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0개
-
여성간호학 병동 일일실습일지 (실습일지. 관찰내용, 교육내용, 공부내용, 느낀점 포함 2주치 자료)2025.05.081. 분만 1,2,3,4기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분만 1,2,3,4기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설명해주셨으며, 이에 대해 공부해 갈 것이라고 하였다. 2. 시술 시 환자 관리 시술할 때 환자의 옷을 갈아입히고 시술대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홑이불을 덮어주며, 시술실 문 앞 커튼을 치는 등 환자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수술실 준비 수술실에 갈 때는 가운을 입고 머리망을 챙겨가야 한다고 하였다. 4. 신생아실 출입 신생아실에 들어갈 때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5. 자연분만 시 준비 자연분만 환자의 산실에 들어갈 때는 머...2025.05.08
-
여성간호실습 산부인과 checklist 체크리스트2025.01.101. 산욕부 신체사정 자궁저부 체크 목적을 설명하고 소변을 보게 한 후 산모를 앙와위로 눕히고 복부를 노출시킨 후 왼손은 치골결합 위에 두고 오른손은 자궁저 위치를 확인한다. 배꼽을 중심으로 손가락 폭으로 자궁저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자궁수축 정도를 확인한다. 2. 유방 변화 임신 2-3주는 임신을 깨닫기도 전에 변화가 일어나고 임신과 동시에 젖샘이 급격하게 늘어나 유방이 붓는 듯한 느낌이 들고 유두도 민감해진다. 임신중기엔 유방이 풍만해지고 단단해지며 젖꼭지의 색깔이 짙어지면서 주변의 유륜선이 돌기 시작한다. 임신후기엔 유방이 ...2025.01.10
-
산후출혈 교육자료2025.01.201. 산후출혈 산후출혈이란 질식분만 후 산도를 통한 실혈량이 500mL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출혈성 쇼크와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산후출혈은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일차성 산후출혈과 분만 24시간부터 12주 미만에 발생하는 이차성 산후출혈로 분류됩니다. 증상으로는 출산 직후 지나친 양의 선홍색 피와 출혈, 심장 박동 증가, 어지러움, 식은땀 등이 있습니다. 간호사정에는 자궁 촉진 시 물렁물렁함, 다량의 출혈, 오로 지연, 냄새나는 질 분비물, 복통, 요통, 골반중압감, 미열, 피로감, 정서적 불안증세 등이 포함됩니...2025.01.20
-
산부인과병동 사전학습2025.05.061. 산욕기 정의 및 특성 산욕기란 대개 분만 후 생식기가 임신 이전의 상태로 급속히 변화하는 6~8주간을 의미합니다. 이 기간 동안 산모는 생리적,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며, 수유를 위한 변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납니다. 간호사는 산모, 아기 그리고 가족에게 적절한 도움을 주기 위해 산모의 해부 생리적 적응, 신생아의 생리와 행동의 특성, 신생아 간호 그리고 출산에 대한 가족의 반응 등에 대하여 잘 알고 총체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2. 자궁퇴축 자궁퇴축은 태반 만출 후 자궁이 임신 전의 크기와 모양, 위치를 회복하고 자궁내막이 치유되...2025.05.06
-
여성간호학 실습보고서2025.01.141. 태아진단검사 태아진단검사에는 정밀 초음파검사, 태아심장초음파 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제대혈 검사 등이 있다. 정밀 초음파검사는 태아와 태반의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여 기형 유무를 진단하고, 태아심장초음파 검사는 선천성 심장 기형 및 부정맥을 진단한다. 융모막검사와 양수검사는 태아의 유전자·염색체 검사, 바이러스 감염 검사 등을 통해 유전질환 및 선천성 기형을 진단하며, 제대혈 검사는 태아 염색체 이상, 유전질환, 빈혈 등을 진단한다. 2. 자궁경관무력증(IIOC) 자궁경관무력증(IIOC)은 임신 중기에 통증없이 자궁경부...2025.01.14
-
제왕절개 산모 간호2025.01.121. 제왕절개 산모 간호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산모의 간호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출혈 위험 관리, 활력징후 모니터링, 혈액검사, 자궁 수축 사정, 오로 관찰, 수술 상처 관리, 자궁 마사지, 휴식 증진, 출혈 징후 교육 등입니다. 이를 통해 산모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2. 수술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제왕절개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의 위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저혈압, 빈맥, 헤모글로빈/헤마토크릿 수치 감소, 다량의 오로 등 출혈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2025.01.12
-
여성실습 사전과제 산욕기 전과 후 체크리스트2025.01.191. 산욕기 산욕기는 임신과 분만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임신 전 상태로 복구되는 시간으로, 산욕 직후(출산 후 첫 24시간), 산욕 초기(출산 후 첫 1주), 산욕 후기(출산 후 2~8주)로 구분된다. 입원하는 산모에게 산모가 알아야 하는 지식을 교육하고, 산모가 궁금하거나 필요한 지식을 언제라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간호력 사정을 통해 산모의 전체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위험 요인을 빨리 파악할 수 있다. 산욕부의 신체사정에는 활력징후, 자궁저부, 배뇨양상, 배변여부, 유방, 회음절개 부위, 하지의 동통...2025.01.19
-
산후출혈 시나리오 및 간호과정 보고서2025.01.051. 산후출혈 환자 나00님은 12시간 전에 정상분만으로 4kg의 여아를 분만한 초산모이다. 질출혈이 있으며, 복부 통증을 호소하고 불안해하는 상태이다. 간호사는 자궁마사지를 시행하여 자궁저부 촉진과 자궁수축을 평가하고, 오로의 양상을 확인하며 설명한다. 산후출혈의 원인과 증상, 배뇨상태 및 방광팽만, 산후통과 간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대상자의 불안에 대해 지지하고 따뜻하고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보여준다. 2. 체액부족의 위험성 간호진단 1. 산후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활력징후 측정, 출혈 양상 확인 및 출혈 최소화,...2025.01.05
-
산욕기 간호 - 즐거운 산후 운동과 신체 회복 교육2025.01.031. 산후 운동 산후 1일차부터 시작할 수 있는 다양한 산후 운동들이 소개되었습니다. 흉식 심호흡, 복식 심호흡, 팔 상하 운동, 전신 휴식, 머리 일으키기 운동, 발목 운동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들은 혈액순환 개선, 근력 강화, 피로 해소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2. 산모의 신체 회복 출산 후 2주 동안 유방, 자궁, 오로, 질 등 산모의 신체 변화와 회복 과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초유 분비, 자궁 퇴축, 오로 배출, 질 팽창 등의 변화와 함께 통증, 불편감 등의 증상도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산모들이...2025.01.03
-
임부, 산욕부, 부인과 사전학습2025.01.061. 임부 관련 자가학습 임부의 산과력(para and gravida)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고, 분만 예정일과 태아 월령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임신 오조 관리에 대해 입원치료와 가정에서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임신성 당뇨 여성의 인슐린 요구량 변화와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를 설명하였습니다. 2. 산욕부 관련 자가학습 산후 오로의 변화양상, 산욕기 이뇨작용의 기전, 산욕여성의 회음부 간호, 산욕기 위험한 증상, 혈전성 정맥염의 신체적 징후와 검사 방법, 모유수유의 장점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3. 부인과 관련 자...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