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3개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결과 보고서 (실험 12 소오스 팔로워)2025.01.291. 소오스 팔로워 회로 소오스 팔로워 회로는 전압 버퍼로도 불리며, 입력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동일한 위상의 신호를 출력하지만, 출력 저항을 낮추고 전류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회로의 주요 특성은 입력과 출력의 관계, 전압 이득, 출력 저항 감소, 전류 이득 등이다. 2. 소오스 팔로워 회로의 실험 결과 실험을 통해 R_S 값이 MOSFET의 동작 점과 회로의 전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력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측정하여 소오스 팔로워의 전압 이득이 거의 1에 가까운 것을 ...2025.01.29
-
물리학실험- 옴의 법칙2025.05.011. 옴의 법칙 이번 실험을 통해, 전자회로에 쓰이는 탄소저항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가를 확인하고 옴의 법칙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이오드에 대하여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가를 확인하고, 옴의 법칙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조건을 검토하였다. 2. 탄소 저항 탄소 저항기에서 저항 값을 표시할 때는 색깔 코드를 사용한다. 네 줄로 이루어져 있는데, 왼쪽부터 A~D라 한다. A는 1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B는 2째 자리에 올 유효숫자, C는 앞의 두 자리숫자 뒤에 붙일 0의 수이고, 마지막으로 D는 허용 오차를 의미한다. 3. 다이오드...2025.05.01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72025.01.121.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 이번 실험은 이전 설계실습을 보완하기 위해 ∈ 을 연결한 2차 설계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과 주파수에 따른 overall gain에 대해 알아보았다. 2차 설계 common emitter amplifier의 Base, Emitter의 Voltage의 오차율 약 1% 미만으로 작은 오차율을 보였지만, base current는 19.95%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는 BJT의 non-linear 특성으로 인한 결과라고 예상한다. 특히 m a...2025.01.12
-
옴의 법칙 실험2025.01.221.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전자회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이번 실험을 통해 탄소저항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지, 다이오드가 옴의 법칙을 성립하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저항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옴의 법칙을 이용해 저항값을 계산하고 표시된 저항값과 비교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다이오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옴의 법칙을 이용해 다이오드의 저항을 구하였고,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를 때는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만 흐르지 않을 때는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3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을 알아보고 ...2025.01.22
-
전자회로실험_A+레포트_Diode Rectifier2025.01.131. 반파정류회로 반파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저항을 직렬 연결한 회로에 교류전원을 연결한 회로이다. 다이오드가 있을 경우에는 양의 주기에서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되고 음의 주기에서는 역방향 바이어스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입력전원의 양의 값을 정류해서 직류로 변환시킨다. 2. 전파정류회로 전파정류회로는 중간탭이 있는 변압기를 이용하여 180° 위상차가 나는 두 교류신호를 생성한다. 다이오드의 정류 작용으로 (+), (-) 파형 모두 통과하여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한 회로이다. 변압기를 사용한 이유는 실험실 220V의 전원을 적절한...2025.01.13
-
전기기초실험 레포트 과제2025.05.111.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하는 정류작용을 하는 전자 부품이다. 다이오드의 전기 저항은 순방향에서 매우 작지만 역방향에서는 매우 크다. 다이오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다이오드는 비선형 전류-전압 특성을 가지고 있다. p-n 접합 다이오드는 반도체 기반의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2.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는 3개의 반도체 층으로 구성된 능동 반도체 소자이다. NPN 트랜지스터의 경우, 이미터와 베이스 사이에 순방향 전압을 걸면 이미터에서 베이스로 전자가 주입되고,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2025.05.11
-
공정 제어 보고서 Y결선, 델타결선, 유도전동기2025.05.091. Y결선 Y결선은 변압기가 3대일 때 3상 전원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결선 방법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3상이 나오며 중성선에서 N상이 도출되어 총 3상 4선이 됩니다. 전압은 380V 또는 220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할 경우 장점은 단절연 방식 채택, 고전압 결선에 적합, 순환전류 없음, 이상전압 저감 등이 있지만 단점으로는 제3고조파 여자 전류 통로 없음, 기전력 파형 왜곡, 부하 불평형에 따른 3상 전압 불평형 등이 있습니다. 2. 델타결선 델타결선은 변압기가 3대 있을 때 3상 전원을 얻기 위...2025.05.09
-
[중앙대전전][전기회로설계실습][예비보고서]-6.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5.151. DMM을 이용한 교류전원 접지 전압 측정 DMM의 ACV 버튼을 눌러 교류전압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DMM의 리드선을 각각 소켓의 접지에 연결하여 두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2. 계측기의 입력 저항 및 출력 저항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은 50Ω이며, DMM의 입력 저항은 1MΩ, 오실로스코프의 일반적인 입력 저항은 1MΩ입니다. 고속 제품의 경우 50Ω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3.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 비교 DMM은 AC 모드에서 사인파의 실효값을 측정하지...2025.05.15
-
직류회로 결과보고서2025.01.031. 직렬 회로의 합성 저항 실험 결과를 통해 직렬 회로에서의 합성 저항 공식 1/Req=1/R₁+1/R₂+···+1/R?이 정확하게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값과 이론값의 오차율이 매우 작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직렬 회로에서의 합성 저항 공식이 어느 정도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정확히 적용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전류센서와 전압센서의 교정 문제 또는 실험에 사용한 저항의 오차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2. 전류 센서와 전압 센서의 구조 및 원리 전류 센서는 회로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홀 소자 방식,...2025.01.03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9. LPF와 HPF 설계2025.05.151. RC 및 RL 필터 설계 RC 및 RL 필터를 설계하고 주파수응답과 전달함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전자전기공학부에서 많이 쓰이는 회로이므로 중요하다. 2. LPF 설계 및 분석 RC 직렬 LPF를 구성하고 주파수가 10 ㎑이고 Vpp가 1 V인 사인파를 인가하여 입력 전압, R의 전압(출력)의 파형을 측정하였다.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율은 약 4% 이내였으나 위상은 9% 정도의 오차율을 보였다. 주파수 응답 분석 시 높은 주파수에서 출력 전압이 작아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3. HPF 설계 및 분석 RL 직렬 HPF를 구성하고...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