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급성심근경색증의 문헌고찰2025.01.091. 급성심근경색증의 원인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혈액이 통하지 않아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중의 하나이다.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arteriosclerosis)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되는 것이며, 드물게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의 색전증(embolism)이나 손상, 혈관염(vasculitis) 또는...2025.01.09
-
횡문근융해증 간호진단과정2025.01.291. Rhabdomyolysis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은 골격근 섬유의 빠른 파괴 이후 근육세포에서 나오는 잠재적 독성물질이 전신으로 순환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전신적인 내과적 상황을 의미한다. 보통 근육 손상 이후 혈청 크레아틴 활성효소(creatine kinase, CK)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 상승을 보인 후 정상 수준으로 빠르게 감소하여 유지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횡문근융해증은 근육의 파괴로 인하여 나오는 여러 물질 중 미오글로빈이 소변에 다량 나오면서 어두운 차 또는 콜라색 소변을 동반할 수...2025.01.29
-
정신과 병동에서의 검사 및 약물2025.05.071. Routine Lab 정신과에서 시행되는 검사에는 CBC, LFT, serology, U/A 등의 routine lab 검사가 포함된다. 이러한 검사는 정신과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EKG, X-ray 심전도(EKG)는 심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흉부 X선 검사는 폐와 심장 질환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검사는 정신과 환자의 신체적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EEG 뇌파(EEG) 검사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뇌 기능의 이상을 진단하는 데 ...2025.05.07
-
infective endocarditis(acute, subacute) A+ 맞은 급성 심내막염 수술간호 사례간호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2025.01.131. infective endocarditis 감염성 심내막염은 주로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데, 포도알균이나 사슬알균이 주요 원인균이다. 기존에 특정한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판막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비뇨기계 수술이나 치과 치료(특히 발치)를 받는 과정에서 혈액 내로 들어온 세균들이 혈액을 타고 흐르다가, 심장 내 구조물, 특히 판막에 정착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감염성 심내막염에 걸리면 심장의 수축기에 심 잡음이 들리고, 비 출혈(코피), 잇몸 출혈, 관절통, 열, 등의 증상이 생긴다. 이러한 염증은 결합조직을...2025.01.13
-
동국대_정신실습1_A+MDD(주요우울장애) 간호과정2025.05.061. Major depressive disorder(주요 우울장애) 주요 우울장애는 상실이나 실망감을 경험하면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적응과정인 슬픔, 애도와 우울은 차이를 보인다. 우울은 객관적 현실과 다르게 기분이 가라앉고 감정 표현이 없으며, 무디고 슬픈 감정을 지속적으로 지닌 경우다. 우리나라 주요 우울장애의 평생 유병률 5.1%로 정신장애 중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이지만 이 중에서 30% 정도만 진단이나 치료를 받고 있다. 최근 들어 발병 연령이 낮아졌고, 전 연령층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