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7개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4.29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on-off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입니다. 고효율,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다수의 전자기기 및 장비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DC-DC 컨버터에 있어 부품의 기생 요소에 의해 출력전압의 저하가 발생하면 안정화 전원으로서의 응용이 곤란하므로 PWM 방식을 채택한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줍니다. 2. PW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를 구성하여 톱니 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2025.04.29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5.101. PWM 제어 회로 설계 UC3845 PWM 제어 IC를 이용하여 0.1V ~ 13.5V의 PWM 제어 회로를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12.5kHz로 설정한다. PWM 제어 회로의 출력 신호는 Driver stage의 스위치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2. Buck Converter 회로 설계 PWM 제어 회로와 Buck Converter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 5V, 출력 전압 2.5V의 SMPS를 설계할 수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12.5kHz이며, 듀티 사이클 D=0.5이다. 인덕터 전류의 리플 전류와 출력 전압...2025.05.10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2_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_결과보고서2025.01.21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의 가변저항 크기 변경을 통해 원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만들 수 있었고, 제어회로의 출력 펄스를 통해 SMPS 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었다. 2. Buck Converter PWM 제어회로와 Buck Converter를 이용해 일정한 직류 출력을 내는 SMPS 회로를 설계하였다. 3. SMPS 회로 SMPS는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공급해주는 안정화 장치로 그 중요도가 높다. SMPS 회로 동작 중 부품의 기생 요소에 의한 전압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PWM 방식을 채택하였다. 4. PWM...2025.01.21
-
[A+]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52025.01.041. BJT와 MOSFET을 이용한 RTL switch 회로 설계 및 구현 이 보고서의 목적은 BJT와 MOSFET을 사용하여 TTL 레벨의 전압(5V)으로 동작하는 RTL switch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relay 또는 LED를 구동하고 그 동작을 측정 및 평가하는 것입니다. 준비물로는 Function Generator, Oscilloscope, DC Power Supply, BJT, LED, MOSFET, 저항 등이 필요합니다. 설계 계획으로는 BJT 2N3904를 사용하여 BL-B4531 LED를 구동하는 회로를 설계하고...2025.01.04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5.031. Pushbutton switch 연결 Pushbutton switch을 브레드보드를 이용해서 연결할 때, Pushbutton switch의 핀이 브레드보드와 완전히 호환되지 않아 누를 때마다 계속 빠지는 현상이 있었다. 이때 회로를 제 때 끊지 않아 저항에 계속 전류가 흐르게 된 경우가 있었고 이로 인한 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2. 저항 과전류 문제 만약 Pushbutton switch가 없다면 저항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회로전체, 특히 저항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저항이 타버릴 수 있다. ...2025.05.03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11 카운터 설계2025.05.151. 비동기 8진 카운터 설계 이 실습에서는 3개의 flip-flop 소자를 사용하여 비동기 8진 카운터를 설계하였습니다. 스위치를 on/off 할 때마다 카운팅이 되도록 하였고, falling edge triggered 소자를 사용하여 스위치를 1->0으로 변경할 때 카운팅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chatter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하단에 capacitor를 추가로 연결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스위치를 off 상태에서 두 번 클릭할 때마다 숫자가 한 번씩 카운팅 되었습니다. 2. chattering 현상 chatte...2025.05.15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2장 결과 보고서2025.01.04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에 공급해주는 직류 안정화 전원으로, PWM 제어 회로를 이용한다. PWM 제어 회로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생긴 오차를 오차 증폭기로 증폭한다. 이렇게 증폭된 오차는 comparator에서 톱니파와 비교되어 오차에 상응하는 구형파 펄스를 생성한다. 구형파 펄스가 driver stage를 통하여 converter의 스위치를 구동하게 되며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켜준다. 2. PW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 모듈의 블...2025.01.04
-
전기전자기초실험2 5주차 트랜지스터1(예비+결과레포트)2025.01.241. 트랜지스터의 종류 트랜지스터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FET(Field Effect Transistor)가 있습니다. BJT는 전류 제어 방식으로 작동하며 NPN과 PNP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FET는 전압으로 제어되며 JFET(Junction FET)와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ET) 등이 있습니다. MOSFET은 전력 제어에 유리하고 빠른 스위칭 속도로 다양한 전자기기에 활용됩니다. 2.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의 차이 NPN 트랜...2025.01.24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2주차2025.01.171.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동작 원리와 회로 모듈을 이해하여 SMPS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PWM 제어 회로는 출력 전압의 오차분에 상응하여 펄스폭을 조정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화 시키는 회로이며 크게 세가지로 구성되어있다. 오차 증폭기(Error amp), 비교기(Comparator), 구동회로(driver stage)로 구성된다. 생성된 구형파 펄스는 UC3845의 6번 output 핀을 통해 구동회로의 스위치로...2025.01.17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5.151. 6 V 건전지의 출력저항 측정 6 V 건전지의 출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6 V 건전지와 10 Ω 저항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측정한 결과,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1.41 Ω으로 나타났다. 작은 저항값을 가진 회로에서는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Pushbutton switch 사용 이유 Pushbutton switch를 사용하는 이유는 작은 저항값을 가진 회로에서 많은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하여 소자가 탈 수 있기 때문이다. Pushbutton switch를 사용하면 회로를 간헐적으로 연결...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