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생아실 실습 기저귀발진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과정 1개
본 내용은
"
신생아실 실습 기저귀발진 케이스스터디 진단 3개, 과정 1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4
문서 내 토픽
-
1. 기저귀 발진기저귀 발진은 영아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염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하여 직접적,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 중의 하나이다. 대략 50%의 아기에게 나타나고, 약 5%에게서는 심한발진(심한 홍반, 열상, 구진, 두드러기)이 있다. 원인은 기저귀의 습기나 마찰에 의해 주로 발생하며 수분에 의한 피부 가장 바깥쪽 각질층의 짓무름이 중요한 유발인자이다. 습한 피부가 움직임에 의해 기저귀와의 마찰로 벗겨지고 이로 인해 자극 물질이 많이 침투되고 세균이나 곰팡이가 많아지게 된다. 때로는 대소변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자극 물질이나 캔디다 곰팡이가 유발인자로 작용하기도 한다.
-
2. 기저귀 발진의 병태생리기저귀 피부염은 자극물질(소변ㆍ대변ㆍ비누ㆍ세제ㆍ연고ㆍ마찰 등)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접촉으로 발생한다. 자극물질의 대부분은 대소변이지만, 자극에 영향을 주는 특별한 요소도 포함한다. 젖은 기저귀가 피부에 오래 접촉하면 심한 마찰과 찰과상, 표피 투과성과 세균 수가 증가한다. 건강한 피부는 잠재적 자극원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다. 암모니아가 기저귀의 강한 냄새와 피부염의 관련성 때문에 기저귀 발진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암모니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소변의 자극은 pH상승과 관련되는데, 이는 대변의 요소분해효소(urease)에 의한 요소분해로 인한 것이다. 상승된 pH는 프로티아제(proteases)와 리파아제(lipases)와 같은 자극물질로 작용하는 대변효소의 활동을 증가시킨다. 대변효소는 분변의 다른 잠재적 자극물질인 담즙염(bile salt)의 피부 투과성을 증가시킨다.
-
3. 기저귀 발진의 증상기저귀 발진이 생기면 기저귀를 찬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면서 거칠어지고 심하면 진물이 생기고 헐기도 하고 더 심하면 고름이 잡히기도 한다. 기저귀 발진이 생긴 부위에 곰팡이가 자라게 되면 잘 낫지 않고 오래가며 증상이 더 심해지게 된다. 발진은 그 자체로도 문제지만 일단 발병하면 가렵고 통증까지 동반하기 때문에 아기가 잠을 못 이루거나 손만 대어도 울고 보채거나 식욕을 잃기도 한다.
-
4. 기저귀 발진의 치료 및 간호간호중재는 피부염을 일으키는 세 가지 요인인 습기, pH, 대변 자극물질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고, 피부 발적이 매우 심하거나 습하다면 산화아연이나 바셀린 연고를 발라서 피부를 보호하고 열어둔다. 피부를 지나치게 씻지 않으며, 보습제나 비누가 아닌 청결제를 사용하여 소변을 닦고 물과 도브 같은 순한 비누를 사용하여 대변을 부드럽게 닦는다.
-
1. 기저귀 발진기저귀 발진은 아기의 피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습기와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피부가 붉어지고 자극을 받게 됩니다. 기저귀 발진은 아기에게 불편함과 통증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저귀 교체 횟수 늘리기, 피부 보호 크림 사용, 공기 접촉 시간 늘리기 등의 방법으로 기저귀 발진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각한 경우에는 의사 상담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기저귀 발진의 병태생리기저귀 발진의 주된 원인은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습기와 마찰입니다. 기저귀 안에 습기가 오래 머물면 피부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게 됩니다. 또한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마찰로 인해 피부가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습기와 마찰은 피부 장벽 기능을 약화시키고 세균 감염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고 자극을 받게 되는 것이 기저귀 발진의 병태생리입니다. 따라서 기저귀 교체 횟수 늘리기, 피부 보호 크림 사용 등의 예방 및 관리 방법이 중요합니다.
