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0개
-
미생물 동정 1 - Gram staining & MacConkey test - 결과레포트2025.01.241. 그람 염색 그람 염색은 세균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미생물학적 기법입니다. 이 기법을 통해 세균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람 양성균은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분홍색으로 염색됩니다. 이 정보는 세균의 세포벽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MacConkey 배지 MacConkey 배지는 그람 음성 세균을 선택적으로 배양하는 데 사용되는 배지입니다. 이 배지에서 락토스를 발효할 수 있는 그람 음성균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 집락을 형성하며, 락토스를 발효할 수 없는 ...2025.01.24
-
내시경 기구 배양검사 프로세스 및 감염관리2025.11.151. 내시경 기구 배양검사 준비물 및 채취 방법 내시경 기구 배양검사를 위해 필요한 준비물은 Syringe 50cc, 멸균증류수, D-set, 내시경 세척용 멸균 brush, 검체 꽂을 틀, 시리얼 넘버 스티커, 일반배양배지, 멸균 bottle, 멸균장갑, AP가운, 덴탈 마스크 등이다. 검체 채취는 첫 환자 내시경 시술 전 12시간 이상 경과 후 시행하며, 멸균 장갑과 AP가운, 덴탈 마스크를 착용한 후 진행한다. Swab 방법으로는 멸균생리식염수로 적신 멸균 면봉을 사용하여 Biopsy channel, Suction channe...2025.11.15
-
급성 인두염 간호진단3개, 질환 대상자의 간호문제 및 관리, 치료2025.05.061. 급성 인두염 급성 인두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인두 염증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인후통, 연하곤란, 발열, 구강호흡, 구강점막 건조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인두배양검사와 신속항원검출검사를 실시하며,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필요 시 항생제 치료를 합니다. 간호진단으로는 질병으로 인한 고체온, 체액부족, 급성통증 등이 있습니다. 1. 급성 인두염 급성 인두염은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두의 급성 염증 상태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인두 통증, 삼킴 곤란, 발열, 두통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2025.05.06
-
COD와 BOD를 이용한 수질검사2025.01.221. 수질오염지표 수질오염지표는 수질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척도로, 수중에 녹아 있는 산소량인 DO, 수중의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필요한 산소량인 BOD, 수중의 유기물을 화학적 산화제를 사용해 분해할 때 필요한 산소량인 COD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DO가 낮을수록, BOD와 COD가 높을수록 수질이 오염되었다고 판단한다. 2. BOD 측정 BOD는 수중의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필요한 산소량을 뜻한다. 초기 시료의 DO 값에서 시료를 빛을 차단하여 20 ℃에서 5일간 배양한 후의 DO 값...2025.01.22
-
아동 천식 및 폐렴 사례연구 간호보고서2025.11.161. 폐렴의 분류 및 병태생리 폐렴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지만 유아와 어린 아동에게 더 빈번합니다. 해부학적으로 대엽성, 간질성, 기관지 폐렴으로 분류되며, 원인적으로는 바이러스성, 마이코플라즈마성, 세균성 폐렴으로 나뉩니다. 병태생리는 기침반사, 점막 섬모운동, 폐포 대식세포의 식균작용 등 방어기전이 흡입된 병원균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는 과정에서 독소 방출과 부산물 생성으로 폐점막 손상과 환기/관류비율 이상을 초래합니다. 2. 바이러스성 폐렴의 임상 특징 및 치료 RSV, parainfluenza virus, adenovirus...2025.11.16
-
[아동간호학] 세균성 뇌수막염 case study 간호과정22025.01.231. 세균성 뇌수막염 12세 여아 환자가 내원 1일 전부터 38도가 넘는 고열과 뒷목 및 이마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여 응급실을 방문했습니다. 신체검진 결과 경부 강직과 함께 Kernig 및 Brudzinski 징후가 양성으로 나타났고, 혈액 배양 검사에서 Neisseria meningitidis가 검출되었습니다. 뇌척수액 검사 결과 압력이 상승되어 있고 당 수치가 저하되어 있었습니다. 간호과정에서는 감염으로 인한 고체온과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급성 통증을 중점적으로 관리하였습니다. 체온 및 피부 상태, 수분 섭취량 등을 모니터링하...2025.01.23
-
A+ 성인간호학 농흉(empyema) Case study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2025.05.031. 농흉(empyema) 농흉은 흉막액에 육안으로 화농성(고름)이 확인되거나 세균이 검출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으로 흉수는 벽측 및 장측흉막에서 생성되어 벽측흉막에 존재하는 림프관을 통해 몸속으로 흡수됩니다. 하지만 어떤 원인으로 인해 흉수의 생성이 증가하거나 흡수가 감소하면 흉강에 흉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농흉 또는 늑막염이라고 합니다. 세균 감염이 농흉의 한 원인이며, 이로 인해 고름과 같은 흉수가 흉강에 고이게 됩니다. 1. 농흉(empyema) 농흉은 흉막강 내에 농이 고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폐렴, 폐...2025.05.03
-
아동간호 케이스스터디 노로바이러스2025.05.101.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으로, 식품이 매개하는 수인성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의 하나이다. 노로바이러스는 비세균성 급성위장염을 일으키는 칼리시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이며, 감염자의 대변 또는 구토물에 의해 음식이나 물이 오염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 시 평균 12-48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뒤 갑자기 오심, 구토, 설사 증상이 발생하며, 24-60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진단은 환자의 검체에서 노로바이러스 핵산을 검출하거나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검출하여 확...2025.05.10
-
급성장염 사례 연구: 로타바이러스 감염 진단 및 간호2025.11.171.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급성 위장염은 위와 소장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으로 설사, 구토, 복통을 주증상으로 한다. 로타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며 영아기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다. 바이러스가 장의 상피세포에 직접 침입하여 손상시키고, 장액 흡수 불능으로 인해 탈수와 전해질 손실이 발생한다. 치료의 일차 목표는 탈수 예방이며, 경구 또는 비경구적 수액 공급이 기본 치료다. 심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이 주된 합병증이다. 2. 급성 대장염(Acute Colitis) 급성 대장염은 주로 급성 감염성 장염을...2025.11.17
-
성인간호학 방광염 케이스스터디 Cystitis case study 문헌고찰, 연구, 간호과정2025.05.021. 방광염의 정의 방광벽의 염증으로서 주로 상행성 세균 감염으로 일어나며, 흔히 증상이 있는 요로 감염을 의미한다. 무균성 혹은 간질성 방광염은 감염이 없는 방광 점막의 염증을 말한다. 여성의 25% 이상에서 요로감염이나 방광염을 경험하며, 남성은 요도가 길고 전립샘액의 항균성 때문에 50세 이전에는 방광염에 잘 걸리지 않는다. 방광염은 빈번하게 재발한다. 2. 방광염의 원인 및 위험요인 원인균은 E-coli, enterobacter, pseudomonas, serratia 등 위장관의 상주균들로서 항문과 요도구가 인접해 있기 때...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