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각 영양소의 소화,흡수,대사 및 관련된 신체부위와 건강문제2025.05.111.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입에서 분비되는 침에 섞인 아밀라제가 탄수화물(복합당질)을 이당류(맥아당·덱스트린)으로 분해한다. 소장에서 췌장 아밀라제에 의해 이당류로 분해되고 소장 소화효소(유당분해효소,지당분해효소,맥아당분해효소)에 의해 단당류(포도당,과당,칼락토오스)로 분해된다. 단당류는 소장점막에서 흡수되어 문맥순환을 통해 간으로 들어가 열량을 내는데 이용되거나 글리코겐으로 저장된다. 탄수화물 과잉 섭취 시 고혈당증·당뇨, 탄수화물 결핍 시 저혈당을 유발한다. 2. 지방 지방의 소화는 먼저 혀에서 리파아제가 분비되어 긴 사슬의 지방...2025.05.11
-
술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과 술의 관한 여러 궁금증2025.05.091. 알코올의 대사 술이 몸에 들어왔을 때 몸에서는 ADH효소라는 알코올 분해효소가 술을 분해하기 시작한다. 이 분해과정에서 1군 독성 발암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만들어진다. 아세트알데하이드란 숙취의 핵심 원인이며 두통, 피로, 전신 통증, 메스꺼움, 안면 홍조, 가슴 두근거림을 유발한다. 이러한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해주는 효소가 ALDH라는 알데히드 분해효소이다. 이러한 분해과정을 거치면 알코올은 아세트산으로 바뀌고 몸에서 땀이나 소변의 형태로 배출하게 된다. 2.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취하는 이유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취하는 ...2025.05.09
-
비타민의 종류와 기능2025.01.141. 비타민 A 비타민 A는 시력 안구의 망막에서 빛을 뇌신경 전달신호로 바꿀 때 필요하며, 세포의 성장 및 발달, 점막세포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비타민 B1 비타민 B1은 탄수화물과 분지상 아미노산의 대사에 필요하며, 에너지 대사에 관여한다. 3.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조효소는 탄수화물, 지방, 아미노산의 대사경로에서 다양한 효소반응에 필수적이다. 4. 비타민 B3 비타민 B3는 에너지대사에 필요한 조효소로 작용하며, 혈중 지방과 피부, 신경, 소화기계 건강에 도움을 준다. 5. 비타민 B5 판토텐산은 Co...2025.01.14
-
에르고제닉 에이드(에너지 생성을 위한 영양물질)2025.04.281. 에르고제닉 에이드 에르고제닉 에이드는 운동선수들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음료로, 비타민, 카르니틴, 카페인, 항산화제, 중탄산나트륨, BCAA, 크레아틴, 수분과 전해질, 탄수화물(글루코스), 철분 등의 다양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운동 중 에너지 생성, 지방 산화 촉진, 피로 지연 등의 작용을 통해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비타민 비타민은 신체의 다양한 생리 조절에 관여하며,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으로 구분된다.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특히 티...2025.04.28
-
영양학-비타민과 무기질 종류와 기능2025.01.161. 비타민 비타민은 '생동력을 가진 아민(amin) 물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정상적인 기능과 성장 및 유지를 위해 식이를 통해 미량을 섭취해야 하는 필수적인 유기물질이다. 비타민은 체내에서 한 가지 이상의 생화학적 작용이나 생리적 작용에 관여하므로 정상적인 체내 기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대부분의 비타민은 체내에서 전혀 합성되지 못하거나 또는 합성되는 양이 필요량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식품으로 섭취해야 한다. 식품으로 적절량을 섭취하지 못하면 결핍증이 나타난다. 2. 비타민 A 비타민 A는 신체의 모든...2025.01.16
-
영양판정및실습 기말고사 정리 // 지용성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임상조사, 영양판정의 활용2025.01.141. 지용성 비타민 영양상태판정 비타민A 결핍 -경계수준의 결핍 -적절- 과다- 중독 생화학적 검사 – 혈액, 유즙, 간의 비타민A함량 측정 기능성 검사 – 암적응 검사, 결막상피세포 조사, 투여반응시험혈청 비타민 A 비타민A의 영양상태판정에 가장 많이 사용저장이 잘되며 체내 항상성 조절, 체내에서 완전히 고갈되었거나 초과시 변화 정상범위 45~55ug/dl 결핍: 10이하 과잉: 100이상투여 반응 실험 경구로 비타민A 투여후 차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체내 저장량 많으면 전후차이 적음 20% 작음체내 저장량 부족하면 전후차이 큼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