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위소 연보
본 내용은
"
나위소 연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6
문서 내 토픽
-
1. 나위소나위소(羅緯素; 1583년 선조 16년~1667년 현종 8년; 향년 85세)는 조선 시대 중기 문신으로, 호남의 대표적인 부호(富豪)이자 사대부 문학의 절정기를 구가한 국문학의 시조 시인이다. 그는 강호가계·어부가계 연시조 「강호구가」(江湖九歌) 9수의 작가이며, 17세기 나주의 문인으로 형조좌랑·호조정랑·성균관직강·광주목사·원주목사·경주부윤·승정원좌승지(정3품) 등을 역임했다. 또한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초(史草) 「겸춘추일기일사」(兼春秋日記一事)의 저자이다.
-
2. 나위소의 가계나위소는 본관이 나주(羅州)이며, 금암공파 15세손이다. 그의 조부는 금호(錦湖) 나사침(羅士沈)이고, 부는 금암(錦巖) 나덕준(羅德峻)이다. 그의 모친은 장수 황 씨로, 익성공 황희의 6세손 증판결사 황호(黃顥)의 여식이다. 나위소는 셋째 아들로, 자는 계빈(季彬), 호는 송암(松岩)이다.
-
3. 나위소의 생애나위소는 1583년 선조 16년 전남 나주에서 출생했다. 그는 기축옥사로 인해 아버지와 삼촌이 유배되는 등 어려운 환경에서 자랐다. 그러나 35세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41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이후 중앙과 지방의 다양한 관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70세에 은퇴 후 나주로 낙향하여 영산강변에 수운정을 짓고 여생을 보냈다. 그는 85세에 사망했다.
-
4. 나위소의 문학 활동나위소는 강호가계·어부가계 연시조 「강호구가」(江湖九歌) 9수를 창작했다.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전기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전형적인 연시조 형식을 충실히 취한 대표적인 사대부 시조이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초(史草) 「겸춘추일기일사」(兼春秋日記一事)를 저술했다. 나위소는 당대 문인들과 교유하며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쳤다.
-
5. 나위소의 후손나위소의 후손들은 번성했다. 그의 직계 손자인 약헌(藥軒) 나두동은 『사례요람』, 『가례주해』 등을 저술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나위소의 증손 나만치와 현손 나숭대, 나숭곤 등이 1728년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가문이 위기를 맞기도 했다. 나위소의 후손들은 호남과 영남의 대표적인 갑부 집안이었다.
-
6. 나위소와 윤선도의 교유나위소는 당대 시인 윤선도, 기정진, 정온 등과 교유했다. 특히 나위소와 윤선도는 서로 두터운 친분 관계를 유지했다. 1652년경 영산강변에 수운정을 건립한 나위소와 윤선도는 직접 만나 회포를 풀며 교류했다. 이 시기에 나위소의 「강호구가」와 윤선도의 「어부사시사」가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두 작품은 조선 시대 사대부 문학의 절정기를 구가한 대표적인 국문학 시조 작품이다.
-
7. 나위소의 대표작 「강호구가」나위소의 대표작인 연시조 「강호구가」(江湖九歌) 9수는 강호가계와 어부가계를 노래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전기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전형적인 연시조 형식을 충실히 취한 대표적인 사대부 시조이다. 「강호구가」는 나위소의 후손 나용균이 소장한 『나씨가승』에 수록되었다가 1979년 『송암유집』으로 출판되었다.
-
8. 나위소의 저작 「겸춘추일기일사」나위소는 「겸춘추일기일사」(兼春秋日記一事)라는 저작을 남겼다. 이 저작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사초(史草)로, 1629년 인조 7년 10월 27일부터 12월 11일까지 호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 나위소가 기록한 호조의 업무 일지이다. 「겸춘추일기일사」는 조선 정부의 공식 업무 일지로 평가받고 있다.
-
9. 나위소와 기축옥사, 이인좌의 난나위소의 가문은 기축옥사와 이인좌의 난에 직접 연루되었다. 1589년 기축옥사에 나위소의 조부와 아버지 3형제가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또한 1728년 이인좌의 난 당시 나위소의 증손 나만치와 현손 나숭대, 나숭곤 등이 연루되어 가문이 위기를 맞기도 했다. 이로 인해 나위소 가문은 큰 시련을 겪었지만, 후손들이 번성했다.
