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전기공학실험1_실습7장_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기초전기공학실험1_실습7장_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9
문서 내 토픽
-
1.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실험 7-1은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와 이에 대한 부하 효과를 알아보는 과정이다. 직렬회로로 인가된 총 전압은 직렬저항들로 나누어지고 전류는 직렬회로의 모든 부분에서 같은 값이기 때문에 전압은 저항의 값이 직접 비례인 직렬저항으로 나누어진다. 실험을 통해 전압분배기는 사용에 있어서 제한되어 있지만 부하가 어떤 직렬저항을 가로질러 위치했을 때 전압탭으로서 유용하다는 것과 주로 전체전압의 부분을 차감하는 데에 사용되지만 부하의 추가는 비례식처럼 항상 회로전류와 비례적인 IR 전압강하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2. 전류분배기실험 7-2는 병렬회로가 전류분배기로 작동하는 것을 이해하고 가지 전류를 풀기 위한 비례식과 병렬컨덕턴스 법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다. 전류분배기에서의 총전류는 어느 가지에서도 저항에 반비례하는 병렬 가지 사이에서 나누어진다. 병렬컨덕턴스법을 사용하여 각 가지 컨덕턴스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지 전류를 계산할 수 있었다.
-
3. 분배기로서의 전위차계와 가감저항기실험 7-3은 분배기로서의 전위차계와 가감저항기의 회로구성을 구분하고 둘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알 수 있게 하는 과정이다. 전위차계는 3-단자 소자로 전압원을 가로질러 연결된 끝단자를 가지며 전압원 일부를 탭하는 데에 사용되고, 가감저항기는 2-단자 소자로 부하의 전압원에 직렬 연결되어 전체전류를 바꾸기 위하여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
4. 전압분배기 설계실험 7-4는 부하 요구조건이 주어진 전압분배기를 설계하고 음전압의 개념, 공통접지와 분압기 전류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전압분배기는 주로 전체전압의 부분을 차감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에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와 차이가 있다. 공통접지가 대지접지가 아닌 경우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공통접지가 있어 음의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
1.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는 전압을 분배하는 회로로, 부하 저항이 존재하는 경우 전압 분배 비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는 부하 저항에 따라 전압 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를 설계할 때는 부하 저항 값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부하 저항이 변동될 경우 전압 분배 비율도 변동되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부하가 걸린 전압분배기는 전자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확한 설계를 통해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
2. 전류분배기전류분배기는 전류를 분배하는 회로로, 병렬로 연결된 저항들을 통해 전류를 분배하는 방식입니다. 전류분배기는 전자회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센서 회로나 부하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류분배기를 설계할 때는 각 저항 값과 부하 저항 값을 고려해야 하며, 원하는 전류 분배 비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부하 변동이나 저항 변동에 따른 전류 분배 비율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전류분배기는 전자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회로 요소이며, 정확한 설계를 통해 회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분배기로서의 전위차계와 가감저항기전위차계와 가감저항기는 전압 분배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전위차계는 가변 저항 소자로, 저항값 변화에 따라 전압을 분배할 수 있습니다. 가감저항기는 고정 저항과 가변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변 저항값 변화에 따라 전압을 분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배기 회로는 전자회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센서 회로나 제어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분배기 회로를 설계할 때는 저항값, 부하 저항, 전원 전압 등을 고려해야 하며,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부하 변동이나 저항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4. 전압분배기 설계전압분배기는 전자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회로 요소입니다. 전압분배기는 두 개 이상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입력 전압을 원하는 출력 전압으로 분배하는 회로입니다. 전압분배기를 설계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해 저항 값을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둘째, 부하 저항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셋째, 전압 강하로 인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저항 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넷째, 온도 변화나 노화에 따른 저항 변동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압분배기를 설계하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회로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아주대학교 기초전기실험 A+ dc 2, dc 3 예비보고서 7페이지
2주차(chap. 2,3)예비보고서IEEE Code of Ethics(출처: http://www.ieee.org)We, the members of the IEE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our technologies in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out the world, and in accepting a personal obligation to our profession, its members and the communities we serve, ...2019.02.20· 7페이지 -
R&E 편집본 5페이지
TET-ON 시스템을 통한 인체단백질 발현 세포주의 개발 및 타깃 유전자 네트워크 연구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현대의 생명과학 분야는 분자생물학, 신경생물학, 발생공학 등을 중심으로 생명의 원리를 탐구하고 이를 응용하는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간 및 포유동물 등에 대한 게놈 프로젝트의 완성으로 방대한 양의 유전자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축적되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한 생물정보학이 발달하고 있다. 이들 자료들은 생명과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에게는 기존의 연구 방법에서 탈피하여 혁신적이고 학문융합적인 방법으로 ...2010.10.09· 5페이지 -
지방행정론 레포트 14페이지
지 방 행 정 론REPORT「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절차및 관리기술 」? 제 출 일 : 2011. 11. 14. (월)? 과 목 명 : 지방행정론? 교 수 명 : 문 재우 교수님? 제 출 자 : 전기전자공학과20064161 김 경재순천향대학교 지방행정론사회복지학과 20064161 김 경재Ⅰ. 정의1. 지방자치단체 [ local autonomous entity , 地方自治團體 ]자치행정의 주체로서 국가로부터 행정권의 일부를 부여받은 공공단체의 전형적인 존재이며 공법인이다. 한 국토 내의 일부 지역을 구역으로 하고 그 구역 내의 모든 주민...2012.12.11·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