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69개
-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 교육_감염관리2025.01.081. 수두(Varicella, Chickenpox) 수두는 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HHV-3)의 초감염으로 발생하며, 피부 병변에 직접 접촉하거나 호흡기 분비물의 공기 전파를 통해 감염됩니다. 전염력이 강해 가족 내 전염률은 87%, 원내 전염률은 70%입니다. 모든 피부 병변에 가피가 생길 때까지 격리가 필요하며, 예방접종을 통해 대부분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대상포진(Herpes zoster, Shingles) 대상포진은 과거 수두에 걸렸거나 수두 예방접종을 한 사람의 감각 신경절...2025.01.08
-
손위생 REPORT2025.01.131. 손위생 시점과 순서 의료진의 손과 환경 간 교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 주변 환경과 불필요한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눈에 보이는 오염물질이 있는 경우 물과 비누 또는 물과 소독비누로 손을 씻어야 하며, 눈에 보이는 오염물질이 없는 경우 알코올 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포와 접촉했을 경우 물과 비누 또는 물과 소독비누로 손을 씻어야 하며, 알코올, 클로르헥시딘, 아이오도퍼 등의 피부 소독제는 아포에 효과가 없습니다. 손위생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는 환자와 직접 접촉하기 전, 혈액, 체액 등과 접촉 후, 환자의 손상되지 않은 ...2025.01.13
-
신생아실 실습 기저귀발진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과정 1개2025.05.011. 기저귀 발진 기저귀 발진은 영아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염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하여 직접적,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 중의 하나이다. 대략 50%의 아기에게 나타나고, 약 5%에게서는 심한발진(심한 홍반, 열상, 구진, 두드러기)이 있다. 원인은 기저귀의 습기나 마찰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수분에 의한 피부 가장 바깥쪽 각질층의 짓무름이 중요한 유발인자이다. 습한 피부가 움직임에 의해 기저귀와의 마찰로 벗겨지고 이로 인해 자극 물질이 많이 침투되고 세균이나 곰팡이가 많아지게 된다. 때로는 대소변에서 나오는...2025.05.01
-
수족구병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2025.01.031. 수족구병의 정의 수족구병은 손, 발의 발진과 입안의 궤양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으로, '장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이다. 주로 호흡기 분비물이나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2. 수족구병의 원인 바이러스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는 '콕사키바이러스 A16형'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장바이러스 종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장바이러스 71형은 신경계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3. 수족구병의 전염경로 수족구병은 주로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침, 물집의 진물 등에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을 마...2025.01.03
-
[A+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정상아(Well Baby) Case Study (간호진단4개)(간호과정3개)2025.01.151. 잦은 구토와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신생아는 하부식도 괄약근이 약하여 역류가 많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구토를 일으킬 수 있다. 수유 시에는 공기를 삼키지 않도록 젖병의 각도를 기울여 잡고, 수유 중이나 수유를 마치면 좌위에서 등을 가볍게 두드려 트림을 시켜주며, 수유 후에는 오른쪽 측위로 눕혀 주어 기도흡인 위험성을 감소시켰다. 2. 지속적인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기저귀 발진이 발생하면 서혜부와 하복부에 발적과 홍반이 나타나며, 심하면 피부가 벗겨지고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소변이 피부와 ...2025.01.15
-
정상 신생아의 기저귀 발진 간호과정2025.01.091. 기저귀 발진 기저귀 발진은 영유아에서 가장 흔한 피부 발진이다. 일반적으로 엉덩이, 하복부, 생식기 및 허벅지 위쪽을 포함하여 기저귀와 직접 접촉하는 피부 표면에서 발생한다. 대부분 기저귀 피부염은 자극성 접촉 피부염의 한 형태이지만, 기저귀 부위의 발진은 지루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다른 피부 질환이 기저귀와 닿는 부위에서 악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기저귀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2. 신생아 신체사정 신생아의 신체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Apgar 점수...2025.01.09
-
손씻기, 손위생2025.01.141. 손씻기 손씻기는 병원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환자와 의료인의 감염예방을 위해 중요합니다. 피부에는 그람양성구균이 주로 존재하는 지속적 상재균과 그람음성간균이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상재균이 있습니다. 손을 씻어야 하는 경우는 피부, 기도, 점막 등의 인체 방어기전에 손상을 주는 처치 전후, 면역기전이 저하된 환자와 접촉 전후, 감염질환이 있는 환자와 접촉 후 등입니다. 손씻기 방법에는 베이슨법, 스와브법, 스크럽법, 러빙법 등이 있습니다. 2. 피부 소독제 피부 소독제에는 일반 비누, 알코올, 요오드 화합물...2025.01.14
-
A받았던 아동간호실습(NICU) 케이스 스터디, premature2025.04.251. 황달 환아의 피부색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으며, 망막손상, 핵황달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도록 관리한다. 피부색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빌리루빈 수치를 모니터링하며, 광선치료를 적절히 적용한다. 2. 제대 분비물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환아의 제대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감염의 징후를 모니터링한다. 하루 3회 제대 부위를 소독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며,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3. 묽은 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환아의 피부에 욕창이나 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저귀 교환 시 ...2025.04.25
-
응급실, 화상, 환자 사례보고서, 성인간호학2025.01.231. 화학적 화상 화학적 화상은 25,000여 종 이상의 화학물질과 접촉하여 발생하며, 손상의 심각성은 접촉시간, 화학물질의 농도, 조직의 노출정도에 따라 다르다. 산성 물질은 조직의 응집괴사와 통증을, 알칼리성 물질은 액화괴사와 피부 깊숙이 침투하지만 통증은 덜 한다. 2. 부분층 화상 (2도 화상) 부분층 화상은 표피 전체와 다양한 범위의 진피 손상을 포함한다. 진피의 손상정도에 따라 표재성과 심부로 구분되며, 신경말단의 손상과 노출로 통증이 있지만 상피세포가 파괴되지 않아 치유가 가능하다. 그러나 치유과정에서 혈류가 제한되는 ...2025.01.23
-
성인 사례보고서 (화상 케이스스터디)2025.05.141. 화상의 특성 화상은 외모와 신체기능의 손상뿐만 아니라 사망까지 가능한 치명적인 손상이다. 화상의 손상범위는 표피층부터 피부전층까지 다양하며, 심부전층 화상은 피부통합성의 손상뿐만 아니라 장기 손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화상을 입으면 체액손실과 광범위한 염증성 반응으로 신체기능에 손상을 초래하므로 손상부위의 재생, 합병증 감소, 최적의 기능회복을 위해 단기 또는 장기간의 간호와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2. 전열기구에 의한 화상 겨울마다 매서운 한파가 기승을 부리면서 핫팩, 전기장판, 난로 등을 사용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