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86개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2025.01.22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방실차단이 일어나면 예후가 좋고, 반대로 하부 즉, 히스속 이하에서 차단이 일어나면 예후는 불량하다. 2. 증상 및 징후 1도 방실전도 장애 - AV node에서 잠깐의 전도 지연...2025.01.22
-
부정맥 치료2025.01.151. 약물요법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요법의 목적은 부정맥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항부정맥제도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약물요법에는 나트륨통로차단제, 교감신경 베타수용체 차단제, 칼륨통로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기타약물 등이 있다. 2. 전기충격요법 전기충격요법(electric shock)은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직류 전기를 이용하여 심근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심장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흥분을 제거하고 정상적인 리듬으로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제세동과 심장율동 전환술이 있...2025.01.15
-
91세 고령 환자의 심실빈맥 관리2025.01.071. 심실빈맥 심실빈맥은 심실에서 심박조절자로 작용하는 이소성 부위가 과도하게 흥분될 때 나타나는 치명적인 부정맥이다. 심실빈맥은 정상박동 없이 조기심실수축이 계속적(3개 이상)으로 발생하는 상태이다. 심실빈맥은 심박출량이 매우 감소하여 뇌와 심근의 허혈상태가 빠르게 발생하여 심실세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심실빈맥은 단일 모양이거나 여러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심실빈맥은 선천성 심기형, 허혈성 심질환, 심근병증, 판막질환 등과 같은 심실에 구조적 심장병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전해질 장애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2. 심실빈...2025.01.07
-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025.01.291. 심장의 기본 구조 심장은 인체의 흉강에 위치하며, 대략 주먹만한 크기로, 근육으로 이루어진 중공 기관이다. 심장은 총 네 개의 방으로 나뉘며, 각각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로 구분된다. 이 네 개의 방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여 혈액을 몸의 여러 부위로 순환시킨다. 2. 심장의 밸브와 순환 과정 심장에는 네 개의 주요 밸브가 있으며, 이 밸브들은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각의 밸브는 우심방과 우심실,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또는 심실과 주요 동맥 사이에 위치해 있다. 3. 심장의 ...2025.01.29
-
성인간호학 심방세동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2025.05.03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실상성 자극형성장애로, 심방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아주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이며 심방수축이 효과적이지 않다. 원인으로는 선천적/후천적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결합조직 질환, 전기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다. 심방세동의 빈도는 구조적인 심장병이 있을 때 더욱 높아지는데 류마틱 심질환, 관상동맥질환, 승모판질환, 갑상샘기능항진증 그리고 고혈압 특히 그 중에서도 심부전과 동반되는 경우에는 40%의 환자에서 심방세동...2025.05.03
-
성인간호학 부정맥 정리본 A+2025.01.171.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박동장애로,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이는 전기적 전도 및 흥분전달장애, 심근의 허혈상태로 인해 발생한다. 자발성 장애는 심박조절이 동방결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서 시작되는 경우이며, 전도장애는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전기적 자극이 정상적인 전도계를 통해 전달되지 못하고 방해받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선천기형, 전해질 불균형, 약물, 스트레스, 심장질환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빈맥, 서맥, 심계항진, 맥박 건너뛰기 등이 있다. 진단은 건강력 청취, 심혈관계 검사, 심전도 등을...2025.01.17
-
제세동기 defibrillator 사용법, 제세동, 심율동전환, defibrillation, cardioversion2025.01.131. 제세동기 사용법 제세동기는 전류의 전달시간이 짧은 직류를 심장에 전달시켜 일시적으로 심근을 탈분극시켜 심실세동이나 다른 종류의 부정맥을 멈추게 하고 정상적인 심박수와 리듬을 되찾게 하기 위한 기계입니다. 제세동기의 주요 구성 요소와 사용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defibrillation과 cardioversion의 차이 defibrillation은 동기직류 방전장치의 작동없이 심실잔떨림(심실세동)을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cardioversion은 심실잔떨림 이외의 부정맥을 동기직류 방전장치...2025.01.13
-
Escape rhythm2025.01.031. Escape rhythm Escape rhythm은 심장의 정상 박동 조절 기능이 실패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동방결절의 기능 장애나 완전 방실차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장의 다른 부위에서 자체적으로 박동을 생성하여 심장 활동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escape rhythm에는 심방 escape rhythm, 접합부 escape rhythm, 심실 escape rhythm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발생 원인, 치료법이 다릅니다. 2. Atrial escape rhythm Atrial esca...2025.01.03
-
인체구조와 기능(심장파트) 정리2025.01.171. 심장순환계통 심장은 폐순환과 체순환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폐순환은 기체 교환을 위해 혈액을 폐로 보내고, 체순환은 폐를 제외한 모든 신체 기관에 혈액을 공급합니다. 심장은 종격 속에 위치하며, 크기는 주먹 크기 정도이고 무게는 약 300g입니다. 심장은 심막이라는 두 겹의 주머니 속에 둘러싸여 있으며, 심외막, 심근층, 심내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장은 네 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실판막과 반월판막이 혈액의 흐름을 조절합니다. 관상동맥은 심장벽에 혈액을 공급하며, 정맥환류를 통해 혈액이 우심방으로 돌아옵니다...2025.01.17
-
영아 연구의 정신생리학적 방법2025.01.271. 중추신경계 기능 평가 중추신경계 전기생리학적 기술이나 뇌영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영아의 중추신경계에서의 기능적 발달을 평가할 수 있다. ERP(사건유발전위)는 영아가 특정 자극을 인식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며, fMRI는 뇌의 활동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2. 자율신경계 반응 측정 반사, 호흡, 심장 박동률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여 영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심장 박동률은 영아의 정서 발달 및 깊이 지각 실험에 적용되어 왔다. 3. 정신생리학적 방법의 장단점 정신생리학적 지표는 행동 측정보다 더 객관적...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