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8개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10 7segment/decoder 회로설계2025.05.151. 7-segment LED 7-segment LED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common anode type과 common cathode type이 있으며, anode가 모두 공통으로 Vcc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점등시키고자 하는 LED만 ground에 연결하면 되고, cathode가 모두 공통으로 ground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점등시키고자 하는 LED만 Vcc에 연결하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 Decoder Decoder는 binary 입력을 받아 7-segment LED를 점등하기 위해 7개의 출력 bit를 가지는 ...2025.05.15
-
기초전자공학 - 전기회로의 기초실습32025.01.041. 교류에 의한 LED 점등 함수발생기(FG)의 출력을 구형파로 선택하고 진폭을 조절하여 LED에 적당한 밝기의 교류전압을 인가했다. 주파수를 1Hz에서 10Hz로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LED의 반짝임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관찰했다. 주파수 10Hz에서 LED를 좌우로 흔들면 잔상이 보였다. 주파수 1kHz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했다. 2. 정현파, 삼각파 및 구형파 관찰 함수발생기(FG)의 출력을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고,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 각각의 파형을 관찰했다. 주파수와 진폭을 조절하면서 파형의 변화를 확인했다. 단, ...2025.01.04
-
피드백 증폭기 설계 및 실습2025.11.12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 설계. PSpice를 이용하여 입력저항 1kΩ, 부하저항 1kΩ, 전원 12V 조건에서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분석. 입력 전압의 2배가 출력전압으로 나오는 linear 특성을 확인. 입력저항과 부하저항 변경 시에도 동일한 특성 유지. 전원 전압이 충분하지 않을 때는 MOSFET의 특성으로 인해 출력이 전원 전압을 따라가는 현상 관찰.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입력이 전...2025.11.12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74LS47 Driver를 이용한 7-Segment 실험 12025.05.161. 7-segment 디스플레이 7-segment는 7개의 마디와 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이다. 마디와 점은 모두 LED이며, 7개의 마디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숫자나 영문자를 표시하고, 점으로는 소수점을 표시한다. 7-segment는 애노드 공통형과 캐소드 공통형이 있으며, 애노드 공통형이 주로 사용된다. 2. 7447 디코더 7447 디코더는 BCD 코드를 10진수로 바꾸어 7-segment에 표시해 준다. 출력 단자는 7-segment의 7개의 마디(a~g)와 연결하며, 출력 단자로 'low'를 출력하여 7-seg...2025.05.16
-
7 segment counter 결과보고서(틴커캐드)2025.05.031. 7 segment decoder와 7 segment LED 7 segment decoder와 7 segment LED를 연결해 Decoder에 입력되는 이진수에 따라 대응되는 10진수의 표기를 LED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입력은 0000부터 1111까지 실험을 진행했으며, 0부터 9까지 입력되는 이진수와 대응되는 10진수가 7 segment LED에 디지털 숫자 표기로 나타났다. 그러나 10부터 15까지는 한 개의 7 segment LED로는 표기할 수 없어 입력값에 따른 표기가 나타나지 않았다. 2. 4 bit deca...2025.05.03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2025.01.12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실습 4.1(A), (B)에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의 입력저항을 1㏀로, 부하저항을 1㏀ 저항으로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0V부터 6V까지 1V씩 증가시키며 출력전압을 측정한 후, 입력저항 10㏀, 부하저항 100Ω으로 교체하여 같은 방식으로 입력전압을 증가시키며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두 측정값을 비교해 보았다. 두 실습의 출력전압을 비교해본 결과, 입력저항과 부하저항을 바꾸었을 때 gain과 출력전압의 차이가 아주 작았다. 이것을 통해, 식 × 에서 알 수 있듯...2025.01.12
-
전자회로설계실습 실습 9 결과보고서2025.01.04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의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값에 변화를 주며 출력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출력전압의 측정값이나 gain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전원 전압을 12V에서 8V로 하강시키고 입력전압을 증가시키며 측정값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8V로 하강시키자 일정 입력전압 이상에서 gain을 유지하지 못하고 출력전압이 전원 전압을 넘지 못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의 Rf에 변화를 주며 LED에...2025.01.04
-
[부산대 이학전자실험] 6. Op amp-32025.01.021. 비교기 회로 비교기 회로는 전압을 비교하는 데 적합하다. 입력전압이 다른 입력단자의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출력 측이 자신의 상태를 정해진 한계 값으로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똑같은 크기의 전압일 경우 출력은 0이다. 비교기에서 전압증폭도는 낮지만 반응시간이 빠르다. 2.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하는 정류작용을 하는 전자 부품이다. 순방향 바이어스 시 전류가 잘 흐르지만 역방향 바이어스 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러한 정류 특성으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3.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는 P...2025.01.02
-
디지털회로실험: 시프트 레지스터, 링카운터, 존슨카운터2025.11.151.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s) 시프트 레지스터는 2진식 정보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지스터로, 한 플립플롭의 출력이 다음 플립플롭의 입력에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입니다. 모든 플립플롭은 동일한 클록펄스를 받아 다음 단계로의 시프트가 발생합니다. 직렬 입력-직렬 출력, 직렬 입력-병렬 출력, 병렬 입력-직렬 출력, 병렬 입력-병렬 출력으로 구분되며, 실험에서는 8-bit 직렬 입력-병렬 출력 시프트 레지스터(74LS164)를 사용하여 클록펄스의 상승 엣지마다 값이 시프트되는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2....2025.11.15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 예비보고서12025.01.201. High-Pass Filter 설계 설계실습 계획서1-3-1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RE200B)와 증폭기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High-Pass Filter(DC-block, 3-dB freq.=5 Hz)를 R과 C를 이용하여 설계하는 내용이 다루어졌습니다. 주어진 C 값 10uF와 3dB 주파수 5Hz를 이용하여 R 값을 3.183kΩ으로 계산하였습니다. 2. 2-stage Op-amp 반전증폭기 설계 1-3-2에서는 적외선 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2-stage Op-amp 반전증폭기를 설계하였습니다. 각 반...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