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실 실습 기저귀발진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과정 1개
본 내용은
"
신생아실 실습 기저귀발진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과정 1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4
문서 내 토픽
  • 1. 기저귀 발진
    기저귀 발진은 영아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염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하여 직접적,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 중의 하나이다. 대략 50%의 아기에게 나타나고, 약 5%에게서는 심한발진(심한 홍반, 열상, 구진, 두드러기)이 있다. 원인은 기저귀의 습기나 마찰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수분에 의한 피부 가장 바깥쪽 각질층의 짓무름이 중요한 유발인자이다. 습한 피부가 움직임에 의해 기저귀와의 마찰로 벗겨지고 이로 인해 자극 물질이 많이 침투되고 세균이나 곰팡이가 많아지게 된다. 때로는 대소변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자극 물질이나 캔디다 곰팡이가 유발인자로 작용하기도 한다.
  • 2. 기저귀 발진의 병태생리
    기저귀 피부염은 자극물질(소변ㆍ대변ㆍ비누ㆍ세제ㆍ연고ㆍ마찰 등)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접촉으로 발생한다. 자극물질의 대부분은 대소변이지만, 자극에 영향을 주는 특별한 요소도 포함한다. 젖은 기저귀가 피부에 오래 접촉하면 심한 마찰과 찰과상, 표피 투과성과 세균 수가 증가한다. 건강한 피부는 잠재적 자극원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다. 암모니아가 기저귀의 강한 냄새와 피부염의 관련성 때문에 기저귀 발진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암모니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소변의 자극은 pH상승과 관련되는데, 이는 대변의 요소분해효소(urease)에 의한 요소분해로 인한 것이다. 상승된 pH는 프로티아제(proteases)와 리파아제(lipases)와 같은 자극물질로 작용하는 대변효소의 활동을 증가시킨다. 대변효소는 분변의 다른 잠재적 자극물질인 담즙염(bile salt)의 피부 투과성을 증가시킨다.
  • 3. 기저귀 발진의 증상
    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기저귀를 찬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면서 거칠어지고 심하면 진물이 생기고 헐기도 하고 더 심하면 고름이 잡히기도 한다. 기저귀 발진이 생긴 부위에 곰팡이가 자라게 되면 잘 낫지 않고 오래가며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발진은 그 자체로도 문제지만 일단 발병하면 가렵고 통증까지 동반하기 때문에 아기가 잠을 못 이루거나 손만 대어도 울고 보채거나 식욕을 잃기도 한다.
  • 4. 기저귀 발진의 치료 및 간호
    간호중재는 피부염을 일으키는 세 가지 요인인 습기, pH, 대변 자극물질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피부 발적이 매우 심하거나 습하다면 산화아연이나 바셀린 연고를 발라서 피부를 보호하고 열어둔다. 피부를 지나치게 씻지 않으며, 보습제나 비누가 아닌 청결제를 사용하여 소변을 닦고 물과 도브 같은 순한 비누를 사용하여 대변을 부드럽게 닦는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저귀 발진
    기저귀 발진은 아기의 피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습기와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피부가 붉어지고 자극을 받게 됩니다. 기저귀 발진은 아기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저귀 교체 횟수 늘리기, 피부 보호 크림 사용, 공기 접촉 시간 늘리기 등의 방법으로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각한 경우에는 의사 상담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기저귀 발진의 병태생리
    기저귀 발진의 주된 원인은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습기와 마찰입니다. 기저귀 안에 습기가 오래 머물면 피부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게 됩니다. 또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마찰로 인해 피부가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습기와 마찰은 피부 장벽 기능을 약화시키고 세균 감염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고 자극을 받게 되는 것이 기저귀 발진의 병태생리입니다. 따라서 기저귀 교체 횟수 늘리기, 피부 보호 크림 사용 등의 예방 및 관리 방법이 중요합니다.
  • 3. 기저귀 발진의 증상
    기저귀 발진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부가 붉게 발적되고 자극을 받는 것입니다. 둘째, 피부가 따갑고 가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셋째,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겨질 수 있습니다. 넷째, 세균 감염이 동반되어 화농성 병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기저귀 착용 부위, 특히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에 주로 나타납니다. 증상의 정도는 개인차가 크며, 심각한 경우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기저귀 발진을 빨리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기저귀 발진의 치료 및 간호
    기저귀 발진의 치료 및 간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기저귀 교체 횟수를 늘리고 피부 접촉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둘째, 피부 보호 크림이나 연고를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셋째, 따뜻한 물로 부드럽게 씻어내고 완전히 건조시킵니다. 넷째, 심한 경우 의사 상담을 받아 처방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세균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 연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치료와 간호를 통해 기저귀 발진을 빨리 호전시키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편안함과 건강을 위해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