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통신 시스템의 전반사 원리와 광섬유 구조
본 내용은
"
레이저 및 광통신 실험 A+ 광통신 분산 의존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4
문서 내 토픽
-
1.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빛이 경계면에서 100% 반사되는 현상으로, 경계면 안쪽의 굴절률이 바깥쪽보다 커야 하며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해야 한다. 광섬유에서는 코어 구조와 코어보다 낮은 굴절률의 클래드로 구성되어 전반사를 이용해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호 전달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
2. 광섬유(Optical Fiber) 구조광통신에서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광섬유는 빛이 진행하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클래드로 구성된다. 클래드의 굴절률이 코어보다 작아야 전반사가 발생하여 빛이 광섬유 내에서 손실 없이 전파될 수 있다.
-
3.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광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원 역할을 한다. 주입 전류가 증가할수록 광출력이 커지는 특징이 있으며, 입력 신호에 따라 주입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켜 빛의 세기를 시간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정보를 광신호로 변환한다.
-
4. 광통신 시스템(Optical Communication System)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섬유를 통해 전달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전반사 원리를 이용한 광섬유의 효율적인 신호 전달과 레이저 다이오드의 신호 변조 기술이 핵심 요소이다.
-
1.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전반사는 광학 및 통신 기술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물리 현상입니다. 빛이 더 밀도 높은 매질에서 낮은 매질로 이동할 때 임계각을 초과하면 모든 빛이 반사되는 이 현상은 광섬유 통신의 핵심 원리입니다. 전반사를 통해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장거리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현대 통신 인프라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의료 내시경, 프로젝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전반사의 정확한 이해는 광학 시스템 설계에 필수적이며, 앞으로도 새로운 광학 기술 개발의 토대가 될 것입니다.
-
2. 광섬유(Optical Fiber) 구조광섬유의 구조는 코어, 클래딩, 버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정밀한 설계가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코어와 클래딩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전반사를 유도하여 신호를 안내합니다. 단일모드와 다중모드 광섬유는 서로 다른 용도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현대 통신망의 백본을 형성합니다. 광섬유의 구조적 우수성은 전자기 간섭에 강하고,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며, 장거리 전송에 유리합니다. 지속적인 재료 과학의 발전으로 더욱 향상된 성능의 광섬유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미래 통신 기술의 발전을 주도할 것입니다.
-
3.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레이저 다이오드는 소형, 고효율, 장수명의 특성으로 광통신 시스템의 핵심 광원입니다. 반도체 물질의 자극 방출을 이용하여 일관성 있는 단색광을 생성하며, 직접 변조가 가능하여 고속 신호 전송에 적합합니다. 다양한 파장대의 레이저 다이오드 개발로 파장분할 다중화 기술이 실현되어 통신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켰습니다. 온도 안정성, 신뢰성,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의 발전은 5G, 6G 등 차세대 통신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이며, 센싱, 의료, 산업용 응용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
4. 광통신 시스템(Optical Communication System)광통신 시스템은 현대 정보사회의 기반을 이루는 핵심 기술로,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신호가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고 수신단에서 검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효율적으로 통합되어 있습니다. 파장분할 다중화, 시간분할 다중화 등 다양한 기술로 전송 용량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광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금융거래, 의료 정보 등 사회 전반에 필수적이며, 지구촌 연결의 주역입니다. 향후 양자 통신, 자유공간 광통신 등 새로운 기술과의 융합으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
광섬유 원리 및 특성 실험 예비보고서 4페이지
광학 및 레이저 실험예 비 보 고 서실 험 제 목실 험 일 자담 당 교 수담 당 조 교학 과조 / 학 번이 름광학 및 레이저 실험실험 4. 광섬유 원리 및 특성 실험가. 실 험 목 적광통신 시스템의 주요 부분인 광섬유(Optical fiber) 도파로의 구조와 특성, 전송손실에 대해 이해하고, 원거리 전송을 위해서 광섬유를 결합하는 방법들 중 융착접속(Fusion splicing)과 그에 따른 접속손실을 알아보고 다중모드 광섬유(Multi-mode fiber)에서 결맞은(Coherent) 광원의 간섭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모드잡음(M...2011.11.28· 4페이지 -
광섬유의 원리 및 특성과 스플라이싱 실험 결과보고서 8페이지
광섬유 원리 및 특성 실험ABSTRACT광통신 시스템의 주요 부분인 광섬유의 구조와 특성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광섬유를 절단시킨 뒤 종류에 따라 융착접속 후에 발생되는 손실의 측정하고 모드잡음을 측정한다. 융착접속이 정확하게 될 경우 융착접속으로 인한 손실은 매우 작다. 다중모드와 단일모드에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은 단일모드에 광원을 연결할 경우의 손실이 다중모드에 광원을 연결한 경우에 비해 작다.INTRODUCTION(1)광섬유광섬유는 석영을 원료로 만든 유리선으로 실리카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얇고 유연한 섬유로 빛을 ...2017.10.15· 8페이지 -
레이저 공학 레포트 (응용분야, 레이저 거리 센서) 11페이지
레이저란레이저란, LASER(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약자로, 전자기파를 증폭하거나 발진하는 장치이다. 해당 원어는 유도방출에 의한 광증폭이라는 뜻이다. 들뜬 상태에 있는 원자 물질의 유도 복사 성질을 이용하여 광자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것이다. 서브 밀리미터파로부터 진공 자외선영역에 이르는 파장 범위의 것을 레이저라 하며, 밀리미터파보다 장파장인 것은 따로 메이저라 한다.다시 한 번 말하자면, 레이저는 자연광 이외의 특정 파장이나 에너지를 갖는 광원을 ...2018.11.15· 11페이지 -
광통신 22페이지
광(光) 통신융합 기술*목 차광통신 광원 광섬유 수광 소자 광통신의 사용 예 광통신의 시장성*☺ 예전 VS 현재“봉화”“광케이블”☀ 광통신이란?*☺ 광학의 발전☀ 광통신이란?광섬유를 주체로 발전광 연산, 광 입ㆍ출력 기기, 광 계측 등의 분야이에 대한 연구는 성숙단계에 있으며, 광 증폭기의 실용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수광 및 발광 디바이스, 광회로 부품, 광 접속 기술 등의 기술 개발에 의해 여러 가지 시스템 구성여러 가지 시스템 구성 가능 ex) 실내, 실외, 지하, 가공 또는 해저 등 여러 가지 환경에 포설 가능☺ 광통신의 발...2013.05.30· 22페이지 -
광커넥터 및 광 수동소자 특성 측정 6페이지
광커넥터 및 광 수동소자 특성 측정Abstract여러 커넥터 타입 중 손실이 가장 작은 타입은 SC/PC-SC/PC 커넥터 타입이다. 커넥터 결합시에 정렬의 어긋남이 최소이기 때문에 저 손실이다. 광 아이솔레이터는 1310nm, 1550nm 두 광원 모두 순방향 일 때 손실이 작음을 확인하였다..INTRODUCTION광커넥터는 광섬유가 탈착 가능한 접속 부품으로서 광섬유 코드와 통신 기기 내에 사용된다. 사용 형태에 있어서 기능 및 조작성의 특성은 종래의 전 기계 커넥터와 같은 모양이다. 그 구조와 종류는 기술 진전에 따라 다양하다...2013.05.09·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