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3개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_ 중환자실 실습 후기, SICU 실습, 느낀점2025.01.231. 중환자실 실습 실습 중 의식이 없는 환자들이 대부분이었고 의사소통이 되지 않으며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활력징후가 갑자기 변화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사전학습을 통해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 간호에 대해 배운 것이 도움이 되었다. 실습 중에는 포지션 체인지, 침상목욕 등의 기본간호에 참여할 수 있었다. 2. 보호대 적용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보호대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처음에는 답답해 보였지만, 실습을 하면서 환자가 라인을 뽑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3. 중환자실 간호...2025.01.23
-
중심정맥관 종류와 관리2025.01.241. 중심정맥관의 정의와 적응증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경정맥이나 쇄골하 정맥으로 관이 삽입되어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끝에 위치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중심정맥관은 체액 균형 유지, 장기간 약물 투여, 영양 공급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2.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특징 중심정맥관에는 비터널식 카테터와 터널식 카테터가 있으며, 각각 단기간과 장기간 사용 목적으로 구분된다. 비터널식 카테터에는 CVC, PICC, Hemo-cath가 있고, 터널식 카테터에는 Hickman, Perm-cath, Ch...2025.01.24
-
세브란스합격자, 실습ALL A+ DAR 간호진단_ 아주대 신경외과_NS2025.05.161. 비효율적 기도청결 대상자가 스스로 객담을 뱉지 못함을 관찰하였고, 호흡시 그르렁소리가 들림을 관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4시간 SPO2 모니터링, 1시간마다 RR 사정, 저산소증상 사정, suction을 통한 airway 확보, 진해거담제 투여, 산소요법, 객담배출기 적용, 수분섭취 및 hydration 요법, 반좌위 적용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suction 후 그르렁소리 없이 호흡이 관찰되었습니다. 2. 감염위험성 대상자가 brain metz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받고 PICC와 정맥주사가 적용되...2025.05.16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중심정맥관 관리2025.05.091. 중심정맥 카테터 관리 중심정맥 카테터는 혈관작용을 가진 정맥주사용 약물이나 영양용액을 주입하기 위해, 정맥내로 수액이나 약제투여가 장기간 필요한 경우와 말초 삽입카테터의 삽입과 유지가 어려운 경우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중심정맥압을 측정하기 위해, 혈액의 채취 및 공급, 혈액투석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중심정맥 카테터에는 비터널카테터(Non-tunneled catheter), 터널 카테터(Tunneled catheter), PICC 카테터(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이식 Po...2025.05.09
-
패혈증 간호진단2025.01.121. 기저질환, 항암요법으로 인한 면역저하와 침습적 처치에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는 장기간 항암화학요법 치료 중이었으며, Septic shock state, 반혼수 상태, 인공호흡기와 CRRT 치료 중이었습니다. 또한 중심정맥관, 도뇨관, 영구도뇨관 등 침습적 처치를 받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대상자의 면역력 저하와 감염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2. 활력징후 모니터링 간호사는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EKG를 모니터링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감염 상태의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3....2025.01.12
-
[성인간호학실습2 A+]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스터디 (사례보고서)2025.05.061. 지주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SAH)은 대뇌 혈관이 새거나 터져서 지주막하로 혈액이 들어갈 때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극심한 두통, 구토, 의식저하 등이 있으며, 재출혈, 뇌혈관 연축, 정상압 수두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CT, 요추천자 등의 검사를 시행하며, 치료로는 신속한 진단과 혈압 조절, 수술적 치료 등이 필요하다. 간호중재로는 호흡 및 의식 수준 사정, 출혈 징후 관찰, 뇌압 상승 예방, 합병증 예방 등이 중요하다. 2. 객담 배출 능력 저하 의식 저하로 인해 기도의 분비물을 배출할 수 있는 능...2025.05.06
-
중심정맥관 관리(C-line,Chemo port,히크만 카테터)2025.01.161. 중심정맥관 적응증 정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항암제 주입, 고영양 수액제 주입, 잦은 채혈검사, 수혈, 말초혈관 사용이 어려운 환자의 치료, 백혈병이나 조혈모세포(골수)이식 환자의 조혈모세포 주입을 위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 사용한다. 2. 중심정맥관 위치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경정맥(Jugular vein), 대퇴정맥(Femoral vein)을 통하여 삽입되면 끝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e)이나 우심방(Rt. atrium) 및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e)에 위치한다. 3....2025.01.16
-
성인간호학 Gonarthrosis Concept mapping (A+자료) / 간호진단 7개/각 진단 별 객관,주관자료,치료,간호 모두 기재2025.04.281. 급성통증 대상자는 Lt. knee 부위와 무릎 뒤 전체에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진통제 투약, PCA 사용, 비약물적 중재 등을 시행하고 있다. 통증 사정을 8시간마다 실시하고 진통제 투약 효과를 확인하는 등 체계적인 통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2. 낙상위험성 대상자는 Morse fall scale 결과 55점으로 낙상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침대 높이 조절, side rail 관리, 보호자 교육 등 낙상 예방 중재가 시행되고 있다. 3. 수면장애 대상자는 통증으로 인해 수면 ...2025.04.28
-
SICU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KD(만성신부전) 간호과정 신장이식 간호과정(KT) 간호진단2개2025.05.091. 신기능 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대상자는 CKD stage 5 진단 하에 신장이식 수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이다. 신기능 장애로 인한 체액과다 위험이 있어 1시간 마다 활력징후와 섭취량 및 배설량을 확인하고, 이뇨제 투여, 수분 및 염분 섭취 제한, 체위 변경 등의 중재를 통해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체액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는 PICC, FCT, A-line, L-tube, E-T tube 등 ...2025.05.09
-
아동간호학_미숙아_VLBW_nicu_케이스스터디_문헌고찰_간호과정2025.01.151. 미숙아의 분류와 특성 미숙아는 재태기간에 따라 만기분만, 조기분만, 과숙분만으로 구분되며,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체중아(LBW), 극소 저출생체중아(VLBW), 초극소 저출생체중아(ELBW)로 분류됩니다. 미숙아는 자세 이완, 피부 특성, 호흡 양상, 생리적 특성 등에서 만삭아와 다른 특성을 보입니다. 2. 미숙아의 진단 검사 및 임상증상 미숙아의 임상증상으로는 자세 이완, 피부 특성, 호흡 양상, 생리적 특성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ABGA,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이 시행됩니다. 이를 통해 미숙아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