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개
-
응급실 고위험 약물 레포트2025.05.081. 큐프린(노르에피네프린) 큐프린(노르에피네프린)은 급성 저혈압 또는 쇼크 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용법/용량은 1회 8mg을 5% 포도당주사액/5% 포도당생리식염주사액 1000ml에 희석하여 분당 2~3ml의 비율로 점적정주하며, 심정지 시에는 심소생 수술 중 다른 방법에 의한 유효한 심박동과 환기 확보 후 같은 방법으로 투여합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두통, 어지러움, 진전, 불안, 호흡곤란, 구역, 구토, 심계항진, 서맥 등이 있습니다. 2. 도파신(도파민) 도파신(도파민)은 심근경색, 외상, 내독성패혈증, 수술후, 신장애, ...2025.05.08
-
완벽정리!!) 중환자실 선행학습 보고서(사전과제)_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_안전관리_중환자실 장비 및 기계_Hemodynamic monitor용 catheter_중환자실 감염 관리_flow-sheet 이해 및 기록_기도관리_IO check_수혈 및 혈액제제 관리_Emergency cart_환경관리_영양관리(L-tube)2025.01.231. 중환자실의 종류 중환자실은 진료에 따라 내과계, 외과계, 소아, 신생아, 산과로 분류되며, 장기에 따라 호흡기계, 심장계, 신장계, 신경계, 간장계로 분류되고, 증상에 따라 외상, 화상, 쇼크 중환자실로 분류된다. 2. 중환자실의 구조 중환자실은 병원 내 다른 부서와 연관이 있어 중앙에 위치해야 하며, 외과계 중환자실은 수술실과 가깝게 배치되어야 한다. 병상 수는 입원실 병상 수의 5% 이상이어야 하며, 병상 면적은 15제곱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3. 중환자실 안전관리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안전관리 절차가 ...2025.01.23
-
응급실 약물보고서2025.01.241. 케토롤락주(ketorolac) 해열, 진통, 소염제로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성인은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로 초회용량 10 mg을 투여하며, 2세 이상 소아는 체중 kg당 0.5~1.0 mg을 단회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구역, 위장장애, 설사, 부종, 가려움, 두통, 발한, 졸음이 있으며, 소화성궤양 또는 위장관 궤양 환자는 금기됩니다. 2. 파세타주(propacetamolHydrochlonde) 해열, 진통, 소염제로 외과 수술 후 통증 및 발열 치료에 사용됩니다. 성인은 1회 1~2 g을 4시간 ...2025.01.24
-
Blood Warmer 혈액가온기2025.01.181. 혈액 가온기(Blood Warmer) 혈액 가온기(Blood Warmer)는 수혈이나 혈액 순환을 할 때 혈액을 따뜻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혈액 가온기(Blood Warmer)가 작동하는 방식은 혈액 주머니 호스로부터 수혈될 혈액이 호스를 통해 흐를 때, 호스가 혈액 가온기의 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혈액의 온도가 안정되고 따뜻해집니다. 혈액순환장치는 혈액을 수혈하기 전에 체온과 체온이 일치하도록 가열하여 저산소혈증을 예방하는 의료 기기입니다. 2. 혈액 가온의 적응증 혈액 가온기(Blood warmer)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2025.01.18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장비사용법(NBP,PT M등)2025.05.111. patient monitor patient monitor는 환자의 상태(심전도, 심박/맥박, 산소포화도, 체온 등)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용방법으로는 electrode 부착 위치, NIBP 측정 방법, 장비의 기능(전원, NIBP start/stop, 알람 일시 정지, 메인 화면, 트렌드, 출력, 환자 정보 입력, 화면 배열 변경, 화면 밝기 조절, 서비스 모드, 전체 알람 설정값 변경, 배터리 잔량 표시, AC 전원 표시) 등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NIBP NIBP는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사...2025.05.11
-
약리학 약물조사(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호흡기계, 소화기계, 심혈관계, 내분비계)2025.05.071. 항균제(항생제) 독시사이클린은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초회량으로 1회 100 mg을 12시간마다 경구 투여하며, 12세 이상 청소년의 경우 체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합니다. 주요 적응증은 발진티푸스, 양충병, 큐열, 미코플라스마 폐렴 등입니다. 부작용으로는 소화기계, 근골격계, 피부 및 피하조직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약은 임부, 수유부, 12세 미만 소아, 신부전 환자에게 투여하지 않습니다. 시프로플록사신은 fluoroquinolones계 항균제로 세균의 DNA 합성...2025.05.07
-
[흉부외과 기흉(pneumothorax) 성인간호 발표자료] CTD 종류와 관리방법 [A+]2025.05.101. CTD (Closed Thoracotomy Drainage) CTD는 흉부에 관을 삽입하여 공기나 고인 체액 혹은 혈액을 배액시켜주는 시술을 말한다. CTD를 시행하는 경우의 적응증에는 심장수술 후, 흉부수술 후, 기흉, 혈흉, 흉수, 기관 손상, 농흉 등이 있다. 2. CTD 종류 CTD의 종류에는 Panda Bottle, SINAPI Bottle, Thopaz, SAHARA Bottle, 하임리히 Bottle 등이 있다. 각 종류별로 배액 용량, 흡인 방식, 환자 이동성 등의 특징이 다르다. 3. Panda Bottle P...2025.05.10
-
[A+인증] 중환자실(ICU) 장비 및 기계 정리 보고서2025.05.061.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는 특수한 혈관통로를 통해 몸 밖으로 혈액이 기계장치와 연결된 체외순환 라인을 거쳐 다시 몸 안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투석이 이루어지는 치료법입니다. 동정맥 치료 시 평균 혈압을 60-70mmHg로 유지하며 대퇴동맥과 정맥을 이용하고, 정정맥 치료 시 대퇴정맥이나 쇄골하정맥을 사용하며 혈류량이 풍부해야 합니다. CRRT는 신장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시행되며, 손상된 신장 기능을 대신하여 수분, 노폐물, 전해질 등을 제거...2025.05.06
-
아동실습-윤리적 갈등해결 보고서2025.05.101. 윤리적 갈등 사례 1 심장질환을 앓는 생후 38일 된 환아이며, 3번의 수술이 필요한데 첫 번째 수술 후 상태가 양호한 상태이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부모가 아이를 포기하고 싶다고 치료 중단을 요구한 상태이다. 이 상황은 간호사 윤리강령의 '취약한 대상자 보호', '안전한 간호 제공', '대상자 보호'와 관련이 있다. 이 경우 병원 내 사회복지실이나 지역사회단체에 도움을 요청하여 치료를 포기하지 않도록 도울 것이다. 경제적인 이유로 수술 예후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를 부모가 포기하게 둘 수 없으므로 의료비 지원정책을 소개해 ...2025.05.10
-
A++ (교수님피드백완료) 아동간호학 가와사키 간호과정3가지2025.05.081. 가와사키병의 병태생리 가와사키병은 작은 혈관과 중간 크기의 혈관 염증으로 주로 관상동맥에 침범한다. 급성기에는 심염과 함께 세동맥, 세정맥, 그리고 모세혈관과 같은 작은 혈관에 진행성 염증이 일어나며, 이러한 혈관염이 중간 크기의 동맥으로 진행되면서 잠재적으로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키고, 일부 아동에서 관상동맥류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2. 가와사키병의 임상증상 가와사키병은 급성기, 아급성기, 회복기의 3단계로 구분된다. 급성기에는 항생제와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는 5일 이상 지속되는 갑작스런 고열, 양쪽 안구의 결막 충혈, 입술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