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6개
-
[논리회로설계실험] Mux, Demux (dataflow/gatelevel modeling) (성균관대)2025.01.211. MUX MUX는 멀티플렉서라고도 하며 다수의 정보 장치를 소수의 채널이나 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MUX는 여러 입력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선에 연결하는 '조합 논리 회로'로 선택선의 값에 따라 한 입력선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입력선이 n개 있을 때 선택선은 log2n개가 필요하다. 2. DEMUX DEMUX는 디멀티플렉서라고도 하며 하나의 입력선을 여러 개의 출력선 중 하나에 연결하는 '조합 논리 회로'이다. 선택선의 값에 따라 하나의 출력선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출력선은 비활성화된다. 일반적으로 출력선이...2025.01.21
-
다중화기와 집중화기의 개념과 차이점2025.01.151. 다중화기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에 동시에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화 등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통신 효율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중화기를 사용하면 여러 대의 컴퓨터나 전화기를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연결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화할 수 있습니다. 2. 집중화기 집중화기는 다중화된 신호를 다시 개별적인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의 목적지로 보내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다중화된 데이터를 분배하거나 다중화된 통신 회선의 신...2025.01.15
-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의 비교2025.04.271. 유선통신의 특징 유선통신은 통신을 하는 양측을 연결하기 위한 선을 가진 통신방식으로, 송수신 양자가 전선로로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신호가 매개되는 전기통신을 말한다. 유선통신은 연결선을 활용하기 때문에 송-수신자가 일대일로 통신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유선통신을 활용한 서비스로는 시내전화, 시외전화, 인터넷전화와 같은 유선전화서비스, 초고속인터넷, 전신/전보 등과 같은 데이터통신서비스가 있다. 2. 무선통신의 특징 무선통신은 전선을 통하지 않고 전파를 통하여 신호, 부호, 영상, 음성 등의 정보를 교신하는 것이다. 무선통신은 전...2025.04.27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M1-2. I/O 기초와 시리얼 통신 예비보고서2025.05.101. 디지털 I/O 디지털 신호는 High(1) 또는 Low(0)라는 두 가지 값으로 나뉜다. 또한 이 값은 입력 혹은 출력의 값으로 쓰인다. 아두이노의 디지털 입력과 출력은 센서, 엑츄에이터 및 기타 집적회로를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2. 아날로그 I/O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와 달리 어떤 값도 가질 수 있는 신호다. 아날로그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아두이노에 내장된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사용한다. 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3. 시리얼 통신 시리얼 통...2025.05.10
-
광통신 시스템의 전반사 원리와 광섬유 구조2025.11.151.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 빛이 경계면에서 100% 반사되는 현상으로, 경계면 안쪽의 굴절률이 바깥쪽보다 커야 하며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해야 한다. 광섬유에서는 코어 구조와 코어보다 낮은 굴절률의 클래드로 구성되어 전반사를 이용해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호 전달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2. 광섬유(Optical Fiber) 구조 광통신에서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광섬유는 빛이 진행하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클래드로 구성된다. 클래드의 굴절률이 코어보다 작아야 전반사가 발생하여 빛이 광섬유 내에...2025.11.15
-
OSI 참조모델의 하위 3계층 기능2025.11.14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OSI 참조모델의 물리 계층은 네트워크의 하드웨어적 부분을 담당하며,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계층입니다. 케이블, 허브, 리피터 등의 하드웨어 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며, 신호의 전압, 속도, 전송 거리 등을 관리합니다. 물리적 매체를 통해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과정을 담당합니다. 2.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받은 비트들을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류 제어, 흐름 제어,...2025.11.14
-
정보통신기기I ) 자동 재전송 방식(ARQ)에 대해서 설명하시오.2025.05.141. ARQ의 개요, 정지대기 ARQ 원리 및 특징 ARQ는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위한 기술이다. ARQ는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된다. ARQ는 기본적으로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 송신자는 데이터를 분할하여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으로 나눈다. 둘째, 수신자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CRC 등의 오류 검출 코드를 이용해 오류를 검출한다. 셋째, 오류가 검출된 경우, 수신자는 이를 송신자에게 알리고, 송신자는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자에게...2025.05.14
-
서강대학교 23년도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10주차 Lab010 결과레포트 (A+자료)2025.01.121. USART 통신 USART 통신의 기본 동작을 전송속도, parity, stop bits 등을 변경하면서 확인하였습니다. Polling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여 각종 flag들의 역할을 이해하였고, 인터럽트에 의한 데이터 전송도 구현하였습니다. USART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 상황들을 확인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였습니다. 2. 직렬 통신 직렬 통신의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였습니다. 비동기 방식의 USART 통신에서 start bit, stop bit, baud rate 등의 개념을 학습하...2025.01.12
-
[A+, 에리카] 2021-1학기 논리설계및실험 Register 실험결과보고서2025.05.011.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공동의 clock input과 여러 그룹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진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바꾸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레지스터는 특정한 목적으로 외부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이 매우 빠르고 중앙처리 장치 안에 사용됩니다. 2. 직렬 입력 vs 병렬 입력, 직렬 출력 vs 병렬 출력 직렬 입력 -> 직렬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 신호와 함께 레지스터를 거쳐 데이터가 출력됩니다. 직렬 입력 -> 병렬 출력: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 신호와 함께 레지스터를 거쳐 ...2025.05.01
-
A+ 광통신 - 광섬유의 종류와 모드2025.01.081. 광섬유의 종류 광섬유는 매질에 따라 유리 광섬유(GOF), 플라스틱 클래드 실리카 광섬유(PCF), 플라스틱 광섬유(POF)로 분류됩니다. 코어 지름에 따라 단일모드 광섬유와 다중모드 광섬유로 나뉘며, 코어의 굴절률 분포에 따라 계단형 광섬유와 경사형 광섬유로 구분됩니다. 각 종류별로 특징과 적용 분야가 다릅니다. 2. 단일모드 광섬유 단일모드 광섬유는 균일한 광학 특성과 저손실로 장거리 고전송이 가능하며, 1310nm와 1550nm 파장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우수한 기하학적 구조로 접속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거리 무송...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