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9개
-
나위소 연보2025.05.061. 나위소 나위소(羅緯素; 1583년 선조 16년~1667년 현종 8년; 향년 85세)는 조선 시대 중기 문신으로, 호남의 대표적인 부호(富豪)이자 사대부 문학의 절정기를 구가한 국문학의 시조 시인이다. 그는 강호가계·어부가계 연시조 「강호구가」(江湖九歌) 9수의 작가이며, 17세기 나주의 문인으로 형조좌랑·호조정랑·성균관직강·광주목사·원주목사·경주부윤·승정원좌승지(정3품) 등을 역임했다. 또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초(史草) 「겸춘추일기일사」(兼春秋日記一事)의 저자이다. 2. 나위소의 가계 나위소는 본관이 나주(羅州)이며, ...2025.05.06
-
기행가사2025.05.031. 기행가사 기행가사는 어떤 지역을 여행하고 난후에 지은 가사를 발합니다. 조선시대의 기행가사에는 관서별곡, 관동별곡, 의유당 관북유람일기 등이 있습니다. 기행가사는 내용에 따라 사행가사, 관유가사, 유배가사 등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사행가사는 사신이 행차할 때 그 구성원으로 외국을 다니며 본 것을 기록한 것이고, 관유가사는 산천이나 명승지를 유람하거나 타향에서의 경험을 묘사한 것이며, 유배가사는 귀양살이를 여행의 동기로 삼아 새로 얻은 경험 등을 읊은 것입니다. 2. 관서별곡 조선 명종 때 백광홍이 지은 기행가사인 관서별곡은...2025.05.03
-
조선초기의 문학2025.01.281. 조선초기의 악장 조선초기의 악장은 악학궤범과 악장가사에 전해지고 있습니다. 정도전의 작품과 윤회의 작품인 봉황음이 대표적이며, 작자 미상의 유림가와 북전, 권근의 상대별곡, 천감, 화산 등이 있습니다. 권근의 상대별곡과 변계량의 화산별곡은 경기체가 형식의 악장입니다. 상진이 지은 감군은도 있습니다. 2. 신도가 정도전이 지은 신도가는 조선 건국 후 새 도읍 한양을 찬양한 노래입니다. 새 도읍의 아름다운 경치와 성대한 개국, 왕조의 장구한 수명과 백성들의 행복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3. 경기체가 경기체가는 크게 세 부류로 나뉩니...2025.01.28
-
일동장유가와 연행가2025.04.261. 일동장유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기행가사인 일동장유가는 조엄을 대표자로 하는 계미통신사의 삼방서기로 수행한 김임겸이 지은 장편 가사입니다. 계미통신사는 영조때에 통신사 조엄을 비롯하여 부사 이인배, 종사관 김상익, 제술관 남옥 등으로 구성이 되었습니다. 일동장유가를 지은 김인겸은 계미통신사(癸未通信使)의 삼방서기로 수행한 인물입니다. 계미통신사(癸未通信使)의 삼방서기로 수행한 김인겸은 영조 40년에 11개월 동안 일본을 견문한 바를 기록한 것입니다. 조엄을 대표자로 하는 계미 통신사 일행은 약 500명이었는데요 서울을 떠난 지 ...2025.04.26
-
『금오신화』의 문학적 가치와 사회적 의의2025.01.261. 『금오신화』의 갈래와 양식 『금오신화』는 일반적으로 한문 소설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도 초자연적 요소와 환상적 설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신화적 서사를 바탕으로 하여 현실의 인간 내면과 욕망을 드러내고 있으며, 초현실적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사회적 모순과 인간의 욕망을 자유롭게 탐구한다. 이러한 점에서 『금오신화』는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환상적 요소를 추가해 인간의 내면을 심층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 『금오신화』의 성격 분석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인간의 내면 세계를 탐구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조선 초기 유교적...2025.01.26
-
시조의 분류2025.05.011. 시조의 분류 시조는 길이에 따라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시대별로는 갑오개혁을 기준으로 고시조와 현대시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에는 평시조가 많이 나왔고, 조선후기에는 사설시조가 많이 나왔습니다. 사설시조는 길이가 긴 장시조이며, 작가가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많고 조선후기의 사회적 모순과 양반사회의 허상을 비판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시조의 기본 형식은 3장 6구이며, 조선초기까지는 정형시적 특징을 잘 지켰지만 임진왜란 이후 다양한 형식이 등장했습니다. 현대시조는 장별 배열이 아닌 구별 배열의 ...2025.05.01
-
의유당관북유람일기2025.05.051. 의유당관북유람일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는 조선 순조 때 의유당 남씨가 지은 문집으로, 남편인 신대손이 함흥판관으로 부임하자 같이 가서 지은 것입니다. 부근의 명승 고적을 돌아보며 지은 작품입니다. 의유당 남씨의 작품으로는 관북유람일기 외에도 백년봉서(白蓮峰序)를 비롯한 한문산문 3편과 한시 17수가 있습니다. 2. 동명일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핵심부분은 동명일기입니다. 동명일기에서는 해돋이를 보기 위해 발걸음을 재촉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잘 나타내었고, 해돋이를 보지 못할까 걱정하는 화자의 초조한 마음을 사실적으로 그렸습니다. 뛰어...2025.05.05
-
박지원의 『연암집』: 신분 사회를 넘어선 자유로운 정신2025.01.241. 박지원의 『연암집』 『연암집』은 18세기 조선의 문인이자 유학자 연암 박지원의 문집으로, 다양한 장르의 글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박지원은 신분 사회의 질곡을 뛰어넘어 하층민의 삶을 부각하고 지배계층의 위선을 고발하며, 해박한 지식과 명쾌한 논리, 절묘한 비유로 자유로운 정신을 표현했습니다. 그의 글은 당대 문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격상시켜 개화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2. 박지원의 문장 스타일 박지원의 문장은 신분사회의 통념이나 관습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정신이 담겨 있습니다. 그는 다양한 교우관계의 이야기로 글을 작...2025.01.24
-
문학 수업 지도안-규원가2025.05.121. 가사의 장르적 성격 가사는 내용상 교술장르이면서 형식상 서정장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초기 가사는 유교적 충효사상이나 강호한정류의 내용이 많고 후기 가사는 사실적, 체험적, 실용적인 내용이 주류를 이룬다. 2. 규원가의 표현상 특징 규원가에는 한문 고사가 많이 쓰이지만, 화자의 고조된 감정을 토로하는 부분에는 우리 고유어가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여성들의 의사소통의 통로로서 가사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다. 3. 규원가의 장르적 특성 규원가는 4음보 연속체의 운문 형식을 가지면서도 개인의 사실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산문적 성...2025.05.12
-
19세기 여항문학 퇴보인가 발전인가2025.05.101. 여항문학 여항문학은 조선후기 성시의 발달이라는 역사적 현상을 반영하며, 양반과 양인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계층인 중인들이 주도했다. 여항문학에서는 신분갈등적 요소가 등장하지만 비유적이고 소극적으로 표출되다가 점차 직접적으로 표출되었다. 19세기에는 여항문학에서 사회현실에 대한 무관심과 소시민적 생활의식, 유흥성이 강조되어 퇴보했다는 평가가 있지만, 새로운 인식지평이 드러나는 등 변화도 있었다. 2. 19세기 여항문학의 퇴보 19세기 여항문학에서는 사회현실에 대한 무관심과 소시민적 생활의식, 유흥성이 강조되어 퇴보했다는 평가가 있...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