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6개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2025.05.131. 계측장비 접지상태 측정 본 실험은 측정에 의해 DMM, Oscilloscope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상태, 즉 내부연결 상태와 입력저항을 유추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히는데 의의가 있다. 220 V전원을 공급하는 벽면 소켓에서 각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실효값을 측정하였다. 오실로스코프의 값이 function generator에서 설정한 값의 약2.2배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DMM의 측정 주파수의 따른 특성은 약 700 kHz에서 DC 전압의 50%가 측정되었다....2025.05.13
-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중앙대 12025.05.021. 저항 측정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을 사용하여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wire 측정법은 리드선과 접촉저항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지만, 4-wire 측정법은 이러한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과 가변저항의 특성을 설명합니다. 2. 전압 측정 DC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회로에 전압을 인가하고, 디지털 멀티미터(DMM)를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무부하 상태와 부하 상태에서의 전압 변화를 확인하고, 전원 공급 장치 사용...2025.05.02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72025.05.151. RC 회로 이번 실험은 1학기 때 회로이론에서 배운 RC 회로를 실험적으로 확인하는 실험이다. 실제로 RC time constant도 구해보면서 배웠던 공식이 성립함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커패시터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고, Oscilloscope와 Function generator의 사용법에 대해서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2. DMM 내부저항 측정 4.122M 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1.56V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DMM의 내부저항이 약 9.98M Ω임을 계산할 수 있었다. DMM 내부저항의 크기가 ...2025.05.15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2025.05.151. 저항 측정 30개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 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2kΩ, 표준편차는 0.0308kΩ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32.4%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2. 전압 측정 6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2.83V로 내부 저항이 매우 컸으며, DMM으로 측정한 전압에 대한 DC power supply에 표시된 전압의 오차는 유효숫자 내에서는 0.0978%이었다. 3. 전류 측정 측정된 값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KVL, KCL의 오차는 유효숫자 내에서 각각 0%, 0.509%였다. ...2025.05.15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예비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2025.05.03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1/4W, 5% 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DMM의 조작 방법, 평균값 및 오차 분포도 작성, 표준편차 계산과 의미, 식스시그마에 대해 다룹니다. 2. 전압 및 전류 측정 이 보고서에서는 저항 측정 방법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지만, 전압과 전류 측정 방법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1. 저항 측정 저항 측정은 전기 회로 분석에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저항 값을 정확히 측정하면 회로의 전류와 전압을 예측할 수 있어 회로 설계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저항 측정 방...2025.05.03
-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 측정 실험을 통해 DMM, 오실로스코프, Function generator의 접지상태와 내부 연결 상태, 입력 저항을 유추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습니다. DMM은 고주파에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이 더 신뢰성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오실로스코프의 External trigger 기능은 관측 신호의 크기가 변할 때 기준 신호로부터 trigger를 추출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계측장비와 전원선의 접지 상태 측정을 통해 배선도...2025.04.25
-
[중앙대전전][전기회로설계실습][예비보고서]-6.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5.151. DMM을 이용한 교류전원 접지 전압 측정 DMM의 ACV 버튼을 눌러 교류전압 측정 모드로 전환하고, DMM의 리드선을 각각 소켓의 접지에 연결하여 두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2. 계측기의 입력 저항 및 출력 저항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은 50Ω이며, DMM의 입력 저항은 1MΩ, 오실로스코프의 일반적인 입력 저항은 1MΩ입니다. 고속 제품의 경우 50Ω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3.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 비교 DMM은 AC 모드에서 사인파의 실효값을 측정하지...2025.05.15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2025.04.291. 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단일 고정 저항과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나타났고, 병렬 연결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더 작아졌다. 이를 통해 저항 측정 시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 측정 가변 저항의 경우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더하면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가변 저항의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3.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 비교 저항 값이 작...2025.04.29
-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5.021. 계측장비 접지상태 측정 이 보고서는 DMM,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와 같은 계측 장비의 접지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계측 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목적입니다. 보고서에는 DMM의 저항 측정, 함수 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저항 특성, 교류 전압 측정 시 실효값 계산,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접지 전압 측정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전기회로 설계 이 보고서는 계측 장비와 교류 전원의 접지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기...2025.05.02
-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실험하기2025.05.091.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KVL, Kirchhoff's Voltage Law)은 다음의 명제를 만족한다. '닫힌 하나의 루프안의 전압(또는 전위차)의 합은 0이다.' 이는 전자기학 전체에 널리 통용되는 옴의 법칙인 V = IR과 관련이 있다.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전하량과 에너지 보존을 다루는 이론식 중 하나이다. 2. 저항 측정 실험에서는 디지털 멀티미터(DMM)을 사용하여 저항을 측정하였다. 저항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으로는 DMM 내부의 저항, 접촉 저항, 도선의 저항,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