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5개
-
총 담관낭 수술 choledochal cyst 정리2025.01.171. Choledochal cyst Choledochal cyst는 담관의 선천적 확장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수술 전 준비로는 항생제 투여, L-tube 삽입, 환자 체위 조정 등이 필요합니다. 수술 과정에서는 담관낭을 제거하고 간-공장 문합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후에는 배액관 관리, 검사 모니터링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1. Choledochal cyst Choledochal cysts are rare congenital abnormalities of the biliary tract that involve cy...2025.01.17
-
외과계중환자실 SICU 현직간호사 중환자실 다빈도 약물 적응증과 부작용2025.05.111. Fentanyl Fentanyl은 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한 마취 전 진통제, 마취 보조제, 수술 중 및 수술 직후의 단기간 진통제로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혼돈상태, 어지러움, 졸음, 피로감, 두통, 변비, 구역, 구토, 무력증, 호흡억제, 부정맥, 가슴 통증, 가슴 두근거림, 불안, 우울증, 현기증, 환각, 불면, 감각이상, 복통, 식욕부진, 설사, 뇨저류, 떨림, 입 마름, 홍반, 가려움, 발진, 약물의존성, 의식장애, 아나필락시스, 동공 축소, 경련 등이 있습니다. 2. Ultian(Remifentanil) Ultia...2025.05.11
-
A+ 성인간호학 knee osteoarthritis(골관절염, 슬관절염) 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과정2025.01.131. Bone 뼈의 형태, 구조, 혈류와 신경, 기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뼈는 신체의 형태를 제공하고 체중부하, 직립 자세를 취하며 근육과 힘줄의 작용으로 주위 조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골수에서 혈액세포를 생산하고 칼슘, 인과 같은 무기질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2. Muscle 근육의 분류, 구조, 기능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골격근은 뼈를 움직이는 데 필수적이며 몸의 자세 유지, 열 생산 등의 기능을 한다. 근육 수축의 형태에는 tonic, isotonic, isometric, twitch, t...2025.01.13
-
성인간호학실습 인공심박동기 삽입 케이스스터디 (진단4개, 과정2개)2025.01.231. Sinus Bradycardia Sinus bradycardia는 심박수가 60회/분 미만으로 나타나는 상태로,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에 의해 heartbeat가 발생되나 횟수가 60회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이는 SA node의 완전성 손상, AV node의 문제, His-Purkinje fibers의 실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hypotension, syncope, angina pectoris, premature contraction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EKG, 호르몬 검사, E...2025.01.23
-
Empyema(농흉) case study2025.05.161. Empyema(농흉) 농흉의 약 50%는 폐의 일차적인 병변으로 인해 흉막강이 오염되면서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는 폐결핵, 폐렴, 폐농양, 늑막염, 흉부 외상, 흉부 수술 후 이차 감염, 횡격막하 농양, 자발성 기흉의 합병증 및 전신 패혈증 등이 있다. 농흉은 흉막이 두꺼워지고 섬유성 조직이 폐와 흉벽을 유착시키기 때문에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농흉 치료에는 초기 배농이 중요하며, 급성기인 경우 흉막액의 점도가 낮아 항생제 등으로 적절히 치료하면 폐가 팽창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다. 하지만 초기 치료에도 불구하고 충...2025.05.16
-
물리치료, 작업치료 질환별 review 레포트2025.01.141. Stroke 뇌졸중은 뇌의 혈액 흐름의 방해 및 출혈로 인해 야기되는 신경학적 기능의 갑작스러운 상실로 뇌혈관 손상이 되어 여러 가지 증상과 징후가 24시간 이상 발생되는 급성 뇌혈관 병변입니다. 주요 원인은 고혈압과 죽상동맥경화증이며,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됩니다. 증상으로는 운동, 감각, 인지, 지각, 언어기능의 손상 등이 나타나며, 진단 및 평가를 위해 다양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물리치료에서는 자세 관리, 감각 자극, 반사 활용, 관절 운동, 근력 강화, 보행 훈련 등이 중요합니다. 2. Parkinson...2025.01.14
-
호흡기계 진단검사2025.05.131. X-ray X-선 검사는 폐결핵 등 폐의 이상을 발견해내는 방법으로 집단 검진시에 사용되거나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에게는 정규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그 밖의 심장질환이나 종격동의 이상, 종양 등의 이상을 발견해낼 수 있다. 검사 전 간호로는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옷이나 금속제품은 허리 아래로 내리게 하여 금속의 음영이 찍히지 않도록 하며, 자세를 취해준 후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을 동안 잠시 숨을 참도록 한다. 2. PFT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는 폐기능 장애를...2025.05.13
-
각종 혈액 진단검사 및 혈액검사에 대한 고찰2025.05.081. Brain CT Brain CT는 X-ray를 사용하여 뇌의 단층영상을 파악하는 해부학적 검사이다. 컴퓨터 단층촬영은 안전하면서도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진단법으로 여러 가지 경우에 유용하다. 두개골과 척추골에 뛰어난 영상력을 가지며 속회화와 급성 출혈을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다. 2. MRI MRI는 강력한 자기장과 공명 주파수를 이용하여 영상을 만들어내는 해부학적 영상기술이다. 조직이 강력한 자기장에 놓이면 조직내의 수소원자가 자기장내에서 정렬하게 된다. MRI 검사는 전혀 고통이 없는 검사이며, 검사 시 쿵쿵 소리가 ...2025.05.08
-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실습전 과제2025.05.101. Scrubbing Scrubbing의 목적은 미생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손의 더러움이나 일시균을 제거하여 상주균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내과적 손씻기는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과 손목부위를 씻는 방법이며, 외과적 손씻기는 소독비누와 멸균수건을 사용하여 손, 손가락, 전박을 씻는 방법이다. 주의점으로는 여러번 사용하는 타월 사용 금지, 비누 용기 오염 주의, 충분한 마찰 시간 등이 있다. 2. Gloving and Gowning Gloving의 목적은 시술자의 손의 피부 미생물로부터 기구나 시...2025.05.10
-
수두증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hydrocephalus2025.04.271. 수두증(Hydrocephalus : 물뇌증) 수두증은 뇌실의 확장과 뇌척수액의 생산이 증가되거나 흡수가 줄어들어서 생기거나 뇌실계의 정상적인 흐름이 막혀서 생긴다. 수두증에서는 CSF(뇌 척수액 용적)의 양(Volume)이 증가하고 뇌실이 확장된다. 대부분 두개내압이 증가되어 있으며, 아울러 대부분의 수두증은 외뇌실(lateral ventricle)에서 제3뇌실로 척수액의 흐름이 막히는 선천성 중뇌수도협착증에 의해서 발생한다. 2. Pathogenesis 원인 수두증의 원인은 크게 뇌척수액의 과잉 생산, 뇌척수액 유통의 폐쇄,...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