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1개
-
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측정방법의 설계2025.05.151. 저항의 고주파 특성 측정 저항은 기생(parasitic)소자 커패시터와 인덕터 성분을 가지고 있고, 특히 저항을 통과하여야 하는 전류가 고주파에선 parasitic 커패시터에 더 잘 흐르기 때문에 주파수를 올릴 때, 저항 값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즉, 주파수가 높아질 수록 저항은 커패시터의 특성을 더 많이 나타낸다는 고주파 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 커패시터의 고주파 특성 측정 커패시터는 기생 인덕터의 영향을 가지고 있어 고주파 영역에서는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따라서 저항 전압은 주파수 증가에 따라 전압이...2025.05.1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6차 결과보고서2025.04.271.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 설계 실험을 통해 DMM,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의 접지상태, 내부연결상태, 입력저항 등을 유추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DMM의 주파수 특성 한계로 인한 측정 오차, 오실로스코프의 접지 연결 방식, 전압 측정 시 입력저항에 따른 영향 등을 확인하였다. 2. 교류 신호 특성 및 측정 방법 함수발생기로 발생시킨 교류 신호를 오실로스코프와 DMM으로 측정하여 DC 성분, AC 성분, 실효값 등의 의미를 이해하였다. 또한 오실로스코프의 INVERT 기능이 위상을 반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2025.04.27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22025.05.151.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 측정 이 실습의 목적은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실험을 통해 이들 소자의 등가회로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회로에 저항만 연결하면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전압이 감소하는데, 이는 기생 커패시터에 의한 전류 흐름 때문입니다. 인덕터와 저항을 연결하면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저항 전압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인덕터의 기생 커패시터 때문입니다. 커패시터와 저항을 연결하면 주파수가 증가하면서 저항 전압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데, 이는 ...2025.05.15
-
광전효과 실험 결과보고서2025.05.131. 광전효과 이번 실험에서는 광전효과에 대한 내용을 실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실험을 통해 진동수 변화에 따른 경향성, 광량 변화에 따른 경향성,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의 경향성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플랑크 상수, 일함수, 문턱 진동수 등을 계산하였고, 광전효과의 원리와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2. 플랑크 상수 실험 Ⅰ에서 진동수 대 정지전압 그래프의 기울기를 통해 플랑크 상수를 계산하였다. 실험값은 6.63 × 10^-34 Js로 나왔으며, 오차율은 약 6%였다. 이를 통해 플랑크의 양자 가설이 입...2025.05.13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12.수동소자의 고주파특성 측정방법의 설계2025.05.131. RC 회로 RC 회로에서는 낮은 주파수 100 Hz에서는 저항 전압의 크기가 입력 전압 크기보다 작고, 위상도 lagging 하지만,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위상차가 점점 줄어들고 전압의 크기가 비슷해진다. 1kHz에서는 저항 전압 파형이 입력 전압 파형과 위상 차도 없는 동일한 파형이 관측된다. 1MHz에서는 저항 전압 파형의 위상이 leading하고 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다가, 더 주파수를 높이면 전압크기의 차이가 커졌다. 주파(1MHz 이상) 영역에서 주파수 응답 양상은 전달함수와 다르며, 고주파 영역에서 커패시터가 인덕터...2025.05.13
-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기말정리2025.01.131. 신경망의 오차 출력계층의 오차와 은닉계층의 오차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출력계층의 오차는 목표값과 출력값의 차이이지만, 은닉계층에는 목표값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계층의 오차를 재조합하여 은닉계층의 오차를 구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역전파라고 합니다. 2. 경사하강법 오차함수의 기울기에 따라 가중치를 조정하는 경사하강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오차함수로는 제곱오차 방식을 사용하며, 기울기의 부호에 따라 가중치를 반대 방향으로 조정합니다. 오버슈팅을 방지하기 위해 기울기가 완만해질수록 조금씩만 움직이도록 합니다. 3. ...2025.01.13
-
공진회로(Resonant Circuit)와 대역여파기 설계 예비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RLC 직렬 회로 C=0.01μF, 공진 주파수가 15.92kHz, Q-factor가 1인 bandpass filter를 설계하고, Q-factor가 10인 bandpass filter를 설계했습니다. 각각의 전달 함수의 크기와 위상차를 주파수의 함수로 Excel을 사용하여 linear-log 그래프로 그렸습니다. 반전력 주파수와 대역폭을 계산했습니다. 2. RLC 병렬 회로 C=0.01μF, 공진 주파수가 15.92kHz, Q-factor가 1인 bandstop filter를 설계했습니다. 전달 함수의 크기와 위상차를 주파수...2025.04.25
-
매트랩(Matlab)활용한 이공계열 학습의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실제 학습 예제들을 중심으로- (version cire)2025.04.261. 다변수 함수 그래프 시각화 이 코드는 다변수 함수의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먼저 x 벡터를 만들고, y를 x와 1대1 대응되도록 만듭니다. 그 다음 meshgrid() 함수를 사용하여 정의역을 만들고, 다변수 함수 식을 코딩에 맞게 변환한 후 surf() 함수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그립니다. 2. 다항식의 최적함수피팅, 최대값, 최솟값 찾기 이 코드는 특정한 유한개의 점들로 n-1차 다항식을 만들고, 그 곡선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찾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최소자승법과 polyfit(), polyval(), poly...2025.04.26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12025.05.151. RLC 공진 회로 이 실습에서는 RLC 공진 회로를 이용하여 Bandpass와 Bandstop 필터를 설계, 제작 및 실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먼저 Q-factor가 1과 10인 Bandpass 필터를 설계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달 함수의 크기와 위상차를 주파수 함수로 그래프로 나타냅니다. 반전력 주파수와 대역폭도 계산합니다. 다음으로 Q-factor가 1인 Bandstop 필터를 설계하고, 마찬가지로 전달 함수의 크기와 위상차를 주파수 함수로 그래프로 나타내며 반전력 주파수와 대역폭도 계산합니다. 마지막으로 직렬 및 ...2025.05.15
-
오실로스코프를 활용한 측정 보고서-고퀄2025.05.031. 오실로스코프 측정 방법 오실로스코프 전원을 켜고 채널 2개를 설정한 후 DC를 제거한다. GND 신호를 원점에 맞추고 측정 대상의 전압을 확인한다. 프로브를 OUT PUT과 GND에 연결하고 SEC/DIV를 조정하여 신호를 확인한다. 트리거를 상승 엣지로 설정하고 SINGLE 모드로 신호를 측정한다. 2. 함수발생기 설정 함수발생기를 1KHz, 1V, P-P로 설정한다. 3. 측정 결과 분석 전압을 1V로 설정했을 때 채널1과 채널2의 위상차는 29도, 주기는 채널1 250μs, 채널2 270μs, 주파수는 채널1 4kHz,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