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7
본 내용은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7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7
문서 내 토픽
  • 1.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
    이번 실험은 이전 설계실습을 보완하기 위해 ∈ 을 연결한 2차 설계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과 주파수에 따른 overall gain에 대해 알아보았다. 2차 설계 common emitter amplifier의 Base, Emitter의 Voltage의 오차율 약 1% 미만으로 작은 오차율을 보였지만, base current는 19.95%의 오차율을 보였다. 이는 BJT의 non-linear 특성으로 인한 결과라고 예상한다. 특히 m ax m in 의 오차는 더 컸는데, 이는 Oscilloscope의 결과가 noise로 인해 계속 변경되었고, 이러한 noise를 제거하지 못한 채 실험을 진행하였기 때문이라 예상한다. 주파수를 저주파부터 고주파 영역까지 증가시킬 때 모든 실습과정에서 gain이 증가하다가 bandwidth에서 유지되고, 고주파 영역에서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소자들의 값을 변화시킴에 따라 부분적인 개형이 달라졌다. 실습 전반적으로 저주파 영역과 고주파 영역에서 simulation과 실제 측정한 gain의 오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측정하려는 저주파 영역의 입출력 전압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인 noise가 섞여 제대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소자들의 내부 인덕턴스 값들로 인해 차이가 발생했음을 예상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
    Common Emitter Amplifier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 중 하나입니다. 이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첫째,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높고 출력 임피던스가 낮아 전압 증폭이 잘 이루어집니다. 둘째,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는 전압 증폭률이 최대가 되며, 이 대역에서 증폭기의 주된 동작이 이루어집니다. 셋째,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기생 커패시턴스로 인해 입력 임피던스가 낮아지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아져 전압 증폭이 감소합니다. 이러한 주파수 특성은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바이어스 회로와 부품 선택을 통해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