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02개
-
전류계 만들기 결과 레포트2025.05.041. 전류계 제작 실험을 통해 전류계를 직접 제작하였다. 나침반 주위에 에나멜선을 감아 전류가 흐르면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기준 전류에서의 나침반 각도를 측정하고, 다른 전류값에서의 각도를 예측하는 과정을 거쳤다. 전류계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함께 논의하였다. 2.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이 자기장의 크기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한다. 실험에서는 기준 전류에 의한 자기장과 지구 자기장의 크기가 같을 때 나침반 각도가 45도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전류...2025.05.04
-
[A+] 다이오드2 실험 레포트2025.05.151. 다이오드의 기초적인 적용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의 기초적인 적용을 이해하였다.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에 활용된다. 반파 정류 회로와 전파 정류 회로를 구현하여 다이오드의 작동 원리를 확인하였다. 2.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의 차이 실험을 통해 교류 전류와 직류 전류의 차이를 이해하였다. 교류 전류는 시간에 따라 주기와 방향이 끊임없이 바뀌는 전류이고, 직류 전류는 높은 전위에서 낮은 전위로 전류가 연속적으로 흐르는 전류이다.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교...2025.05.15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9-2 트랜지스터 기본회로 실험 예비보고서2025.01.171. 트랜지스터의 운전상태 트랜지스터의 운전상태는 cutoff, saturation, active 상태로 나뉜다. cutoff 상태에서는 IB가 0이고 트랜지스터가 open되어 있다. saturation 상태에서는 IB가 충분히 커서 저항이 0에 가까운 short 상태이다. active 상태는 두 상태의 중간이며 IC와 IB에 비례한다. 2. 트랜지스터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스위치로 사용할 때는 cutoff 상태와 saturation 상태로 동작한다. 작은 신호로 큰 전류를 스위칭할 수 있다. LED 점멸 회로를 통해 트랜지스터 스위...2025.01.17
-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 특성 실험2025.11.161. BJT의 구조 및 종류 쌍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는 전자와 정공 두 가지 캐리어가 전류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NPN 트랜지스터는 두 개의 N형 층이 가운데 P형 층으로 분리된 구조이고, PNP 트랜지스터는 두 개의 P형 층이 가운데 N형 층으로 분리된 구조입니다. 두 종류 모두 에미터, 베이스, 콜렉터 세 개의 단자를 가지며, 에미터의 화살표 방향으로 구분됩니다. 2. BJT의 동작원리 및 전류증폭 BJT는 에미터에서 출발한 정공이 콜렉터에 도달할 때 전류가 흐릅니다. 작은 베이스 전류가 인가되면 콜렉터...2025.11.16
-
BJT IV 특성 실험 레포트2025.05.081.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는 2개의 PN 접합 구조로 되어있으며, n-p-n형, 혹은 p-n-p형이 있다. 총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Emitter, Base, Collector이다. Emitter는 전류가 흐르게 하도록 전자를 주입하게 되고, Base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며, Collector는 Transistor에서 증폭된 전류를 받게 된다. 2. BJT의 동작 모드 BJT는 Emitter-Base와 Base-Col...2025.05.08
-
트랜지스터 특성 실험2025.01.021. 트랜지스터의 동작 원리 트랜지스터는 npn 또는 pnp 구조로 이루어진 3단자 소자로, 베이스-이미터 접합은 순방향, 베이스-컬렉터 접합은 역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트랜지스터는 전류 증폭기로 동작하며, 베이스 전류에 따라 컬렉터 전류가 변화한다.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동작과 증폭 동작을 할 수 있다. 2. 트랜지스터의 3가지 동작 모드 트랜지스터는 차단 동작 모드, 선형 동작 모드, 포화 동작 모드의 3가지 동작 모드를 가진다. 차단 모드에서는 컬렉터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선형 모드에서는 베이스 전류에 비례하여 컬렉...2025.01.02
-
전자공학실험 16장 전류원 및 전류 거울 A+ 결과보고서2025.01.151. 전류원 및 전류 거울 이 실험에서는 아날로그 증폭기에서 부하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전류원 및 전류 거울을 이용한 능동 부하(active load)회로를 구성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함으로써 정전류원 및 전류 거울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실험 절차에 따라 RREF 값을 조정하면서 Vpbias 전압과 IREF 전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통 소오스 증폭기의 입력-출력 DC 전압 레벨을 확인하였다. 고찰 사항에서는 전류 거울의 전류 오차 발생 원인, 전류원의 출력 저항과 전류 정확도 관계, MOSFET 소자 선택...2025.01.15
-
BJT 기본 특성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291. NPN형 BJT의 전류-전압 특성 NPN형 BJT는 베이스-에미터 전압 VBE가 약 0.7V 이상일 때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베이스 전류 IB가 흐르며, 이 작은 전류로 큰 콜렉터 전류 IC를 제어할 수 있다. 콜렉터 전류는 베이스 전류의 증폭된 값으로, IC = βIB의 관계를 따른다. 출력 전압 VO는 공급 전압 VCC에서 콜렉터 저항 RC에 의해 결정되며, VO = VCC - ICRC로 계산된다. 콜렉터 전류가 커지면 출력 전압이 줄어들어 트랜지스터는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2. PNP형 BJT의 전류-전압 특성...2025.01.29
-
기초전기공학실험1_실습7장_결과레포트2025.05.061.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 실험 7-1은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와 이에 대한 부하 효과를 알아보는 과정이다. 직렬회로로 인가된 총 전압은 직렬저항들로 나누어지고 전류는 직렬회로의 모든 부분에서 같은 값이기 때문에 전압은 저항의 값이 직접 비례인 직렬저항으로 나누어진다. 실험을 통해 전압분배기는 사용에 있어서 제한되어 있지만 부하가 어떤 직렬저항을 가로질러 위치했을 때 전압탭으로서 유용하다는 것과 주로 전체전압의 부분을 차감하는 데에 사용되지만 부하의 추가는 비례식처럼 항상 회로전류와 비례적인 IR 전압강하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2025.05.06
-
RC, RL 미적분 회로 예비 보고서2024.12.311. 커패시터의 전류-전압 특성 커패시터는 두 도체판 사이에 유전체를 두어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소자입니다. 커패시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하가 축적되어 지수 함수적으로 전압이 증가하며, 방전 시에는 지수 함수적으로 전압이 감소합니다. 커패시터의 전류는 전압의 미분값에 비례합니다. 2. 인덕터의 전류-전압 특성 인덕터는 철심에 절연된 도체를 나선형으로 감은 소자로, 전압과 전류의 관계가 커패시터와 반대입니다. 인덕터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며, 전압이 제거되면 전류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합니다. 인덕터의 전압...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