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45개
-
혈구 관찰과 혈액형 판정 실험2025.05.141. 혈구 관찰 혈액은 세포성 요소들이 전체 혈액 부피의 약 45%를 차지하고, 나머지 55%는 혈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액 속 세포는 크게 두 종류,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와 면역에 관여하는 백혈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세포의 작은 조각으로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도 혈액 속 세포에 해당한다. 현미경 관찰 결과, 400배율에서는 적혈구만 관찰되었고 백혈구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염색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2. 혈액형 판정 혈액형 판정 실험의 원리는 항원항체반응이다. A형인 사람의 적혈구 표면에는 항원 A가 존...2025.05.14
-
(A+보장) 간호 생리학 면역 파트 총정리 PPT2025.04.281. 면역이란 면역이란 미생물, 이물질의 침입이나 손상에 반응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방어하는 능력으로, 인체의 항상성 유지를 위한 각종 질병을 감시하고 방어하거나 이겨내는 활동이자 힘을 의미합니다. 2. 면역계 면역계는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작동하는 여러 단계의 방어기전과 이와 관련된 모든 조직을 통칭하며,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으로 구분됩니다. 비특이적 면역은 1차 방어선인 피부, 눈물, 위산 등의 물리적, 화학적 장벽과 식세포 작용, 염증, 보체 등의 2차 방어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특이적 면역은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2025.04.28
-
면역학 개념 정리2025.01.031. 면역의 정의 면역(immunity)은 한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면역은 감염방어면역, 종양면역, 알레르기질환, 자가면역질환, 이식의료 등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현재의 면역 개념은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서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을 의미한다. 2. 선천면역과 후천면역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은 비특이적 방어기전으로 감염이 일어나면 단시간에 발동하여 병원체를 제거한다. 후천면역(acquired imm...2025.01.03
-
면역 기능 증진2025.05.141. 면역 기능 증진의 정의 및 개요 면역(Immunity)은 특정한 병원체 또는 독소에 대하여 생명체가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상태로, 어원 라틴어 'Immunitas'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생체가 이물질(병원균 등)이나 체내에서 생긴 불필요한 산물 등을 식별하여 배제하는 방어 기능으로 개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현상도 포함한다. 면역학(Immunology)은 면역 체계와 면역반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2. 선천성 면역(자연면역) 선천성 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면역반응으로, 피부나 털, 점액 등을 이용한 감염...2025.05.14
-
포유류와 어류간의 면역체계의 차이점2025.01.021. 포유류와 어류의 면역체계 차이 포유류와 어류는 각각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며 서로 다른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다. 포유류의 면역체계는 세포 매개 면역과 항체 매개 면역으로 나뉘며 상대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반면 어류의 면역체계는 주로 비특이적 방어 기전을 사용하며 항체 생성이 적은 편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동물들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각자의 생태학적 역할에 맞게 발전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포유류와 어류의 면역체계는 서로 다른 구조와 작용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생물학적, 진화적 관점에서 중요하다. 1. 포유류와 어류의...2025.01.02
-
면역의 개념 및 종류 + 국시기출2025.01.161. 면역의 개념 면역이란 미생물 침입으로 인한 질병과 그 밖의 문제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주된 방어기전으로서 건강유지와 질병예방에 중요하다. 면역에는 선천적 면역(자연면역)과 후천적 면역(획득면역)이 있다. 2. 면역의 종류 선천적 면역은 인체가 면역원과의 접촉이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면역반응이다. 후천적 면역은 인체에서 이종단백질에 대한 적응반응으로 형성되거나 이미 형성된 것을 받는 것을 말한다. 후천적 면역에는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이 있다. 3. 면역계의 구조 면역계의 구조는 림프계와 면역세포로 나뉜...2025.01.16
-
감염과 면역2025.01.271. 감염과 면역 감염성 질병의 발생은 미생물과 숙주사이의 여러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개인의 면역상태, 미생물의 빈도와 병독성, 감염 경로 등이 중요한 요소이다. 숙주에서 발병되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숙주의 1차방어선을 통과하고 자연면역과 획득면역 방어기전을 통과해야 한다.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에는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이 관여하며,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에는 인터페론, 항체, 세포독성 T세포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진균류와 기생충에 대한 면역반응도 복잡하며, 숙주의 면역반응을 회피하는 기전이 중요하다. 1. 감염과 ...2025.01.27
-
우리 몸 안에서 벌어지는 소리 없는 전쟁2025.04.251. 피부의 면역 반응 피부는 외부의 병원균이 몸속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피부로 침투하기에 실패한 병원균들은 땀이나 기름으로 씻겨 내려간다. 아토피는 면역 반응이 약해서가 아니라, 너무 강해져서 면역체계가 병원균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피부까지 공격해서 생기는 것이다. 2. 점막의 면역 기능 점막은 내장을 감싸고 있는 상피인데 점액을 분비하여 세균이 씻겨 내려가게 한다. 콧물이 대표적인 점액이며, 점막 끝에 있는 보이지 않는 섬모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쓸려나가게 한다. 3. 암세포의 증식 암세포가 증식하는 이유는 ...2025.04.25
-
생리학 요점요약정리22025.05.011. 중추신경계통의 구조 및 기능 중추신경계통은 몸 안팎의 환경변화에 대하여 적절히 적응하도록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뇌(대뇌, 중뇌, 시상하부, 시상, 소뇌, 뇌교, 연수)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위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뇌는 지각, 청각, 시각, 후각 등의 중추와 운동중추를 가지고 있으며, 중뇌는 감각정보 전달, 눈의 움직임과 청각에 관여한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최고위 조절 기능을 하며, 시상은 감각정보 전달과 정서 반응 조절을 담당한다. 소뇌는 운동 조절과 몸의 평형...2025.05.01
-
면역의 정의와 저하증상, 면역결핍 질환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시오.2025.05.111. 면역의 정의 면역 시스템은 병원균에 대한 즉각적인 방어를 담당하는 선천면역과 병원균의 특정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나 세포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후천면역으로 구성된다. 선천면역은 병원균 특이적인 구조를 인식하는 수용체를 이용하여 감염 세포를 죽이거나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하여 작용하며, 후천면역은 병원균의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세포를 이용하여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한다. 2. 면역력 저하 증상 면역력이 저하되면 피로감, 혀의 염증, 관절 통증, 식욕 저하, 피부 트러블, 임파선 염증, 배탈 및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