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1개
-
중학생 심폐소생술 수업지도안2025.04.28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절차 심폐소생술은 심장 박동과 호흡이 멈추었을 때 필요한 응급 처치입니다.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뇌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의 절차는 의식 확인, 119 신고 및 자동심장충격기 요청, 흉부압박, 인공호흡 등입니다. 2. 올바른 흉부압박 방법 흉부압박은 가슴뼈 아래 1/2 지점에서 실시하며, 한 손 위에 다른 손을 놓아 깍지를 끼고 압박합니다. 압박 깊이는 5~6cm, 압박 속도는 100~120회/분으로 규칙적으로 실시합니다. 3. 인공호흡 방법 인공호흡은 코를 막아 공기가 새지 않...2025.04.28
-
심폐소생술 CPR 발표 ppt2025.04.281. 심폐소생술 (CPR)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입니다.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줍니다. 심폐소생술의 5단계는 1) 심장정지 인지 및 구조 요청, 2) 목격자 심폐소생술, 3) 제세동, 4) 전문 심폐소생술, 5) 제세동 후 치료입니다. 2. 심폐소생술 시행 방법 심폐소생술 시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응 확인, 2) 119 신고, 3) 호흡 확인, 4) 가슴압박 30회...2025.04.28
-
심폐소생술2025.01.271. 환자의 반응 확인 환자에게 접근하기 전에 현장 상황이 안전한지 우선 확인한다. 안전하다고 판단되면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본다. 의식이 있다면 대답을 하거나 움직이거나 소리를 낸다. 확인하는 동안 쓰러져 있는 환자의 머리나 목의 외상이 의심되면 손상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2. 119 신고 및 제세동기(자동심장충격기) 도움 요청 쓰러진 환자가 반응이 없으면 주변 사람에게 즉시 119에 신고해달라고 요청하고 제세동기를 가져오도록 요청한다. 환자가 반응이 없고 호...2025.01.27
-
심폐소생술2025.01.09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의 유형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과 전문 심장 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이 있다. 기본 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현장에서 ...2025.01.09
-
제세동기 defibrillator 사용법, 제세동, 심율동전환, defibrillation, cardioversion2025.01.131. 제세동기 사용법 제세동기는 전류의 전달시간이 짧은 직류를 심장에 전달시켜 일시적으로 심근을 탈분극시켜 심실세동이나 다른 종류의 부정맥을 멈추게 하고 정상적인 심박수와 리듬을 되찾게 하기 위한 기계입니다. 제세동기의 주요 구성 요소와 사용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defibrillation과 cardioversion의 차이 defibrillation은 동기직류 방전장치의 작동없이 심실잔떨림(심실세동)을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cardioversion은 심실잔떨림 이외의 부정맥을 동기직류 방전장치...2025.01.13
-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심전도 및 제세동기2025.01.19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를 되살리기 위한 치료기술로, 심정지 환자에게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심박동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된다. 심폐소생술의 주요 단계는 가슴압박, 기도 개방, 인공호흡, 자동제세동기 사용 등이다. 2. 자동제세동기(AED) 자동제세동기는 심실세동, 심방세동, 심방조동 등으로 심정지가 된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 심장의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도구이다....2025.01.19
-
CPR이란?2025.01.161. 심정지 심장이 멎게되면 우리 몸으로 가는 혈액의 순환이 중단이 되고, 온몸으로 가는 산소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호흡이 정지가 되면 산소공급이 중단이 되고, 혈액내산소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두 경우 모두 몸에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이며 결과적으로 세포가 손상을 받아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2.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다시 뛰게 하는 것이 아닌, 모종의 이유로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심장을 대신하여 외부 사람이 직접 해당 부위를 압박하여 심장이 할 일을 일부나마 대리해 ...2025.01.16
-
심정지 간호 레포트 A+2025.01.151. 심정지의 정의 심장 수축력이 감소해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호흡 또는 심박동의 정지로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하며, 임상적으로 맥박이 촉지 되지 않고,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되면 지명적인 뇌손상 및 사망을 초래하므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해 행해지는 심폐소생술로 대상자의 생명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2. 심정지의 원인 심근경색, 부정맥, 저 산소증, 급성 뇌졸중 등이 심정지의 주요 원인이다. 3. 심정지의 증상/징후 갑작스러운 의식상실, 호흡 중단...2025.01.15
-
2022년 응급간호2025.01.25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 기본소생술(Basic Life Support)은 1차 소생술을 말하며 특별한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처음 목격한 사람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법과 가슴 압박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소생술이다. 1단계 :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2단계 : 응급의료체계 신고한다. 3단계 : 호흡을 확인한다. 4단계 : 가슴압박을 한다. 5단계 : 기도유지 한다. 6단계 : 인공호흡을 한다. 7단계 : 제세동은 심장전기충격기며 심장에 전기적 충격을 주어 동방결절이 제기능을 찾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세동, 심율동 전환하는데 사용한...2025.01.25
-
소아/영아 심폐소생술(절차, 이론적 근거, 행위별 근거)2025.04.281. 소아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입니다.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신속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생존율이 3배 이상 높아집니다.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무산소증으로 인한 영구적인 뇌손상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심폐기능을 회복시켜 생명을 보전하는 것입니다. 한국 기본소생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소아/영아 심정지 시 무반응, 무호흡 확인 후 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 순서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합니다. 2. 아동 기본 심폐소생술: 체외 제세동기 체외 제세동의 목적은 인위적...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