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2개
-
A+ 생화학실험 <4주차. 세포배양법> 레포트2025.01.201. 세포 배양법 세포 배양이란 생물학과 의과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기술로, 생물체에서 분리한 세포를 체내 환경이 아닌 액체 및 고체 배지를 비롯한 외부 환경에서 키우는 것을 말한다. 세포 배양은 특정 세포를 증식하거나 관찰하므로 세포에 따른 온도, pH를 비롯하여 적절한 생장 환경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배지에는 세포가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아세트산, 포도당 등의 영양분이 첨가된다. 필요에 따라, 목적한 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항생물질을 넣기도 한다. 세포 배양 시, 변수를 제거하기...2025.01.20
-
박테리아에서 DNA 분리2025.01.271. plasmid DNA 분리 실험 목적은 plasmid DNA 분리에 대해 이해하고, 그 과정 중 하나인 plasmid mini-preparation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plasmid DNA 분리법의 공통적인 세 단계는 overnight culture, mini preparation, 순수한 plasmid DNA 분리 과정이다. mini-prep은 plasmid DNA를 소량 분리하는 방법으로, 알칼리 조건에서 세포를 파괴시켜 DNA만을 분리하는 것이다. 2. plasmid DNA 분리 시약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LB 배지...2025.01.27
-
가정용 수경재배기 디자인 및 방울토마토 재배 계획2025.01.161. 수경재배 수경재배는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을 재배하는 특수재배법으로, 식물생육에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을 기르는 방식입니다. 수경재배에는 순수수경재배와 배지경이 있으며, 순수수경재배에는 담액수경, 박막수경, 분무수경이 있습니다. 배지경은 순수 수경재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토양 대신 인공 또는 천연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액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입니다. 2. 가정용 수경재배기 가정에서 간단하게 수경재배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배양액 탱크, 순환펌프, 배양액 공급용 호스(배관), 밸브, 타이머, 재...2025.01.16
-
[미생물공학실험]미생물 배양 배지 제작 및 세균배양2025.01.231. 미생물 배양 미생물을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배양이라고 한다. 진균, 세균, 랩토스피라 등은 무세포 배지에서 배양되지만 리케치아, 바이러스는 무세포 배지에서는 증식되지 않으므로 살아 있는 세포를 필요로 한다. 세균을 배양할 때에는 균종에 따라 각각 최적조건의 배지 선택이 중요하다. 2. 배지 분류 배지란 적당한 영양성분을 혼합해서 무균상태의 액체 또는 고체로 만든 인공적인 증식환경을 말한다. 배지는 물리적 상태에 따라 액체, 고형, 반고형 배지로 분류되며, 배지 사용 목적에 따라 증식용 배지, 증균 배지, 분리 배지, 성상...2025.01.23
-
내부, 외부요인에 따른 오오히라균의 변화2025.01.271. 오오히라균 오오히라균은 버섯 균사로, 유기 호흡을 통해 단당류를 재료로 산소를 더해 에너지와 이산화탄소, 물을 만들어내며 이 과정에서 균사의 질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오오히라균에 곤충 유충(Dorcus hopei)을 투입하여 균, 첨가제, 유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 균사 배양 1차 실험에서는 예비실험으로 150cc병에 순수한 균사, 트레할로스, 단백질, 밀기울, 원두 등을 분류하여 균사를 배양하였다. 균사를 재배양할 때 위생 상태가 매우 중요하므로 클린벤치(무균 실험대)를 사용하여 배양하고, 작업...2025.01.27
-
Plasmid DNA 분리 예비레포트2025.04.261. 플라스미드 DNA 플라스미드는 생장에 필수적인 염색체이며 DNA에서 물리적으로 분리 돼 있는 대표적인 에피솜 DNA분자입니다. 플라스미드는 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전달, 외래 유전자 또는 재조합 유전자 발현, 유용 단백질 생산, 백신 상산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플라스미드 DNA는 염색체 DNA와 달리 작은 환형 DNA이기 때문에 변성 후 회복이 상대적으로 빨리 이루어집니다.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습니다. 2. 플라스미드 DNA 분리 원리 플라스미드 DNA 분리의 핵심 원리는 변성된 DN...2025.04.26
-
박테리아의 동정(그램염색)2025.01.031. 미생물의 정의 미생물은 0.1mm 이하의 크기인 미세한 생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써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 생활단위를 영위한다. 조류, 균류, 원생동물류, 사상균류, 효모류와 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 2. 배지의 정의 및 분류 배지는 실험실에서 식물 및 동물세포, 미생물의 배양에 필요한 영양분을 섞어 인위적으로 만든 혼합물이다. 균종이나 세포종에 따라서 필요로 하는 영양성분이 다르므로 균종에 따라 적절한 배지를 만들어야 한다. 배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증식용 배지, 선별증균배지, 감별배지로 분류되며, 사용 형태에 따...2025.01.03
-
세포생리학실험_cell culture, Genomic DNA Isolation_genomic DNA 추출, total RNA 추출, 전기영동2025.01.131. 세포 배양 HEK 293T 세포를 DMEM 배지와 FBS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는 처음에는 동글동글한 모양이었지만 점차 바닥에 붙어 자라나면서 별모양의 형태를 띠었다. 배지의 색이 점점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세포가 죽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세포가 일정 횟수의 분열을 한 후 노화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Genomic DNA 추출 HEK293T 세포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세포를 용해시킨 후 단백질과 RNA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순수한 DNA를 분리하였다. 전기영동 결과 DNA 밴드가 마커보다...2025.01.13
-
미생물학실험 보고서2025.05.101. 미생물 배양 및 도말법 이 실험의 목적은 미생물 배양 및 도말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주변에서 직접 미생물들을 채취하여 도말하고 배양해보는 것입니다. 실험에서는 도말법, 획선 도말법, 평판 도말법, 고층배지의 접종, 사면배지의 접종 등 다양한 미생물 배양 및 도말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2. 미생물 채취 및 관찰 실험에서는 이어폰에서 미생물을 채취하여 멸균된 배지에 streaking 방식으로 도말한 후 7일 동안 관찰하였습니다. 총 5개의 미생물 colony가 자란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이어폰에 많은 수의 미생물이...2025.05.10
-
식품미생물학 실험 보고서 배지제조 및 대장균접종 (A+보고서)2025.01.041. 무균조작 실험을 진행할 때 외부 미생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무균 조작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멸균된 표면과 기구를 사용하고, 공기 노출을 최소화하며, 작업자도 장갑을 착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무균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 미생물 외의 오염을 방지하고 순수 배양물을 분리 및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배지 제조 및 살균 배지 제조 시 정량의 배지 가루와 증류수, agar를 섞어 준 뒤 고압 살균기나 여과 방식으로 살균합니다. 고압 살균기는 100°C 이상의 온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배지와 기구를 살균하며,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