출력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을 변경하여 추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피드백 회로의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2.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LED 구동)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활용하...2025.05.10
-
동기전동기 예비보고서2025.01.121. 동기전동기 1 동기전동기의 구조와 시동특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3상 동기전동기는 고정자에 3상 교류를 흘려주면 회전자가 회전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회전자는 직류 전원으로 여자된 자극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동기전동기 2 동기전동기에서 가변 인덕턴스 또는 콘덴서의 역할과 직류 전류 대 교류 전류 특성곡선에 대해 설명합니다. 동기전동기는 기동토크가 0이므로 회전자를 미리 동기 속도로 회전시켜야 하며, 이때 회전 자기장과 회전자의 극이 맞물려 회전하게 됩니다. 1. 동기전동기 1 동기전동기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여 회전자와 ...2025.01.12
-
물리실험2 직류회로 결과레포트2025.05.041. 멀티미터 사용법 멀티미터의 다이얼 숫자와 물결무늬, 직선무늬의 의미를 이해하고 저항 측정 시 주의사항을 학습하였다. 멀티미터에 1이 표시되는 이유는 측정 범위를 초과했기 때문이다. 2. 저항 색코드 및 측정 저항의 색코드를 읽고 멀티미터로 저항 값을 측정하여 비교해보았다. 색코드와 실제 측정값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3. 직류전원 내부 저항 직류전원과 외부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내부 저항을 추정해보았다. 직류전원 자체가 일정 값의 내부 저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멀티미터로 측정한 저항 값과 차이가 있음을 알...2025.05.04
-
Memory 세미나 내용, RAM ROM Flash NOR NAND2025.04.261. Memory의 종류 메모리에는 RAM, ROM, 자기 표면 기억장치, 반도체 기억장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RAM은 전원이 유지되는 동안만 사용 가능한 휘발성 메모리로 CPU의 연산이나 응용프로그램 로딩, 데이터 일시 저장 등에 이용된다. ROM은 전원 차단 이후에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BIOS, OS, 펌웨어 저장에 사용된다. 2.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조와 동작 반도체 기억장치는 실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셀과 주소, 데이터,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주변 회로로 구성된다. 데이터 쓰기 시 주소 레지스터에서...2025.04.26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중 주기억 장치의 종류와 특징,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주기억 장치2025.05.021.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란 CPU가 처리하고 있는 내용을 저장하는 기억장치이다. 대표적으로 ROM과 RAM으로 나뉜다. 2. ROM ROM은 Read Only Memory로 전원의 공급이 없어도 기록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라는 특징이 있다. ROM의 종류로는 Mask ROM, PROM, EPROM, EEPROM 등이 있다. 3. RAM RAM은 Random Access Memory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RAM에 복사된 정보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지만, 전원의 공급이 없으면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