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해상손해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21. 물적손해 해상손해에는 물적손해, 비용손해 및 책임손해가 있다. 물적손해에는 전손과 분손이 있다. 전손은 현실전손과 추정전손으로 구분되며, 분손은 단독해손과 공동해손으로 구분된다. 2. 비용손해 비용손해에는 구조료, 구조비, 특별비용, 손해방지비용, 손해조사비용 등이 있다. 이러한 비용손해는 보험자가 보상할 수 있다. 3. 책임손해 책임손해에는 공동해손분담금이 있다. 이는 피보험자가 다른 하주의 화물이나 선체 및 선용품을 희생시켜 자신의 화물을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시킨 경우 지는 책임손해이다. 4. 보험자의 담보손해 적하보험자...2025.01.22
-
구협회적하약관2025.01.231. 구협회적하약관 구협회적하약관은 1912년 8월 1일 F. P. A. Clause(단독해손부담보약관)가 런던 보험자협회에 의하여 채택되면서 영국 보험 시장에 최초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시대적 요구, 관계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특별한 사건에 따라 1958년과 1963년에 개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구협회적하약관의 담보조건에는 전손담보조건, 단독해손부담보조건, 분손담보약관, 전위험 담보약관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보상범위가 다릅니다. 1. 구협회적하약관 구협회적하약관은 해상운송 계약에서 화주와 운송인...2025.01.23
-
해상손해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71. 보험손해의 의의 해상손해란 해상위험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피보험이익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멸되어 나타나는 피보험자에 대한 경제상의 부담 또는 재산상의 불이익을 말한다. 해상보험자는 피보험자의 손해에 대하여 보상하는 것이 원칙이나, 그렇다고 모든 종류의 해상손해를 무조건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손해에 의한 피해분에 대하여 보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2. 해상손해의 종류 해상손해를 직접손해와 간접손해, 물적 손해와 비용손해, 전손과 분손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직접손해는 피보험이익 자체에 해당하는 손해이고, 간접손해는 ...2025.01.27
-
해상위험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41. 해상위험 해상위험은 보험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의미한다. 해상보험에는 천재지변, 화재, 선박 간의 충돌 등에 의해서 보험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인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든 위험을 '해상위험'이라고 정의한다. 해상위험은 항해에 기인하는 유형과 항해에 부수하는 위험으로 구분된다. 해상위험은 담보위험과 면책위험으로 나뉘며, 위험부담의 방식에 따라 포괄책임주의와 열거책임주의로 구분된다. 2. 해상손해 해상보험에서 손해는 위험발생과 관련된 선박, 적하, 운임 이외의 보험 목적이 해상위험으로 인해서 피보험이익의 전부나 일...2025.01.24
-
해상손해2025.01.191. 해상손해의 종류 해상손해(marine loss or damage)란 피보험목적물이 해상위험으로 인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멸실 ? 손상됨으로써 피보험자가 입게 되는 경제적 손실을 말한다. 이러한 해상손해는 피보험목적물 자체의 멸실이나 손상을 의미하는 직접손해와 이로 인하여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간접손해로 나눌 수 있다. 해상손해는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크게 물적손해, 비용손해, 책임손해 3가지로 분류된다. 2. 위부 위부(abandonment)란 피보험자가 보험자에게 피보험목적물에 대한 손해를 전손으로 추...2025.01.19
-
해상적하보험약관2025.01.181. 해상손해 해상손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보험자가 모든 손해를 보상해 주는 것은 아니다. 보험자가 어느 범위까지의 손해를 보상해 주느냐는 보험자와 보험계약자 사이에 약정되는 보험조건(또는 담보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1982년부터 보험조건이 변경되었으며, 우리나라는 1983년 4월부터 구조건과 신조건을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2. 구협회적하약관 구협회적하약관의 보험조건에는 F. P. A., W. A., A/R의 세 가지 종류가 있다. F. P. A.는 전손과 공동해손 및 비용손해만 보상하고 단독해손은 보상하지 않는다....2025.01.18
-
[무역학개론] 국제운송 - 보험조건과 손해배상의 범위2025.01.201. 구협회적하약관상 보험조건 구협회적하약관상 보험조건에는 전위험담보조건(A/R), 분손담보조건(W.A.), 단독해손부담보조건(F.P.A.)이 있다. 전위험담보조건은 일반면책위험, 선박 및 운송용구의 불내항 및 부적합, 전쟁위험, 동맹파업위험을 제외한 모든 손해를 보상하는 조건이다. 분손담보조건은 전손과 공동해손은 물론 단독해손에 의한 손해까지 보상하는 조건이다. 단독해손부담조건은 전손 및 공동해손의 경우와 손해방지비용, 구조비, 특별비용, 특정분손 등의 손해를 보상하는 조건이다. 2. 신협회적하약관상 보험조건 신협회적하약관상 보험...2025.01.20
-
적하보험의 구상절차2025.01.271. 적하보험의 구상절차 피보험자는 보험사고로 인하여 손해를 입었을 경우에 보험자에게 구상(claim)을 하고 보험금을 수령한다. 따라서 보험증권의 소지인은 보험목적물에 손해를 당하였을 경우에 즉시 보험회사에 서면이나 구두로 먼저 통지를 하여야 하며, 그런 후에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서 구상을 하여야 한다. (1) 전손 및 단독해손의 구상 (2) 공동해손의 구상 (3) 제3자에 대한 구상 1. 적하보험의 구상절차 적하보험의 구상절차는 화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한 후 실제 책임 있는 당...2025.01.27
-
해상보험사례 분석: 동부증권과 태영상선 사례2025.05.111. 해상보험 이 사례는 동부증권과 태영상선 간의 해상보험 계약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태영상선의 선박이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동부증권은 태영상선에 추정전손 보험금을 지급했지만 이후 구조작업을 포기했습니다. 이에 태영상선은 동부증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 사례는 해상보험법의 법리와 관습, 위부 승인 등의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2. 보험 청구 및 지급 이 사례에서는 태영상선이 선박 침몰 사고 후 동부증권에 보험금을 청구했고, 동부증권이 추정전손 보험금을 지급한 내용이 다루어집니다. 보험금 지급 과정에서 ...2025.05.11
-
신협회적하약관의 내용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81. 협회적하약관의 개념 해상보험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약관은 런던 보험자협회와 로이즈 보험자협회의 기술 및 약관위원회(technical and clauses committee)가 합동으로 만든 협회 약관(institute clause)이다. 해상보험에서 1979년 Lloyd's에서 사용하기로 채택된 'Lloyd's S.G. Policy Form'이 200여 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내용이 이해하기 어렵고 현실에 맞지 않아 1912년 기술 및 약관위원회에 특별약관을 제정하게 되었는데, 이 특별약관이 협회적하약관(institute c...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