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한국어의 초분절음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분절음 교육 방안2025.01.101. 한국어의 초분절음 한국어의 초분절음에는 장단, 고저, 억양, 강세 등이 있다. 이러한 초분절음은 의미 변별의 요소로 작용하며, 운율적 요소로 실현된다. 장단은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고저는 단어의 뜻을 구분하는 성조로 쓰인다. 억양은 문장의 종류나 화자의 감정, 태도 등을 구분하는 데 쓰이며, 강세는 특정 부분을 힘주어 발음함으로써 주위의 음들보다 더 크게, 더 길게, 더 강하게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 2.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분절음 교육 방안 한국어 초분절음 교육에서는 억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한국어 화자의 ...2025.01.10
-
단순 언어장애의 원인 및 출현율,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사회화와 심리사회적 요인, 언어의 구성요소 별 특징2025.05.131. 단순 언어장애 원인 단순 언어장애를 야기하는 원인은 신경학적, 언어 지식적, 정보처리, 인지적, 언어 학습 환경,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단순 언어장애 아동들은 뇌의 앞부분이 정상 범주를 벗어났으며, 특히 브로카 영역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언어 지식 부족, 인지적 결함, 정보처리 능력 저하 등의 특성을 보인다. 2. 단순 언어장애 출현율 단순 언어장애는 초기 아동의 어휘 사용량이 적을 때 다른 아동들과 비교해 질적 차이가 두드러진다. 첫 낱말 습득이나 사용이 느리고, 18~24개월 아동에서 어휘 성장이 부재하...2025.05.13
-
언어 발달 장애 아동의 발화를 분석할 때 형태소 분석과 어순 및 구문 분석의 유용성에 대해 설명하세요2025.05.071. 언어 발달 장애 아동의 발화 분석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언어장애를 유발할 만한 신경적 결함이나 지적, 지각적, 사회 정서적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언어발달에 지체를 보인다. 일부 연구자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비교적 느린 약 3세경에 이르러서야 구문을 산출하기 시작하지만, 대체로 일반아동들과 마찬가지로 주요 통사적 범주들을 사용해서 문장을 산출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고 한다. 반면, 일부 연구자들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특정 구문오류를 더 오래 지속 할 뿐만 아니라 습득한 구문능력을 다양하게 확장해서 사용...2025.05.07
-
장애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및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장애영유아의 언어발달을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활동의 사례2025.01.231. 구개열(CP)의 언어발달 특성 구개열 유아는 부적절한 말소리 산출기제를 가지고 있고, 청각장애로 인해 청각체계의 문제가 있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요인은 구개열 아동의 말소리 발달에서 음운발달의 지체를 가져온다. 구개열 아동은 정상 또래 아동에 비해 말소리 산출 측면에 있어 그 다양성이 부족하고, 심지어 수술 후에도 음성 산출량조차 더 적은 경우가 많다. 2. 청각장애(HL)의 언어발달 특성 청각장애아동의 언어적 특성은 낱말군(word class)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명사나동사와 같은 내용어는 과다하게 사용하는 반면, 문법...2025.01.23
-
언어발달과 관련된 전문용어 조사2025.01.151. 범주적 지각 물리적으로 일정한 연속선상의 음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 /b/, /p/의 음소사이의 경계, 즉 ㅂ, ㅍ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지각하는 능력. 이를 통해 말소리를 인식하게 되고, 모국어의 소리패턴을 학습하고 단어의 의미를 표상화하여 첫 낱말을 산출 할 수 있도록 함. 영아의 범주적 지각 능력은 성인의 지각 능력과는 차이가 있으며, 완전한 성숙은 2세경에 이루어짐. 2. 쿠잉(cooing) 구강의 뒤쪽에서 만들어지는 발성으로 편안함과 만족감을 나타내는 소리. 비둘기가 '구구구구'하는 것처럼 6주~8주의 영아가 목을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