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6개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7_직병렬교류회로와 주파수특성 결과보고서2025.01.201. 교류회로 교류회로에서 저항, 인덕터, 그리고 커패시터가 직별렬로 접속된 경우 임피던스와 전압, 전류를 실험적으로 구해보고 이를 통해 교류회로에서 역시 직류회로에서와 같이 오옴의 법 칙, 키리히호프의 법칙 등 기본 회로법칙이 그대로 적용됨을 확인한다. 또한 회로 임피던스 가 주파수에 따라 변화함을 확인하고 이를 대수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을 익힌다. 2. 주파수 특성 회로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대수그래프로 나타내는 방법을 익힌다.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원전압과 전류간의 위상차를 측정하고 분석한다....2025.01.20
-
전자기기 측정 연습 결과보고서2025.01.061. 전자기기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 프로브와 디지털 멀티미터를 활용해 전자 기기 측정 연습을 하였습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내는 기기로 전기 신호의 주기, 진폭, 주파수, 위상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프로브는 전압계나 오실로스코프 등 입력 단자에 접속해서 피측정점에 접촉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디지털 멀티미터는 전압 측정 외에 전류나 저항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여러 번 실험을 다시 진행해야 했던 이유는 컴퓨터와 오실로스코프의 연결, 프로브와 오실로스코프의 연결이 제대...2025.01.06
-
실험 6 .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특성 실험2025.05.111.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 다이오드 리미터(limitter)는 다이오드 파형 정형회로로서 클리핑(clipping)회로 또는 슬라이서(slicer)라고 부른다. 입력 신호의 한부분이 잘려나간 것과 같은 출력을 가지게 된다. 클리핑회로는 적어도 다이오드 한 개와 저항 한 개로 구성되고 직류 전원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출력 파형은 직류전원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여러 가지 소자들을 위치를 변화시겼을 때 서로 다른 레벨로 클리핑 시길 수 있다. 따라서 클리핑회로는 직렬 클리핑회로와 병렬 클리핑회로 또 한 바이어스 된 클리핑회로로 구분 할 수...2025.05.11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 5-2 다이오드 정류회로 예비보고서2025.01.171. 반파정류회로 반파정류회로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정류회로로, 교류전원과 부하 사이에 다이오드를 직렬로 삽입한 형태입니다.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회로에서 입력전압이 양인 구간에는 다이오드가 도통하여 부하에 전압이 인가되지만, 입력전압이 음인 구간에서는 다이오드에 의해 전류가 차단되어 부하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하전압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은 전압으로 되며, 평균적으로 직류가 됩니다. 2. 브릿지 정류회로 반파정류회로의 경우 ...2025.01.17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3_설계 실습3. Voltage Regulator 설계_결과보고서2025.01.221. 전파정류회로 전파정류회로를 사용하여 교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압을 얻는 기본적인 직류전압공급기(DC power Supply)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하였다. 전해콘덴서를 미리 단락해서 방전시킨 후에 충전방향을 예상해서 극성에 맞게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Function Generator에 20kHz의 주파수를 입력하여 출력된 값을 확인하였다. 2. 출력파형 부하에 걸리는 파형을 오실로스코프로 확인하여 DC coupling과 AC coupling을 사용한 파형을 제출하였다. 두 파형의 차이점을 기술하고 0V, Vp, Vr을...2025.01.22
-
전자회로실험 A+ 3주차 결과보고서(Diode Characteristic&Large/Small Behavior)2025.05.101. 다이오드 특성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순방향 전압이 걸렸을 때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전압이 걸렸을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런 특성과 다이오드의 연결 방향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의 파형이 결정됩니다. 또한 특정 전압 이상의 전압이 걸려야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전압이 다이오드의 온 전압(VD,on)입니다. 2. 다이오드의 소신호 동작 실험을 통해 전압이 아주 작게 변화할 때는 전류가 선형적으로 변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경우 다이오...2025.05.10
-
오실로스코프 실험 보고서 (A+)2025.01.241.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신호의 파형을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오실로스코프의 동작 원리와 사용법을 익히고, 함수발생기와 함께 다양한 파형을 발생시켜 관측하는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또한 직류와 교류 전압의 특성, 임피던스와 위상 차이 등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2. 함수발생기 함수발생기는 전자 신호에 해당하는 파형을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함수발생기의 동작 원리와 사용법을 익히고, 다양한 파형(정현파, 사각파, 톱니파 등)을 발생시켜 오실로스코프로 관측하는 방법을 학습했습니다. ...2025.01.24
-
다이오드 리미터와 클램퍼 예비레포트2025.05.061. 다이오드 리미터 다이오드 리미터는 교류신호의 끝단을 맞추거나 기준 레벨에 교류전압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직렬 리미터는 다이오드가 신호 전송회로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의 반주기를 제한하고, 병렬 리미터는 다이오드가 병렬로 연결되어 (-)의 반주기를 제한합니다. 바이어스된 병렬 리미터는 입력 정현파의 일부분을 제한하고, 바이어스된 2중 다이오드 리미터는 (+)와 (-)의 반주기를 각각 제한합니다. 2. 다이오드 클램퍼 다이오드 클램퍼는 입력파형의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입력파형에 직류전위를 더해주는 회로입니...2025.05.06
-
[중앙대전전][전기회로설계실습][예비보고서]-6.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5.151. DMM을 이용한 교류전원 접지 전압 측정 DMM의 ACV 버튼을 눌러 교류전압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DMM의 리드선을 각각 소켓의 접지에 연결하여 두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2. 계측기의 입력 저항 및 출력 저항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은 50Ω이며, DMM의 입력 저항은 1MΩ, 오실로스코프의 일반적인 입력 저항은 1MΩ입니다. 고속 제품의 경우 50Ω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3.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 비교 DMM은 AC 모드에서 사인파의 실효값을 측정하지...2025.05.15
-
일반물리학및실험 8. 유도기전력 결과 보고서2025.01.161. 유도 기전력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패러데이 법칙을 설명한다. 실험 1은 교류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2차코일의 유도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이론식에서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교류전류의 크기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실험 조건에서 교류전류의 주파수, 1차 코일의 단위 길이당 감은 횟수, 2차코일의 감은 횟수, 2차코일의 반지름은 고정시켜놓고 교류전류의 크기만을 변화시켰기 때문에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교류전류에 대해 선형적인 정비례 관계를 보여줄 것이다. 또한 2차코일의 감은수를 변화시키면서 2차코일의 유도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이었...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