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A+성인간호학] 조기위암(TLTG수술)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2025.01.291. 위암 위암은 위점막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98%는 샘암종(adenocarcinoma, 선암)이고 나머지는 림프종과 평활근종이 차지한다.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위암은 전체 암 발생률 중 3위이며,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 중에서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세 번째로 높다. 40세 이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호발한다. 성별에 따른 위암 발생률은 2:1로 남성에서 더 높다. 위암은 다시 암세포가 위장벽의 어느 영역까지 침범하였는지에 따라 조기 위함과 진행성 위암으로 나눠어진다. 조기...2025.01.29
-
위장관 출혈성 질환(종류, 진단, 치료, 간호) case study2025.01.241. 소화기관 해부생리 소화기관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약 9m에 이르는 긴 관으로 음식물 섭취와 이동,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 소화된 음식물의 흡수, 분변을 형성하여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식도는 직경 2cm, 길이 23-25cm의 속이 빈 근육성 관으로, 기관과 후두 뒤편에 있으며 종격동과 횡격막을 지나 제6경추에서 제11흉추의 위치까지 아래로 뻗어 있다. 위는 왼위구역(LUQ)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위기저부(fundus), 몸체(body), 유문동(antrum)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위의 용적은 대략 1,500ml이다...2025.01.24
-
성인간호학실습 식도암 사례연구 CASE STUDY2025.05.111. 식도암의 병태생리 식도의 악성 종양은 양성 종양과 마찬가지로 서서히 성장한다. 식도 내벽을 덮고 있는 점막에서 처음 발생하여 종괴를 형성하며 자라다가 표면에 궤양이 발생한다. 암의 대부분은 편평상피종양(squamous epidermoid tumor)으로 식도의 중간 1/3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식도는 종양 확산을 제한하는 장막층(serosal layer)이 없고 점막에 공급되는 풍부한 림프액으로 인해 림프절이나 폐, 간, 뼈, 뇌 등의 장기로 빠르게 전이된다. 2. 식도암의 임상 증상 식도암은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2025.05.11
-
A+ 소화기계 사전학습2025.05.151. 의학용어 이 섹션에서는 소화기계 관련 의학용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용어로는 AGC(진행성 위암), AGE(급성 위장관염), BCC(기저세포암), CBD(총담관), CPR(심폐소생술), DNR(심폐소생술 거부), DU(십이지장궤양), EIH(내시경적 주입 지혈), ELS(내시경적 경화요법), EMR(내시경적 점막절제술), ERBD(내시경적 역행성 담도배액), ERCP(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SD(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EST(내시경적 괄약근절개술), EVL(식도정맥류 결찰), GERD(위식도역류 질환), ...2025.05.15
-
성인간호학실습 대장용종 사례연구 CASE STUDY2025.05.111. 대장용종의 병태생리 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위로, 주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가 일어난다. 여러 요인에 의해 정상 대장 점막 세포에 변화가 생겨 작은 선종이 되고, 점차 크기가 커지면서 유전자 변이가 생긴 암세포가 생기면 주변 조직을 침범하며 자라게 된다. 크게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종양성 용종과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는 비종양성 용종으로 나뉜다. 2. 대장용종의 임상증상 대부분의 대장 용종은 증상이 없어서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드물게 크기가 큰 용종인 경우에 증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