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
본 내용은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7
문서 내 토픽
-
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실습 4.1(A), (B)에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의 입력저항을 1㏀로, 부하저항을 1㏀ 저항으로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0V부터 6V까지 1V씩 증가시키며 출력전압을 측정한 후, 입력저항 10㏀, 부하저항 100Ω으로 교체하여 같은 방식으로 입력전압을 증가시키며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두 측정값을 비교해 보았다. 두 실습의 출력전압을 비교해본 결과, 입력저항과 부하저항을 바꾸었을 때 gain과 출력전압의 차이가 아주 작았다. 이것을 통해, 식 × 에서 알 수 있듯이 출력전압 는 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2. 전원 전압 변경에 따른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출력실습 4.1(C)에서 전원 전압을 8V로 변경하고 입력전압 증가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입력전압이 5V 이상일 때, gain이 감소하며 출력전압이 전원 전압을 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3.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의 를 1㏀ 저항으로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0V부터 10V까지 1V씩 증가시키며 LED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후, 값을 0.5㏀으로 변경하여 다시 회로를 제작하고 같은 방식으로 입력전압을 증가시키며 LED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의 증가에 따라 LED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 값이 감소함에 따라, 같은 입력전압일 때 전류 측정값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것을 통해, 식 ≅ 에서 알 수 있듯이, 값이 감소할수록 LED에 흐르는 전류 값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4. 구형파 입력에 따른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동작전압을 0-5V, 주파수를 1~10Hz 사이의 구형파를 인가하고 이를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고 주파수가 커질수록 LED의 점등/점멸의 주기가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
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회로 구조입니다. 이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고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피드백 루프를 통해 증폭기의 이득, 주파수 특성, 안정성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증폭기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며, 전자 회로 설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전원 전압 변경에 따른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출력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의 출력은 전원 전압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전원 전압이 변경되면 증폭기의 이득과 출력 전압 범위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증폭기의 선형성, 동적 범위, 잡음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할 때는 전원 전압 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적절한 바이어스 회로와 피드백 네트워크 설계를 통해 전원 전압 변화에 강인한 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3.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에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동일한 전류 경로를 공유하게 됩니다.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는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부하 변화에 강인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합니다. 또한 피드백 루프를 통해 증폭기의 이득, 주파수 특성, 안정성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 버퍼 증폭기 등의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4. 구형파 입력에 따른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동작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에 구형파 입력이 인가되면 출력 신호 또한 구형파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피드백 루프에 의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가 결정됩니다. 피드백 네트워크의 설계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 주파수 특성, 안정성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구형파 입력에 대한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의 동작을 분석하면 증폭기의 과도 응답 특성, 선형성, 왜곡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증폭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A+ 2022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3 Voltage Regulator 설계1. 전자회로설계실습 이 보고서는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수업의 예비보고서입니다. 학생은 Voltage Regulator 회로를 설계하고 PSPICE 시뮬레이션을 수행했습니다. 설계 과정에서 부하 저항, 변압기 권선비, 커패시터 값 등을 계산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2. 전압 조절기 설계 이 보고서에서는 5 kΩ 부하에 4.4 V의 직류 전...2025.05.01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9 -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실험에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회로를 구현하고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전압이 약 2의 기울기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입력저항, 부하저항, 전원 전압의 변화에도 이득이 약 2V/V로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한 Series-...2025.01.24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결과보고서 (A+) 2페이지
- 본 설계실습에서 무엇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어떤가? 수치를 포함하여 요약한다. 피드백을 이용한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하였다.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이 전압인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와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은 정류인 Series-Series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Series-Shunt 구조에선 입력전압이 인가되면 출력전압이 그 2배가 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Series-Series구조에선 입력 전압이 인가될 때 출력 전류가 그 절반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계실습계획서에서 설계한 회...2021.12.06· 2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9 -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9페이지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를 구현하고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전압이 약 2의 기울기로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와 같은 관계 따라서 설계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회로의 입출력이 식를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력저항과 부하저항의 저항값 변화, 전원 전압의 변화에도 gain의 값은 항상 약 2V/V로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를 구현하고 출력전류를 측정하였다. LED와 ...2024.11.02· 9페이지 -
(21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9. LPF와 HPF 설계 8페이지
설계실습 9. LPF와 HPF 설계요약: RC회로와 RL회로를 설계한 후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파형을 확인하고 크기와 위상차를 비교해보고 확인해보았다. 또한 RC회로와 RL회로에 인가하는 입력의 주파수를 조절하면서 각각의 Low Pass Filter로써의 특성, High Pass Filter로써의 특성을 확인해보았다. RC회로의 파형을 확인할 때 리싸주 모드에서 얻은 출력의 최대전압값 424mV, 위상차 은 이론값 419mV, 에 대해 오차는 각각 1.193%, 0.555%로 매우 양호했다. 이 오차의 원인으로는 측정기기들의 내부임피...2022.08.22· 8페이지 -
[중앙대학교 3학년 1학기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 구매 시 절대 후회 없음(A+자료) 4페이지
이론부를 참고하여 설계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회로를 직접 구현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습 2.1(a)에서 설계목적에 맞게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의 두 배가 출력된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차가 존재했지만 대부분 5 % 이하였기 때문에 DMM 의 오차 또는 discrete 소자의 오차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음으 로 실습 2.1(b)를 진행하여 2.1(a)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부하저항이 gain에 영향을 주 지 않는다는 것 또한 관찰하였다. 부하저항이 바뀌었지만 2.1(a)와 마찬가지로 입...2023.08.28· 4페이지 -
[A+]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결과보고서) 5페이지
1. 서론피드백 증폭기란 출력의 일부를 입력 측으로 피드백하여 그 특성을 개선하는 증폭기로 일반적으로 Negative 피드백이 널리 쓰인다. Negative 피드백을 걸어줌으로써 증폭도는 작아지지만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고 파형의 일그러짐이나 잡음을 감소시키고, 안정한 동작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증폭기는 전자공학에서 중요하게 쓰이므로 이에 대한 특성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와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은 전류인 Series-Series 구...2022.03.27·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