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03개
-
약리학[핵심 Point_A+] 당뇨병&갑상샘&뇌하수체 기능과 관련된 약물 개념 정리본2025.05.091. 갑상샘 갑상샘기능검사에는 혈청 TSH, 혈청 T4, 혈청 T3 검사가 있다. TSH는 갑상샘저하증의 선별검사와 진단, 갑상샘저하증 환자의 대체 요법 모니터링에 이용된다. T4와 T3는 총량 또는 유리형을 측정할 수 있는데, 유리 T4 측정이 더 선호된다. 갑상샘호르몬인 티록신(T4)과 삼요오드타이로닌(T3)은 탄수화물 대사, 단백질 합성, 성장, 신경계 활성 등에 작용한다. 갑상샘저하증 치료제로는 Levothyroxine(T4)이, 갑상샘항진증 치료제로는 Methimazole(thionamide 계열)이 사용된다. 요오드 제제...2025.05.09
-
급성췌장염의 구조, 기능 및 병리기전2025.11.171. 췌장의 해부학적 구조 췌장은 위와 십이지장 근처의 후복막에 위치한 장기로, 길이는 약 14cm이다. 이자머리(두부)는 십이지장과 총담관과 연결되고, 이자몸통(체부)은 위의 후방에, 이자꼬리(미부)는 비장 근처에 위치한다. 췌장관은 총담관과 함께 바터 팽대부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어진다. 2. 췌장의 내분비 기능 랑게르한스섬은 췌장의 내분비 조직으로, α세포와 β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α세포는 글루카곤을, β세포는 인슐린을 분비하여 체내 혈당과 당 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3. 췌장의 외분비 기능 췌장은 전해질, 수분, 소...2025.11.17
-
소아당뇨 병태생리, 케이스스터디, 소아당뇨 10문제2025.01.031. 소아당뇨병의 병태생리 소아당뇨병은 인슐린의 전체적 혹은 부분적 결핍에 의한 대사질환으로서, 신진대사 조절이나 신체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친 생리적 변화로 이어진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을 생성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하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 장애로 발생한다. 소아당뇨병은 가정에서 잘 관리하면 큰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당뇨병성 케토산증, 저혈당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2. 소아당뇨병의 증상 및 진단 소아당뇨병의 3대 증상은 ...2025.01.03
-
아동간호실습_ 1형 당뇨_ T1DM_ 소아당뇨_ PBL_ 간호과정_ A+자료2025.01.171. 1형 당뇨병의 원인과 역학 1형 당뇨병은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의 파괴에 의한 절대적 인슐린 결핍으로 초래되며, 보통 소아나 청소년기에 발병한다. 갑작스러운 당뇨병 증상이 발현하며, 인슐린의 절대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다. 인슐린 주사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짧은 기간 내 급성 합병증인 케톤산증이 나타난다. 2. 1형 당뇨병의 병태생리 인슐린이 절대적이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면 간은 고혈당증, 고지혈증과 함께 케톤을 생산하고, 포도당과 아미노산 흡수가 저하되며 지방조직의 분해로 인해 혈중유리지방산...2025.01.17
-
의과대 학생을 위한 항생제 완벽 가이드2025.11.151. 항생제의 분류 및 작용기전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 억제, 단백질 합성 억제, 세포막 투과성 변화, 대사억제, 핵산합성 억제 등 다양한 작용기전을 가진다. 주요 분류로는 베타락탐계(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카바페넴, 모노박탐), 글리코펩타이드계(반코마이신, 테이코플라닌), 테트라사이클린계, 아미노배당체계, 마크로라이드계, 퀴놀론계 등이 있다. 각 항생제는 특정 세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력을 가지며, 세대를 거듭할수록 항균 범위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2. 세균의 분류 및 특성 세균은 형태에 따라 구균, 간균, 나선균으로 ...2025.11.15
-
무산소세균(클로스트리듐 속) 핵심요약2025.11.181. 클로스트리듐퍼프린젠스(C.perfringens) 그람양성 무산소성 막대균으로 사람 및 동물 장관 내 정상균이며 오염된 토양과 물에 존재합니다. 알파, 베타, 엡실론, 이오타 치사독소 생성 여부에 따라 A~E형으로 분류됩니다. 알파독소는 인지질 분해효소로 작용하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용해를 유발하고, 베타독소는 장정체 및 괴사성 장염을 일으킵니다. 임상적으로 피부 및 연조직 감염, 봉와직염, 근괴사(가스괴저의 80%), 식중독, 괴사성 장염 등을 유발합니다. 2. 클로스트리듐테타니(파상풍) 세포 한쪽 끝에 아포를 형성하며 ...2025.11.18
-
항생제의 종류 및 부작용 레포트2025.05.051. 항생제 항생제는 미생물이 생성한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한다. 작용기전, 항균범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약리학적 특성, 항균범위, 작용기전, 내성 양상,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된다. 항생제의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와 전문가 모두 주의가 필요하다. 2. 베타락탐계 항생제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화학 구조상 베타락탐고리를 기본 구조로 하는 항생제로, 의료 현장에서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페니실린계, 세...2025.05.05
-
뇌과학과 화학의 융합: 최근 생명과학 혁신 기술2025.11.181. 니켈 촉매를 이용한 항생제 합성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은 저렴한 니켈 촉매와 탄화수소 원료물질을 활용하여 항생제의 주요 원료물질인 베타-락탐을 높은 거울상 이성질체 수준에서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복잡한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며, 항생제 제조 공정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BCI 기술은 인간의 뇌 신호를 직접 읽어 컴퓨터나 전자 기기에 전달하거나, 반대로 기계의 신호를 뇌에 전달하는 기술이...2025.11.18
-
소화기관 호르몬의 분비 기관과 인체 영향2025.11.111. 호르몬의 작용과 특성 호르몬은 그리스어 'Hormon'에서 유래되었으며 지용성과 수용성 두 가지 화학적 범주로 분류된다.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이동하며 표적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작용한다. 표적 세포에 해당 호르몬을 인식하는 수용체가 있어야만 세포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용체가 없는 세포에서는 호르몬이 인식되지 않는다. 호르몬의 작용 결과는 간단하지만 그에 이르는 작용 기전은 매우 다양하다. 2. 주요 소화관 호르몬 위와 십이지장에서 분비되는 가스트린은 위산 분비와 위운동을 촉진한다. 콜레시스토키닌은 이자의 소화효소 ...2025.11.11
-
성인간호학 고혈압 약물 총정리2025.05.091. 이뇨제 이뇨제 약물의 작용 기전과 간호 시 고려할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티아지드계, 루프형, 칼륨보존 이뇨제, 알도스테론 수용체 차단제, 레닌 억제제 등 다양한 이뇨제 약물의 특성과 주의사항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2. 칼슘통로 차단제(CCB) 칼슘통로 차단제의 작용 기전과 간호 시 고려할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이하이드로피리딘계와 비다이하이드로피리딘계 CCB의 특성과 주의사항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3. RAAS 억제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의 작용 기전과 간호 시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