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9개
-
고려 역사 탐구2025.01.181. 고려의 왕 고려는 왕건에 의해 918년에 건국된 후 태조에서 시작하여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목종, 현종, 덕종, 정종으로 이어졌습니다. 고려 중기의 왕은 문종, 순종, 선종, 헌종, 숙종, 예종, 인종, 의종이었고, 무신정권 시대의 왕은 명종, 신종, 희종, 강종, 고종, 원종이었습니다. 원나라 간섭기와 고려말엽의 왕들은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이었습니다. 2. 고려의 미술 고려의 미술은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정교한 도자기와 석조 예술, 금속 공...2025.01.18
-
고려의 문학과 예술2025.05.091. 고려 시대 구비문학 고려 시대에는 구비문학이 발달하였으며, 대표적인 구비문학은 고려가요입니다. 고려가요는 민간에서 성행하던 문학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한 작품이 많았습니다. 고려가요는 조선 시대에 기록되어 궁중음악으로 활용되었지만, 당시에는 '남녀상열지사'로 천대받았습니다. 월령체 고려가요인 '동동'은 고려 시대 구비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2. 고려 시대 회화 고려 시대 회화는 불교 관련 회화가 크게 발달하였습니다. 고려 전기에는 사찰 중심으로 회화가 발달하였고, 고려 후기에는 도화원이 설치되면서 문인화가 발달하였습...2025.05.09
-
삼국유사(三國遺事) 발표 ppt2025.01.131. 삼국유사(三國遺事) 개관 『삼국유사(三國遺事)』는 1281년(고려 충렬왕 7년)에 승려 일연(一然)이 저술한 역사서입니다.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로 서술되어 신라·백제·고구려 세 나라의 역사뿐만 아니라 고조선과 기자 및 위만 조선을 비롯하여 가락 등의 사적, 신화·전설·시가(詩歌) 등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습니다. 2. 삼국유사의 편찬 의도 일연 국사는 고려 전기 지식인들의 지나친 사대주의와 몽골의 침략에 따른 내정간섭, 송나라가 몽골족인 원나라에 의해 멸망한 상황에서 민족 자주적 입장에 서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버금갈 만한 유...2025.01.13
-
한국방송통신대학 일본학과 기말과제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2025.01.241.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은 전쟁, 학살 등의 잔혹한 참상이 벌어졌던 역사적 장소나 재난, 재해 현장을 둘러보고 교훈을 얻기 위하여 떠나는 여행을 말한다. 이는 '부정적 유산' 또는 '네거티브 헤리티지(Negative Heritage)'라고 불리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아픈 흔적이 담긴 유산을 관광지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아우슈비츠 수용소, 9.11 테러 현장, 히로시마 원폭 유적지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국립 5.18 민주묘지, 서대문형무소역사관,...2025.01.24
-
역사 문화유산 탐방(강원.원주) 탑사2025.04.281. 원주시 개관 원주시는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원도의 서남단에 자리잡고 있다. 동남쪽에는 험준한 차령산맥이 뻗어 내리며, 원주천이 서북쪽으로 흘러 섬강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일찍부터 인류가 생활하면서 문화의 싹을 키워왔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가장 동쪽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각축장이 되기도 했으며,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많은 변천을 겪었다. 2. 거돈사지 거돈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으나, 천년의 세월을 자랑하는 느티나무가 남아있다. 거돈사에는 원공...2025.04.28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2025.01.25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비교 구석기 시대의 인류는 수렵과 채집을 주요 생활 수단으로 삼았으며, 동굴이나 바위 아래와 같은 자연적인 피난처에서 거주하며 돌로 만든 도구를 사용했다. 불의 사용이 중요한 진전이었다. 신석기 시대에는 농경과 목축의 시작으로 정착 생활이 가능해졌고, 토기 제작 기술이 발달했다. 씨족 단위로 생활하며 경제 활동이 확대되었고, 자연에 대한 관심과 신앙이 생겨났다. 구석기 시대의 수렵과 채집 중심 유목 생활에서 신석기 시대의 농경과 목축 중심 정착 생활로의 전환은 인류 역사에서 중대한 발전이었다. ...2025.01.25
-
한국건축사(동양건축사) 15-16장 요약2025.05.161. 고려 불사건축 가람배치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던 2탑식 가람배치가 계승 사용되었으며, 삼국시대의 1탑식 가람배치도 겸하여 사용되었다. 주요 불전이 건축된 가람좌우에 동원과 서원이 부속 인접되어 건축되었다. 고려 중기 이후의 불사는 평지가람도 자유로운 배치를 가진 것이 많이 조영되었다. 2. 부석사 가람배치 부석사의 가람배치는 매우 특이하며 누하진입 형식을 취하고 있다. 지형에 따라 큰 자연석으로 쌓아올린 9개의 석단들을 만들어 그 대지위에 건물들을 배치하였으며 제일 위에 놓인 가장 높은 석축 기단 위에는 본전 건물인 무량수전이 ...2025.05.16
-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감상문 - 불상과 사리장엄구, 도자기를 중심으로2025.05.141. 불교 미술 국립중앙박물관의 상설전시회에서 불교 미술 작품들을 관람했습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불상들을 관찰하며 각 시대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반가사유상의 의미와 비로자나불의 수인 등 불상들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배웠습니다. 또한 아미타삼존불과 관음보살상을 통해 부처와 보살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2. 사리장엄구 전시관에서는 삼국시대와 조선시대의 다양한 사리장엄구를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감은사 터의 동탑 사리구는 사천왕의 표현이 돋보였으며, 조선시대 사리장엄구의 특징인 원형 합 형태도 관찰할 수 있었...2025.05.14
-
나계종 연보2025.05.061. 나계종 나계종(羅繼從)은 고려 시대 후기의 충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전리좌랑, 예문관제학 등의 주요 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삼은각에 배향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에도 태조의 부름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한시 85수를 창작하고 성리학을 논한 서간을 저술했으며, 특히 오언 절구와 칠언 율시에 뛰어났다고 평가된다. 그의 저서 『죽헌유집』은 1650년 조선 시대에 간행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 고려 시대 문신 나계종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춘추관검열, 사헌부...2025.05.06
-
[한국미술사] 고려 불화의 역사와 특징2025.01.161. 고려 불화의 제작 배경 고려 불화의 제작 배경은 크게 고려 전기와 고려 후기로 나눌 수 있다. 고려 전기에는 관료적 귀족 사회로서 관료, 귀족들을 중심으로 한 교종 불교가 주축을 이루던 사회였다. 고려 후기에는 무신 정변과 원의 침략으로 중심 세력이 무신에서 권문세족으로 넘어간 시대였으며, 구체적인 실천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는다는 실천불교인 선종이 유행하였다. 따라서 고려 불화는 전기에는 교종이 유행함에 따라, 후기에는 선종이 유행함에 따라 주제를 달리하는 경향을 띄게 되었다. 2. 고려 불화의 주제 고려 전기에는 변상도...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