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8개
-
전문심장소생술(ACLS)2025.01.131. 전문심장소생술(ACLS) 전문심장소생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은 심정지 환자의 심박동을 회복시킨 후 혈압을 유지하고 뇌 소생을 위한 치료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을 규명하고 심정지의 재발을 방지하는 소생술입니다. 기본심폐소생술에 심전도 감시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전기적 제세동, 약물 투여, 기관내 삽관 등 전문기도유지술에 의한 기도확보, 산소투여, 양압 인공호흡을 포함한 호흡 보조 및 호흡 상태의 평가, 심정지의 원인의 규명 등이 포함됩니다. 첫 번째 목표는 순환회복이며 최종...2025.01.13
-
ECMO 요약, 체외막산소화장치 정리2025.01.141. ECMO(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교정되지 않는 중증 심부전 또는 중증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 특수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인체 밖에서 심폐기능을 보조하는 체외순환장치입니다. ECMO는 환자의 정맥혈을 뽑아내어 산화기를 통과시킨 후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고 환자의 순환 및 호흡 기능을 보조합니다. ECMO는 회복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생체 징후를 유지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심장 및 폐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서 장기 기증자가 나타날 때까지...2025.01.14
-
소아 응급 처치: 소아 소생술 및 심폐소생술2025.01.141. 소아 심장정지의 생존사슬 소아 심장정지에서 기본소생술은 자발순환의 회복 및 생존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심장정지의 예방이 중요하다. 심장정지의 생존사슬은 심장정지의 인지 및 구조 요청으로 시작하지만, 심장정지의 예방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아 심장정지의 주원인은 호흡부전, 영아돌연사증후군 등이지만, 1세가 넘은 소아 심장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이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및 생활습관의 변경으로 소아의 심장정지의 상당 부분은 예방할 수 있다. 2. 일반인을 위한 소아 기본소생술 소아와 성인의 심장정지 원인은 차...2025.01.14
-
응급증상의 이해와 응급상황관리2025.01.101. 응급간호의 개요 및 응급환자 평가 응급환자 분류 중증도 긴급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응급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예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KTAS(Korean Triage Acuity Scale)와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응급처치를 요하는 응급증상의 이해 급성 의식변화, 호흡곤란, 흉통, 쇼크 등 응급처치가 필요한 증상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졸중 초기 처치 ...2025.01.10
-
성인간호실습 ECMO 관련 내용2025.01.171. 체외순환 막형 산화요법(ECMO) 체외순환 막형 산화요법(ECMO)은 기존 표준 치료에 반응이 없으며 다른 치료 대안이 없는 중증 심부전 또는 중증 호흡부전 환자에서 인공 산화기와 혈액 펌프로 구성된 체외순환장치를 통해 심폐 기능을 보조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가스의 교환 및 순환의 유지가 목적이며, 환자의 순환 및 호흡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일 뿐 직접적인 치료는 아닙니다. 2. ECMO 적응증과 금기증 ECMO의 적응증은 기존의 치료법에 교정되지 않으나 회복 가능성이 있는 중증 급성 심부전과 중증 급성 호흡부전입니다. 금기증은...2025.01.17
-
성인간호학- 급성관상동맥증후군 간호과정, 심근 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2025.01.241. 급성 심근경색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은 좌전하행지와 좌회선지, 우관상동맥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면 혈관벽이 좁아지다 혈전이 생긴다. 이것이 관상동맥을 막을 경우 심장근육이 죽어가는 급성 심근경색이 발병된다. 2. 동맥경화증 나이를 먹거나 고혈압, 당뇨 등이 있을 때 혈관 안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물질이 쌓이게 되고 이것이 점차 혈관벽을 딱딱하게 만들어 동맥경화를 유발시킨다. 방치하면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좁아져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협심증이 발생하고, 심각해지면 급사의 ...2025.01.24
-
심정지 후 소생 케이스스터디2025.05.071. 심정지의 정의 심정지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여 발생하며 모든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고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최근 들어 급성심질환 및 순환계질환이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차지하게 되었으며 사망원인 통계결과 암에 이어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이 2,3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심정지는 심질환과 순환계질환의 심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고,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의 심한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인이라면 심정지에 대한 대처방안은 필수적으...2025.05.07
-
중환자실 실습 사전과제 -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안전관리, 장비 및 기계 등2025.05.131.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중환자실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을 맺고 있어 병원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중환자실의 구조와 시설에는 병상, 간호사 스테이션, 청결물실, 오염물질 처리, 기기창고, 직원휴게실, 면담실, 의사 당직실, 간호사 갱의실, 출입구, 방문자 대기실 등이 포함된다. 중환자실은 감염 예방을 위한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전기, 의료가스, 의료장비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2. 중환자실 안전관리 중환자실에서는 낙상, 신체억제대 사용, 환자 이송, 의료팀 간 의사소통, 인공호흡기 사용 ...2025.05.13
-
통증과 고통이 심한 임종 말기 환자에게 존엄사를 법제화하자는 주장에 대한 찬반 의견2025.05.011. 존엄사 존엄사는 회복 가능성이 없는 환자가 인간으로서 갖춰야 할 최소한의 가치와 존엄성을 지키며 자연사할 수 있도록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조치를 말한다. 2018년 2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의사 2명이 환자를 '회복 불능' 또는 '종말'로 판단할 경우 인공호흡기 착용, 혈액 투석, 항암제 투여, 심폐소생술 등을 중단해 최소한의 영양분과 물, 산소를 공급해 환자가 자연사할 수 있도록 한다. 2. 존엄사 찬성 의견 회복 가능성이 전혀 없고, 특히 가족과 모든 이들에게 존엄성을 갖고 편안한 죽음을 택하는 것이 정지된 상태에...2025.05.01
-
연명의료결정법 사례와 의견2025.04.301. 연명치료 및 연명치료 중단 연명치료란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모든 처치를 말하며, 이 처치가 없으면 환자는 대부분 죽음에 이르게 된다. 연명치료 중단은 회생가능성이 없는 말기환자의 생명연장치료를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심폐소생술 금지(Do Not Resuscitate)는 말기 환자가 심장정지나 호흡정지의 상태가 되었을 때 회생을 위한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겠다는 의사 표현이다. 2.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결정법은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 혹은 유보하기 위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또는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도록 하며, 등록기관과...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