-
10. 나위소의 수운정나위소는 70세에 은퇴 후 나주로 낙향하여 영산강변에 수운정(岫雲亭)을 지었다. 수운정은 중국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착안한 이름으로, 나위소가 여생을 보낸 곳이다. 1695년 나위소의 손자들이 수운정을 중수했으며, 1723년 외손 정중원이 「수운정중수기」를 작성했다. 수운정은 나위소의 문학 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장소로 평가받고 있다.
-
1. 주제2: 나위소의 가계나위소의 가계는 조선 후기 양반 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의 가문은 오랜 세월 동안 관직을 역임해 온 명문 가문이었지만, 정치적 격변기에 직면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나위소 자신도 이러한 가문의 영향을 받아 관직 생활을 하다가 정치적 탄압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가계 배경은 그의 문학 작품에서 드러나는 은일 지향적 태도와 자연에 대한 애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주제4: 나위소의 문학 활동나위소의 문학 활동은 조선 후기 문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자연에 대한 애착과 은일 지향적 태도가 돋보입니다. 그의 대표작인 「강호구가」는 자연에 대한 그의 사랑과 은일 지향적 삶의 태도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그의 저작 「겸춘추일기일사」는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나위소의 문학 활동은 조선 후기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나위소와 윤선도의 교유나위소와 윤선도의 교유는 조선 후기 문단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두 사람은 당시 문단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으며, 서로의 문학 활동에 영향을 주고받았습니다. 특히 나위소와 윤선도의 교유는 당시 문인들 간의 교류와 영향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의 교유 관계는 조선 후기 문단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
4. 주제8: 나위소의 저작 「겸춘추일기일사」나위소의 저작 「겸춘추일기일사」는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저작에서 나위소는 정치적 격변기에 직면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당시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권력 집단의 부패와 민중의 고통 등을 비판하며, 보다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겸춘추일기일사」는 나위소의 사회 비판 의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조선 후기 사회 현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
5. 주제10: 나위소의 수운정나위소의 수운정은 그의 은거 생활과 문학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소입니다. 수운정은 나위소가 은거 생활을 하며 문학 작품을 창작했던 곳으로, 그의 사상과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수운정은 나위소의 은일 지향적 태도와 자연에 대한 애착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문학 활동이 이루어진 공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운정은 나위소의 삶과 문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
남북사통속연의 79회 노장이 꾀를 잘못써 군사를 돌리고 사로잡히게 되며 혼미한 군주가 황위를 이어받아 참혹하게 죽임을 당해 원통해하다 26페이지
第七十九回 老將失謀還師被虜 昏君嗣位慘戮沈?제칠십구회 로장실모환사피로 혼군사위참륙심원남북사통속연의 79회 노장이 꾀를 잘못써 군사를 돌리고 사로잡히게 되며 혼미한 군주가 황위를 이어받아 참혹하게 죽임을 당해 원통해하다.却說高緯受封溫公, 尙向周主哀求一人, 這人爲誰?就是淑妃馮小憐。각설고위수봉온공 상향주주애구일인 저인위수 취시숙비풍소련각설하고 고위는 온공을 분봉받아도 아직 주나라 군주에게 애절하게 구하는 사람이 누구인가? 숙비 풍소련이었다.(念?在?, 可算情種。)념자재자 가산정종念?在?[nian z? zai z?]① 자나 깨나 생각하다 ②...2020.03.03· 26페이지 -
오대사통속연의 36회 장언택은 창을 거꾸로 하여 변에 들어가고 석중귀는 온 나라를 걸려 요나라에 항복했다.한문 및 한글번역 28페이지
第三十六回 張?澤倒戈入? 石重貴擧國降遼제삼십육회 장언택도과입변 석중귀거국항요오대사통속연의 36회 장언택은 창을 거꾸로 하여 변에 들어가고 석중귀는 온 나라를 걸려 요나라에 항복했다.却說遼兵環逼晉營, 氣焰甚盛, 晉營中勢孤援?, 糧食且盡。각설요병환핍진영 기염심성 진영중세고원절 양식차진각설하고 요나라병사는 둘러싸 진나라 군영을 핍박해 기염이 심대하게 성대해 진나라군영은 기세가 고립되고 지원이 끊어져 양식이 다 떨어졌다.杜威計無所施, 惟有降遼一策, 或尙得保全性命。두위계무소시 유유항요일책 혹상득보전성명두위는 시행할 계책이 없어 오직 요나라에...2017.05.28· 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