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6 .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특성 실험
본 내용은
"
실험 6 .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특성 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3
문서 내 토픽
  • 1.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
    다이오드 리미터(limitter)는 다이오드 파형 정형회로로서 클리핑(clipping)회로 또는 슬라이서(slicer)라고 부른다. 입력 신호의 한부분이 잘려나간 것과 같은 출력을 가지게 된다. 클리핑회로는 적어도 다이오드 한 개와 저항 한 개로 구성되고 직류 전원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출력 파형은 직류전원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여러 가지 소자들을 위치를 변화시겼을 때 서로 다른 레벨로 클리핑 시길 수 있다. 따라서 클리핑회로는 직렬 클리핑회로와 병렬 클리핑회로 또 한 바이어스 된 클리핑회로로 구분 할 수 있다.
  • 2. 클램퍼 회로
    클램핑 회로는 최소한 다이오드 한개, 콘덴서 한개, 저항 한개가 필요하고 직류전원장치가 부가 될 수 있다. 이때 R과 C의 크기는 시상수 T가 콘덴서 C에 걸리는 전압이 입력으로 정하지는 시 간동안에 별로 변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 값을 갖도록 선택해야 하며 클램핑 회로들은 그림 6_6에 표시된 것과 같은 출력 파형을 발생시킨다.
  • 3. 바이어스 리미터 회로
    바이어스 리미터회로는 신호를 인가 전압원만큼 일정 level 이내로 슬라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2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했을때의 바이어스 리미터 회로에서는 D1의 캐소드 부분의 1V전압원을 연결함으로써 negative 출력파형이 최대치가 약 1V 올라가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4. 조합 리미터 회로
    조합리미터 회로 회로구성만을 이용하여 리미터회로로써의 역할을 하는 회로이다. 회로를 구성하는 저항,인덕턴스,커패시터등의 소자의 회로 상수인 소자만을 사용한 리미터 회로이다.
  • 5. 클램퍼 회로의 응용
    클램퍼 회로는 신호를 전달하고 출력할 때 회로가 타지않게 제한하거나 원하는 주파수만큼의 level로 파형을 올리거나 내릴수 있다.
  • 6. 피크 검출기 회로
    피크 검출기 회로는 수동소자로 구성되어 다이오드가 도통될떄 전압강하만큼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 7.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
    제너 다이오드를 대칭적으로 연결하여 positive,negative파형 모두를 같은 level로 슬라이스하여 출력한다.
  • 8. 대칭적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
    대칭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는 입력파형이 +-든 Vz+0.7만큼 슬라이스 된 파형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 9.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구성요소
    리미터회로와 클램퍼 회로는 함수발생기, 저항, 다이오드, 전압원 등의 소자로 구성된다.
  • 10. 과도 현상 방지 회로
    115V 교류 입력에서 발생되는 과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병렬 클리퍼 회로를 직류 전원 장치의 앞단에 설치할 수 있다.
  • 11. 다이오드의 역할
    다이오드는 활성화 전압로부터 구동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코일 양단에 항상 연결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활용하여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각각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출력 신호의 진폭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유용하며, 특히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 2. 클램퍼 회로
    클램퍼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고 특정 전압 레벨로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와 저항, 커패시터 등의 수동 소자로 구성되며,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 또는 음의 반부분을 원하는 전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클램퍼 회로는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과도 전압 보호, 신호 레벨 조정 등의 용도로 활용됩니다.
  • 3. 바이어스 리미터 회로
    바이어스 리미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고 동시에 DC 바이어스 전압을 추가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와 저항, 전압원 등의 소자로 구성되며,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각각 제한하고 DC 바이어스 전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바이어스 리미터 회로는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신호 레벨 조정, 과도 전압 보호, DC 바이어스 제공 등의 용도로 활용됩니다.
  • 4. 조합 리미터 회로
    조합 리미터 회로는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를 결합한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각각 제한하고, 동시에 출력 신호의 레벨을 특정 전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조합 리미터 회로는 다양한 전자 회로에서 사용되며, 신호 레벨 조정, 과도 전압 보호, 신호 왜곡 방지 등의 용도로 활용됩니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장점을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인 신호 제한 및 레벨 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 5. 클램퍼 회로의 응용
    클램퍼 회로는 다양한 전자 회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고 특정 전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어, 과도 전압 보호, 신호 레벨 조정, 신호 왜곡 방지 등의 용도로 활용됩니다. 클램퍼 회로는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디지털 회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회로 설계 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클램퍼 회로는 단순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클램퍼 회로의 응용 범위는 매우 넓으며, 전자 회로 설계에서 필수적인 회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피크 검출기 회로
    피크 검출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로 구성되며,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만을 검출하여 커패시터에 저장합니다. 피크 검출기 회로는 신호 레벨 모니터링, 펄스 폭 측정, 오디오 신호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오디오 신호 처리 분야에서 피크 검출기 회로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호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과도 전압 보호, 동적 범위 제어 등에 사용됩니다. 피크 검출기 회로는 간단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은 회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제너 다이오드와 저항으로 구성되며, 제너 다이오드의 특성을 활용하여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각각 제한할 수 있습니다.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는 과도 전압 보호, 신호 레벨 조정, 신호 왜곡 방지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 회로는 간단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으며, 전자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8. 대칭적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
    대칭적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대칭적으로 제한하는 전자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와 저항으로 구성되며,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각각 제너 다이오드의 정격 전압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대칭적 제너 병렬 클리퍼 회로는 과도 전압 보호, 신호 레벨 조정, 신호 왜곡 방지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신호 처리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 회로는 간단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으며, 전자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의 구성요소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회로는 다이오드, 저항, 커패시터 등의 수동 소자로 구성되며, 각각의 특성을 활용하여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거나 특정 전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리미터 회로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양의 반부분과 음의 반부분을 각각 제한할 수 있습니다. 클램퍼 회로는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의 레벨을 특정 전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0. 과도 현상 방지 회로
    과도 현상 방지 회로는 전자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도 전압이나 과도 전류를 억제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주로 다이오드, 저항, 커패시터 등의 수동 소자로 구성되며, 입력 신호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과도 현상을 감쇄시키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과도 현상 방지 회로는 증폭기 회로, 전원 공급 장치, 디지털 회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회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는 간단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습니다.
  • 11. 다이오드의 역할
    다이오드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이오드는 전류의 흐름을 한 방향으로만 허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압 정류, 신호 제한, 클램핑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리미터 회로와 클램퍼 회로에서는 다이오드의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거나 특정 전압 레벨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이오드는 과도 전압 보호, 신호 레벨 조정, 신호 왜곡 방지 등의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이처럼 다이오드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회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