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9개
-
칼빈의 선교적 관점2025.01.201. 칼빈의 선교사상 칼빈은 그리스도, 복음, 율법에 대한 선교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복음이 하나님의 선하심, 자비하심, 축복하심을 계시한다고 보았으며, 바울의 선교사상을 이어받아 모든 사람의 구원을 위한 선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칼빈은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분이 없어졌다고 보았으며,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이 구원받기를 원하신다는 보편주의적 선교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선교사상은 말씀 선포를 통한 교회 중심의 선교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었다. 2. 칼빈의 설교와 선교사상 칼빈의 설교에서 나타나는 선교적 관점을 살펴보면, 그...2025.01.20
-
전도서 9장 1-3 설교원고 / 일반은총2025.01.151. 전도서의 메시지 전도서는 솔로몬 왕이 젊은 날의 삶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나님 없는 삶이 의미가 없다는 사실을 깨우쳐 주기 위해 기록했습니다. 전도서는 '해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것이 헛되다고 말합니다. 2. 일반은총과 특별은총 일반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베풀어주시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세상을 유지하시고 보호하시는 것입니다. 특별은총은 하나님의 선택에 따라 죄를 용서받고 구원받는 것입니다. 기독교인은 특별은총을 통해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그분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3. 해 아래와 해 위 '해 아래'는 죄악 ...2025.01.15
-
20240928토 열왕기하 14장 17절-29절, 진정으로 성공한 인생은 어떤 인생입니까 - 매일성경 큐티 새벽설교2025.01.231. 세상의 기준과 하나님의 기준 본문을 보면, 아마샤 왕은 15년을 더 살았고(17절), 여로보암 2세는 41년 동안 통치했습니다(23절). 세상의 기준으로 보면, 이들은 '성공한' 왕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긴 재위 기간, 영토 확장, 부유한 국가, 정치적 안정 등이 그들의 '성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관점은 달랐습니다. 본문의 24절은 여로보암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습니까?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살아가고 있습니까? 세상이 말하는 성공을 쫓고 있지는 않습니까? 2. 하나님의 자비와 인내하심 본문에서 우리...2025.01.23
-
예수 피를 힘입어(히브리서 10장 19~22절)2025.01.291. 죄와 구원 설교에서는 죄와 구원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첫째는 율법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노력으로 죄를 해결하려는 것이고, 둘째는 예수님의 피를 의지하여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입니다. 설교자는 후자가 성경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하며, 예수님의 피를 힘입어 담대히 하나님께 나아갈 것을 권면하고 있습니다. 2. 성인 추대와 기적 설교에서는 가톨릭에서 성인을 추대하는 기준과 과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순교자이거나 뛰어난 덕행과 함께 두 차례 이상의 기적을 행한 것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2025.01.29
-
20240926목 매일성경 새벽설교 - 열왕기하 14장 1절-16절, 아마샤의 순종과 배반이 주는 교훈2025.01.232025.01.23
-
시가서 정독노트 [시편, 아가서, 잠언, 전도서, 욥기]2025.05.021. 시편의 의인과 악인 시편에서 말하는 의인은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며 묵상하며 순종하는 자들이며, 악인은 하나님의 말씀을 떠나서 자기의 마음대로, 자기의 욕심대로 사는 인생을 말한다. 시편에서는 의인들이 악인들에 의해 고통당하는 것에 대하여 하나님께 탄원하는 시가 많은데, 이는 하나님의 공의가 실현되기를 간절히 원하는 갈망으로 볼 수 있다. 결국 하나님은 종말의 완성의 때에 완전한 심판주로 악인들은 영원한 불 못에, 의인들은 영원한 생명으로 다스리실 것이다. 2. 시편의 찬양 시편에서 말하는 찬양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으로, 그...2025.05.02
-
사도행전 전체성경의 통독(구독자의 시점-사도행전의 교회에 끼친 영향적요소 관점) 보고서2025.01.131.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과 성령 강림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 후, 제자들은 예수의 약속대로 예루살렘에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성령의 강림이 있었고, 사도들은 성령의 능력을 받아 예수 그리스도의 명령을 이행하며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습니다. 2. 베드로의 설교와 교회의 성장 베드로는 복음을 전하고 많은 사람들이 회개하여 세례를 받았습니다. 이로써 교회는 급속하게 성장했고, 사도들은 기적과 특히 예수의 부활에 대한 증거를 통해 사람들을 설득했습니다. 3. 사도 스데파노의 순교 사도 중 한 명인 스데파노는 예수 그리스도를 공개적으...2025.01.13
-
새로운 시작의 하나님(이사야 43장 14~21절)2025.01.291. 새로운 시작 설교자는 현재의 부정적인 상황에 집착하지 말고 하나님의 새로운 일을 기대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나님은 어떤 상황에서도 새로운 일을 행하시며, 우리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우리를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과거의 실패나 성공에 얽매이지 말고 하나님의 말씀에 귀 기울여 새로운 미래를 기대해야 합니다. 2. 하나님의 구원 설교자는 이스라엘 백성이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을 때, 하나님이 그들을 구원하신 방식이 출애굽 때와는 전혀 다른 방식이었다고 설명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이 아닌 예상치...2025.01.29
-
추수감사주일 맥추감사주일 설교 신명기 8장 7절-10절, 약속의 땅과 감사2025.01.271. 약속의 땅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약속의 땅은 단순히 물질적 풍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게 하고 그분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삶으로 인도하는 장소임을 강조합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모든 축복은 우리로 하여금 그분을 의지하고 그 은혜에 감사하며 살아가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2. 감사의 삶 이 설교는 감사의 삶을 살며 하나님을 의지하는 신앙의 중요성을 전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하나님을 잊지 않고, 매일 하나님께 감사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풍성한 축복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을...2025.01.27
-
로이드 존스 교리 강좌 시리즈 1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 1장 교리 공부의 목정과 방법 요약2025.01.141. 성경 교리 성경은 일반 세계사가 아니며, 하나님이 행하신 모든 것의 완전한 역사도 아닙니다. 대신 성경은 거대한 구속 이야기입니다. 성경 교리는 성경이 알려주는 구속의 다양한 측면들을 의미합니다. 2. 교리 공부의 방법 교리 공부는 신학 공부나 변증학과 다릅니다. 우리는 성경이 말하는 것, 그리고 성경만이 말하는 것에 자신을 국한시켜야 합니다. 교리들을 변호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 3. 교리 공부의 필요성 성경 자체가 교리를 말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합니다. 구약의 선지자들, 주님, 사도들도 교리를 설...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