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4개
-
소아마비에 대한 조사 결과2025.05.011. 소아마비의 증상 소아마비는 척수 회백질에 폴리오(Polio) 바이러스가 침범해 근육을 움직이는 신경세포가 파괴되는 질병으로서 증상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신체의 마비와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소아마비는 척수성 소아마비(Polio)와 뇌성 소아마비 두 가지로 분류되며, 각각 다른 증상을 보인다. 2. 소아마비 감염 현황 1988년 전 세계적으로 연간 35만 명이나 되는 소아마비 환자가 자연에서 감염됐으나, 2000년에는 3,500명 이하로 환자 발생이 줄어들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3년에 보고된 5명의 환자를 마지막으로 신규...2025.05.01
-
혈관, 혈액, 혈액형과 유전자 빈도2025.01.081. 혈액의 구성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구와 혈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고, 백혈구는 식균 작용과 면역 반응에 관여하며,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한다. 혈장은 혈액의 액체 성분으로 물질 운반, 항상성 유지, 방어 작용 등의 역할을 한다. 2. ABO 혈액형 ABO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응집원과 혈청 내 응집소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유전자 빈도를 통해 각 혈액형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3. Rh 혈액형 Rh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Rh...2025.01.08
-
혈액형 판정 실험2025.01.021. ABO식 혈액형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응집원(항원)과 혈장의 응집소(항체)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됩니다. A형은 A 응집원과 β 응집소, B형은 B 응집원과 α 응집소, AB형은 A와 B 응집원, O형은 응집원이 없습니다. 이에 따라 혈액형이 다른 경우 수혈 시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한 응집이 일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Rh식 혈액형 Rh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Rh 응집원(항원)과 혈장의 Rh 응집소(항체)에 따라 Rh+와 Rh-로 구분됩니다. Rh-인 사람이 Rh+ 혈액에 ...2025.01.02
-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케이스스터디: 진단, 치료 및 간호2025.11.18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정의 및 병태생리 고빌리루빈혈증은 혈청 내 간접 빌리루빈이 상승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다. 신생아의 적혈구는 성인보다 수명이 짧아 빌리루빈이 많이 생성되며, 신생아의 간에서 빌리루빈을 변형시키는 효소 기능이 떨어져 제거 능력이 저하된다. 생리적 황달은 생후 1주일 내에 일어나는 일시적 양성질환이나, 높은 빌리루빈 수치는 뇌-혈관 장벽을 투과하여 뇌세포 손상을 초래하는 핵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병리적 황달은 생후 첫날에 발견되거나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이거나 2주 이상 지속될 때를 말한다....2025.11.18
-
면역혈액학 1과 2과 정리 보고서2025.01.041. 면역혈액학 면역혈액학은 항원과 항체가 관여하는 면역반응을 이용하는 학문으로, 혈액 은행 업무와 수혈 의학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면역혈액학에서는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와 물질, 항원과 항체의 특성, 1차 및 2차 면역반응, 항원-항체 결합 원리 등을 다룹니다. 2. 혈액형 검사 혈액형 검사에는 ABO 혈액형 검사, Rh 혈액형 검사, 항체 선별 검사, 항체 동정 검사, 교차 반응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위해 상용화된 항혈청, 항글로불린 시약, IgG 감작 적혈구 등의 시약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2025.01.04
-
아주대학교 생물학실험2 (A+보고서) 혈구관찰2025.01.041. 혈액의 구성성분 혈액에는 세포성분과 혈장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성분에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이 포함된다. 혈장은 주로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가지 용질이 녹아 있다. 혈액의 pH를 7.4로 유지하고 삼투평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2. ABO식 혈액형 판정 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A, B 응집원과 혈장 내의 a, b 응집소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수혈 시 항원-항체 반응을 고려해야 한다. 3. Rh식 혈액형 Rh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D 응집원 유무에 따라 Rh...2025.01.04
-
혈액 검사시 바틀의 종류2025.01.201. EDTA 튜브 EDTA 튜브는 보라색으로, 주요 검사로는 CBC 검사, RBC 형태 검사, 세포 면역 검사 등이 있다. EDTA가 칼슘과 결합하여 혈액 응고를 막는다. 검사는 2시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즉시 검사가 어려울 경우 4°C에서 24시간까지 보관할 수 있다. 2. Sodium Citrate 튜브 Sodium Citrate 튜브는 대개 하늘색 또는 파란색이며, 주요 검사로는 PT, aPTT, FDP, Fibrinogen, D-dimer, Factor 검사 등이 있다. 항응고제와 혈액의 비율은 1:9이며, 채취 후 ...2025.01.20
-
ABO 부적합 황달 신생아 간호 사례2025.11.171. ABO 부적합 황달의 정의 및 병태생리 ABO 부적합 황달은 태아적혈구모증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으로, 산모의 혈액형이 O형이고 영아가 A 또는 B형일 때 발생한다. 산모의 O형 혈액에 포함된 IgG 항체(anti-A, anti-B)가 태반을 통과하여 영아의 적혈구를 파괴하면서 용혈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과량의 빌리루빈이 생성되고 간이 이를 포합하고 배설하지 못하면서 황달이 나타난다. Rh 부적합증과 달리 증상이 심하지 않으며 임신 횟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광선요법의 원리 및 간호 광선요법은 형광 불빛을 이용...2025.11.17
-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61. 적혈구 계수 및 농도 측정 혈액을 1X PBS에 1000배로 희석하여 혈구계수기를 이용해 광학현미경으로 적혈구 농도를 계산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일차 정사각형 안의 세포 수는 평균 241.7개였으며, 측정된 적혈구 농도는 2.42×10⁹로 정상수치 4~6×10⁹보다 낮게 나타났다. 오차 원인으로는 혈액 희석 과정에서의 문제, 소량의 샘플 사용으로 인한 희석 불완전성, 피펫 분주 시 혈액이 팁에 남아있을 가능성 등이 고려된다. 2. 혈액형 판별 항 혈청을 이용하여 혈액형을 판별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이 과정을 통해 혈액의 항원-...2025.11.16
-
신생아황달 간호과정 및 진단2025.11.151. 신생아황달의 정의 및 원인 신생아황달은 생후 3~4일경에 피부가 노란색을 띠는 증상으로, 정상 신생아의 60~80%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황달과 병적황달이 있다. 원인은 신생아의 적혈구 수명이 짧아 빌리루빈이 많이 생성되고, 간의 효소 기능이 미성숙하여 빌리루빈 변형 및 배설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빌리루빈은 적혈구가 깨질 때 나오는 heme 성분이 변환되어 만들어진다. 2. 신생아황달의 진단 및 검사 황달 진단은 손가락으로 피부를 눌렀을 때의 색상 관찰, 총 빌리루빈 수치 평가, 의사의 진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생리적 황...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