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31개
-
비뇨기계 응급질환-신부전2025.01.271. 신장의 구조 신장은 길이 약 10~14cm, 폭 5~6cm, 두께 2.5~3cm이며 한쪽 콩팥의 무게는 120~190g입니다. 신장은 사구체, 근위세뇨관, 헨리고리, 원위세뇨관, 집합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설과정을 담당합니다. 2. 신장의 기능 신장은 체액 및 전해질 조절, 산-염기 균형 조절, 혈압 조절, 노폐물 배설, 체액 조절, 인슐린 대사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적혈구 생성 등의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합니다. 사구체여과율은 신장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3. 급성 신손상 급성 신손상은 신장기...2025.01.27
-
아동간호학 정상아, 고위험 신생아 비교2025.01.131. 고위험 신생아 고위험 신생아는 재태 연령이나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자궁 밖의 생활에 적응하기 어렵거나 출생과 관련된 문제로 사망률이나 이환율이 평균 이상인 신생아를 말한다. 고위험 신생아는 체표면적이 넓고 피부가 얇으며 피하조직이 없어 탈수에 취약하다. 따라서 체중,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하고 소변 비중, 혈청 전해질 수치를 평가하여 수분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또한 고위험 신생아는 흡철과 연하 기전의 기능이 미숙하여 구역반사가 발달되지 않아 흡인 위험성이 높고, 단백질 소화 및 흡수 능력이 만삭아보다 약하다. ...2025.01.13
-
갑상선기능항진증 간호진단2025.01.291. 심박수 증가 및 불규칙적인 심박수와 관련된 심박동 이상 (Ineffective Cardiac Output)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인해 심장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면서 심박수가 증가하고 불규칙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심장의 효율적인 펌프 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심박수 모니터링, 약물 치료, 휴식 제공, 교육 등이 필요합니다. 2. 체중 감소, 근육 약화 및 과도한 에너지 소모와 관련된 영양 부족 (Imbalanc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갑상선기능...2025.01.29
-
성인간호학실습 신경계 병동 사전학습2025.01.131. 무의식 무의식이란 자신이나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로, 실신에서부터 혼수상태까지 다양한 정도가 있다. 무의식은 외상, 대사장애, 종양, 감염 등 다양한 병태생리 과정에 의해 초래된다. 무의식 대상자의 증상과 징후로는 각성 감소, 주의집중 감소, 혼돈, 지남력 상실, 동요, 기억력 저하, 일상생활수행 능력 감소, 기동성 저하, 실금, 환각, 망상, 착각 등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건강력과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의식수준 변화의 시작시기와 형태, 의식수준 변화를 처음 알게 된 때, 의식 지남력, 주의 집중력, 언어사용의 수준,...2025.01.13
-
수분과 전해질, 산염기 간호 PTT(H+양지병원)2025.05.021. 체액 불균형 - 세포외액량 결핍 세포외액량 결핍은 혈관 내의 체액과 간질액이 감소된 상태로, 흔히 탈수라고 한다. 혈관 내 체액량의 감소(저혈량증)를 일으키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수분 불균형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피부의 탄력, 구강 점막의 건조 정도 사정, 소변배설량 측정, 체중 측정, 구강 수분 공급, 설사 환자 식이 관리, 피부통합성 장애 예방 등이 있다. 2. 체액 불균형 - 세포외액량 과다 세포외액량 과다는 혈관과 간질강에 체액정체가 증가한 상태이다. 간호 사정과 중재로는 강한 맥박과 혈압 상승, 호흡음 청진, 요...2025.05.02
-
핵심식물생리학 정리노트 Ch02 물과 식물세포2025.01.181. 확산과 삼투 확산은 무작위적인 열운동에 의한 분자들의 순 이동이며,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삼투는 선택적 투과막을 통한 물의 확산으로,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이동한다. 확산은 단거리 이동에 효과적이지만 장거리 수송에는 속도가 느리다. 2. 수분 퍼텐셜 수분 퍼텐셜은 물의 자유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용질 퍼텐셜, 압력 퍼텐셜, 중력 퍼텐셜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수분 퍼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이 이동한다. 3. 삼투에 의한 물 이동 수분 퍼텐셜 기울기에 따라 물이 세포 내부로 들어오거나 나갈 수 있...2025.01.18
-
체액, 전해질 및 산염기평형 정리2025.01.231. 체액의 분포 신체 부위(구획)에 따라 체액의 양과 성분이 달라짐. 세포내액구획과 세포외액구획으로 나눠짐. 세포내액구획은 세포 내(세포막 안)의 모든 수분과 용질을 포함하며, 체액 부피의 약 63% 정도를 차지한다. 세포외액구획은 세포 밖의 모든 체액으로, 체액 부피의 약 37% 정도를 차지한다. 2. 수분평형 체내로 들어오는 총 수분 = 나가는 총 수분 →항상성기전에 의해 유지. 수분 섭취는 일차적으로 갈증에 의해 조절되며, 신체수분 ↓ → 삼투압 ↑ → 갈증중추의 삼투수용기 자극으로 이루어진다. 매일 약 2,500ml의 수분...2025.01.23
-
만선신부전 환자의 식이, 혈액투석식이2025.01.231.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식이요법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식이요법은 수분, 염분, 포타슘, 칼슘, 인의 섭취량 조절과 단백질, 당질, 지방 공급 및 비타민제제의 적절한 공급이 필요합니다. 수분과 염분 제한, 포타슘 관리, 칼슘과 인 관리, 열량섭취를 위한 영양소 공급 등이 중요한 원칙입니다. 2. 투석치료를 받는 당뇨성 신부전 환자의 식사 투석을 받는 당뇨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단백질 섭취를 증가시키고, 혈당 조절, 적절한 열량섭취 등이 중요합니다. 단백질은 1.2g/kg/일 수준으로 섭취하며, 탄수화물은 총 열량의 50-60%, 지방...2025.01.23
-
[일반생물학A+보고서] 잎의 기공 관찰2025.04.281. 기공의 구조와 개폐 메커니즘 식물의 잎에서 물과 이산화탄소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인 기공의 구조와 개폐 메커니즘을 이해하였다. 관찰 결과, 잎의 앞면보다 뒷면에 더 많은 기공이 분포하며,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의 기공 분포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공 개폐는 빛, 수분 상태, 온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환경요인에 의해 조절되며, 공변세포의 팽압 조절에 의해 일어난다. 2. 기공 개수의 차이 기공은 식물의 증산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잎의 앞면과 뒷면에 기공 개수의 차이가 나타난다. 잎의 앞면에 기공이 많으...2025.04.28
-
핵심식물생리학 정리노트 Ch03 식물의 수분 균형2025.01.181. 식물의 수분 균형 토양 내의 물은 토양의 수분 퍼텐셜을 저하시키며, 토양의 수분 퍼텐셜은 압력 퍼텐셜, 중력 퍼텐셜, 삼투 퍼텐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토양 수분 퍼텐셜이 식물 수분 퍼텐셜보다 크므로 물은 토양에서 식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지닌다. 물은 부피 유동으로 토양을 통해 이동하며, 뿌리에서 물은 주로 뿌리털을 통해 흡수된다. 물은 아포플라스트, 심플라스트, 막횡단 경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뿌리압은 물관부의 용질 축적에 의해 발생하며, 물관부는 헛물관과 물관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물의 장거리 수송은 압력에 의해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