-
3. 기저귀 발진의 증상기저귀 발진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부가 붉게 발적되고 자극을 받는 것입니다. 둘째, 피부가 따갑고 가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셋째,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겨질 수 있습니다. 넷째, 세균 감염이 동반되어 화농성 병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기저귀 착용 부위, 특히 엉덩이와 허벅지 부분에 주로 나타납니다. 증상의 정도는 개인차가 크며, 심각한 경우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기저귀 발진을 빨리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기저귀 발진의 치료 및 간호기저귀 발진의 치료 및 간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기저귀 교체 횟수를 늘리고 피부 접촉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둘째, 피부 보호 크림이나 연고를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셋째, 따뜻한 물로 부드럽게 씻어내고 완전히 건조시킵니다. 넷째, 심한 경우 의사 상담을 받아 처방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세균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 연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치료와 간호를 통해 기저귀 발진을 빨리 호전시키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편안함과 건강을 위해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A+] 아동간호학 실습 신생아실 기저귀발진 케이스스터디(CASESTUDY) 18페이지
아동간호학1 임상실습 신생아실 Case Study[ Diaper rash ]학과(학부)교 수 명실습지학 번성 명제출일자담당교수확 인● 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 1Ⅱ. 본론1.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 42. 입원동기 및 주증상 ………………………………………… 53. 현병력 ……………………………………………………… 54. 과거병력 ………………………………………………………… 55. 가족력 ……………………………………...2023.08.16· 18페이지 -
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 두혈종 기저귀발진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과정 없음. 나머지는 아주 꼼꼼함) 6페이지
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 Case Study- 두혈종(cephalohematoma)/기저귀발진(diaper rash) -과 목 명아동간호학실습실 습 날 짜2019. 6. 10 ~ 6. 14실 습 기 관ㅇㅇ병원 신생아실학번 및 이름실습지도 교수님ㅇㅇㅇ 교수님Ⅰ. 서 론두혈종(cephalohematoma)은 일반적으로 질식분만 시 흔히 발생할 수 있고, 요즘은 미용상의 목적으로 짧게 절개하는 C/Sec 과정에서도 나타나는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이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낫는 것이 보통이다.하지만, 자연치유기간이 오래됨에 따라 대상자...2021.03.04· 6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NICU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A+ 9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3) NICU케이스 스터디 A+“미숙한 간기능과 관련된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1. Brefing note2. 진단적 검사 (호르몬검사, UA 검사, 쿰스 검사, 영상검사 등 모두 넣음)3.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4. 간호진단 (3개): 주/객관적 자료 O1) 미숙한 간기능과 관련된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2)연약한 피부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3) 제대 상피화 지연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5. 간호과정6. 참고문헌Pediatric Nursing Practice(3) Conference과 제 명 : (neonatal j...2023.04.09· 9페이지 -
기저귀발진 케이스 9페이지
Ⅰ. 필요성 및 목적신생아실 실습을 오면서 질병이 있는 신생아보다 정상 신생아들이 많아서 케이스 스터디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그 중 기저귀 발진을 보이는 신생아가 있어서 선정하게 되었다. 기저귀 발진은 신생아에게 흔하고, 며칠 만에 사라지지만 이것을 방치해둘 경우 곰팡이 균이 증식하거나, 고름이 생겨 잘 낫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잘 관리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기저귀 발진에 대해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용해줄 간호과정을 계획하여 대상자에게 편안함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적이다.Ⅱ. 문헌고찰1. 정의기...2019.10.12· 9페이지 -
아동간호학 간호진단(케이스스터디),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 case study 20페이지
아동간호학과목명아동간호학실습병원ΟΟΟ실습기간2018.08.27.~2018.09.07담당교수님ΟΟΟ 교수님학년/반Ο학년 Ο반학번/이름ΟΟΟ제출일2018년 09월 07일목 차Ⅰ. 서론Ⅱ. 문헌고찰1.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2. 분열뇌증Ⅲ. 간호과정 - 아동 건강사정1. 간호사정2. 간호과정의 적용 - 간호진단Ⅳ. 결론1. 느낀 점2. 참고문헌Ⅰ. 서론주산기 가사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은 만삭아나 미숙아의 신경질환 중에 가장 흔하며 발생 빈도는 , 만삭 생존아 1,000명당 2-4명 정도로 발생하고 신생아 경련의 약 60%에 해당...2018.09.12·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