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리학[핵심 Point_A+] 당뇨병&갑상샘&뇌하수체 기능과 관련된 약물 개념 정리본
본 내용은
"
약리학[핵심 Point_A+] 당뇨병&갑상샘&뇌하수체 기능과 관련된 약물 개념 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0
문서 내 토픽
-
1. 갑상샘갑상샘기능검사에는 혈청 TSH, 혈청 T4, 혈청 T3 검사가 있다. TSH는 갑상샘저하증의 선별검사와 진단, 갑상샘저하증 환자의 대체 요법 모니터링에 이용된다. T4와 T3는 총량 또는 유리형을 측정할 수 있는데, 유리 T4 측정이 더 선호된다. 갑상샘호르몬인 티록신(T4)과 삼요오드타이로닌(T3)은 탄수화물 대사, 단백질 합성, 성장, 신경계 활성 등에 작용한다. 갑상샘저하증 치료제로는 Levothyroxine(T4)이, 갑상샘항진증 치료제로는 Methimazole(thionamide 계열)이 사용된다. 요오드 제제와 베타 차단제도 갑상샘항진증 치료에 사용된다.
-
2. 당뇨병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반응으로 인슐린 분비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발생하고, 2형 당뇨병은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 감소와 말초 조직의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발생한다. 당화혈색소(HbA1c) 6.5% 이상이 당뇨병 진단 기준이다. 인슐린의 종류에는 단기작용형, 중간작용형, 장기작용형이 있다. 저혈당 치료를 위해 글루카곤이 사용된다. 당뇨병 치료제에는 Biguanide, Sulfonylurea, Meglitinide, Thiazolidinedione,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 아밀린 유사제 등이 있다.
-
3. 시상하부, 뇌하수체 기능과 관련된 약물항이뇨호르몬(바소프레신)은 콩팥에 작용하여 수분 재흡수를 유발한다. 항이뇨호르몬 결핍 시 시상하부 요붕증이 발생한다. 항이뇨호르몬 제제인 Desmopressin은 요붕증, 심장마비, 복부 방사선 촬영 준비 등에 사용된다. 항이뇨호르몬 제제는 물 중독, 심혈관계 부작용 등이 주의해야 할 유해효과이다.
-
1. 갑상샘갑상샘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 갑상샘 호르몬을 분비하여 신체의 대사 활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갑상샘 기능 이상은 갑상샘 기능 저하(갑상샘 기능 저하증) 또는 갑상샘 기능 항진(갑상샘 기능 항진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은 피로감, 체중 증가, 우울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갑상샘 기능 항진증은 체중 감소, 불안감, 심계항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갑상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갑상샘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
2. 당뇨병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또는 작용 장애로 인해 혈당 조절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입니다.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됩니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가 되지 않는 경우이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거나 인슐린 분비가 부족한 경우입니다. 당뇨병은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규칙적인 운동, 식단 관리, 약물 치료 등을 통해 혈당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시상하부, 뇌하수체 기능과 관련된 약물시상하부와 뇌하수체는 내분비계의 중추 기관으로, 다양한 호르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에 호르몬을 분비하여 뇌하수체 기능을 조절하며, 뇌하수체는 이러한 시상하부의 신호를 받아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러한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기능 이상은 내분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 축과 관련된 약물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성장호르몬 결핍 치료를 위한 성장호르몬 제제, 갑상샘 기능 저하증 치료를 위한 갑상샘 호르몬 제제, 부신 기능 이상 치료를 위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기능을 조절하여 내분비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