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6개
-
완충 용액의 원리와 적정 곡선 분석2025.01.201. 산-염기의 정의와 세기 산-염기의 정의는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루이스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산과 염기의 세기는 이온화 정도에 따라 강산/강염기와 약산/약염기로 구분된다. 강산과 강염기는 물에서 100%에 가깝게 이온화되지만, 약산과 약염기는 소량만 이온화된다. 2. 완충 용액의 원리 완충 용액은 약산과 그 짝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을 혼합하여 만든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산이나 염기를 가해도 pH 변화가 작게 나타난다. 완충 용액의 효과는 pH=pKa 부근에서 가장 크며, pH=pKa±1 범위 ...2025.01.20
-
적정곡선과 완충용액의 이해2025.11.121. 적정곡선(Titration Curve) 적정곡선은 산-염기 적정 과정에서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강산과 강염기, 약산과 강염기, 강산과 약염기 등 다양한 조합에 따라 곡선의 형태가 달라집니다. 적정곡선은 당량점(equivalence point)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지시약의 색 변화 범위와 당량점이 일치할 때 정확한 적정이 가능합니다. 2. 완충용액(Buffer Solution)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산으로 이루어진 용액으로, 소량의 산이나 염기가 첨가되어도 pH 변화가 적습니다. Hen...2025.11.12
-
적정곡선과 완충용액2025.11.121. 당량점과 종말점 당량점(equivalent point)은 적정에서 분석물질과 적정제가 화학량론적으로 완전히 반응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종말점(end point)은 지시약의 색 변화로 관찰되는 적정 종료 지점입니다. 두 점은 이론적으로는 같아야 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완충용액의 완충능력 Buffer capacity는 완충용액이 산이나 염기의 첨가에 저항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완충능력이 클수록 pH 변화에 더 잘 저항하며, 약산과 그 염기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두 농도의 비...2025.11.12
-
서울시립대 화학및실험 생활속의 산-염기 분석 중화 적정2025.01.291. 중화 적정 실험 중화 적정 실험에서 A,B용액의 부피와 몰농도에 관한 식은 M_A V_A = M_B V_B 이다. 강염기와 약산의 적정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강산과 강염기의 적정 실험과 다르게 보아야 한다. 약산-강염기 적정에서 당량점 이전에는 약산에 의해 강염기가 중화되어 완충 용액이 된다. 당량점에서는 약산이 모두 반응하여 짝염기만 존재하므로 pH가 7 이상이 된다. 당량점 이후로는 염기의 양만 늘어나 pH 증가량이 감소한다. 2. 오차 요인 NaOH 농도 측정 실험에서 지시약 변색 시점을 당량점으로 판단하는 과정에서 오차가...2025.01.29
-
약산의 분리와 적정 예비보고서2025.01.231.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래피는 시료 중 극성과 비극성 물질의 용해도 차이에 근거하여 혼합물을 분리하는 기법이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이 비극성을 가져 비극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본 실험에서는 아세트산과 살리실산의 극성 차이를 이용하여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로 두 물질을 분리하고자 한다. 2. 약산의 적정 약산의 적정은 약산과 강염기 사이의 중화반응을 통하여 산염기 평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약산은 약한 산성을 나타내기에, 강염기로 적정할 경우 완전한 중화가 이루어지는 종말점에서 pH가 7보다 큰 염기성을 띠게 된...2025.01.23
-
인산의 적정과 완충용액2025.11.131. 인산의 적정 인산(H₃PO₄)은 삼염기산으로 적정 시 여러 단계의 중화반응을 거친다. 적정에서는 강염기(NaOH 등)를 사용하여 인산의 수소이온을 중화시키며, 각 단계별 당량점에서 pH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지시약을 이용하여 당량점을 정확히 결정하고, 적정곡선을 통해 각 해리단계의 pKa 값을 구할 수 있다. 2. 완충용액 완충용액은 약산과 그 염기(또는 약염기와 그 산)로 이루어진 용액으로, 외부에서 산이나 염기가 첨가되어도 pH 변화를 최소화한다. Henderson-Hasselbalch 방정식을 이용하여 완충용액의 pH...2025.11.13
-
화학실험1 - 산염기 적정2025.11.121. 산염기 적정 산염기 적정은 미지의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알려진 농도의 염기 또는 산을 첨가하는 정량분석 방법입니다. 지시약을 사용하여 당량점을 결정하며, 이는 산과 염기가 완전히 중화되는 지점입니다. 적정곡선을 통해 pH 변화를 관찰하고 미지 시료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당량점과 종말점 당량점은 산과 염기가 화학량론적으로 완전히 반응하는 지점이며, 종말점은 지시약의 색이 변하는 관찰 가능한 지점입니다. 이상적인 적정에서는 두 지점이 일치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2025.11.12
-
물질의 pH 측정과 자연지시약 제조 실험2025.11.171. pH 측정 방법의 비교 pH 미터, pH 시험지, 양배추 지시약 세 가지 방법으로 다양한 시료의 pH를 측정했다. pH 미터는 정확한 교정과 헹굼 과정을 통해 가장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pH 시험지는 산성과 염기성을 구분하고 1단위로 비교할 수 있어 양배추 지시약보다 정확하지만 색상표에 없는 색의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 양배추 지시약은 색의 농도로 산성과 염기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정확한 pH 값 측정이 어렵다. 2. 아세트산의 pH 계산 발효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CH₃COOH)은 약산으로 물에서 부분적으로 이온화된다...2025.11.17
-
식초와 아스피린의 산-염기 적정을 통한 정량분석2025.11.171. 산-염기 적정 이론 산-염기 적정은 농도를 알고 있는 표준용액을 미지농도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물의 농도를 결정하는 분석방법입니다. Arrhenius, Bronsted-Lowry, Lewis의 정의에 따라 산과 염기를 이해할 수 있으며, 적정 과정에서 당량점(이론적 계산값)과 종말점(지시약 색 변화)의 차이로 인한 적정오차가 발생합니다. 페놀프탈레인 같은 지시약은 pH에 따라 색이 변하여 종말점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아세트산 정량분석 식초에 함유된 아세트산(CH3COOH)의 함량을 1.0 M NaOH 표준용액...2025.11.17
-
인산의 적정과 완충 용액 실험2025.11.141. 다양성자 산(Polyprotic Acid) 다양성자 산은 물에 해리될 때 한 분자가 1개 이상의 수소 이온을 내놓는 산입니다. 인산(H₃PO₄)은 삼양성자 산으로 3단계 해리 과정을 거칩니다. 1단계에서 Ka1=7.1×10⁻³, 2단계에서 Ka2=6.2×10⁻⁸, 3단계에서 Ka3=4.5×10⁻¹³입니다. 단계가 지날수록 산 평형 상수가 감소하여 산이 약해집니다. 이는 음전하를 띠는 분자에서 양전하의 수소 이온을 제거하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입니다. 2. 완충 용액(Buffer Solution) 완충 용액은 산이나 염기를 첨가...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