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72개
-
펜데믹 임상현장의 윤리적 이슈2025.04.291. 코로나 음압중환자실 윤리적 임상사례 알려지지 않는 바이러스와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는 것과 관련된 불안, 우울, 불면 등의 증상, 수용인원이 초과되는 상황에서 중증 환자들을 어떻게 케어하고 보호용구, 인력, 인공호흡기 등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자원 부족에 관한 문제, 소외계층이나 정신과, 노숙자 등 관리의 밖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간호위기상황에서 윤리적 간호를 어떻게 제공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 2.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적 고통 간호사가 경쟁적인 윤리 원칙의 요구 사이에서 확신이 서지 않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 간호사가...2025.04.29
-
감염관리실_감염관리 위험평가 개선 활동 보고서(Risk Assessment 개선 활동)_병원2025.01.191. 손위생 수행률 증진 00년도 손위생 수행률 75%에서 90%로(4주기 인증 기준 90%) 상승하였습니다. 정기적인 손 위생 교육 실시, 손위생 모니터링 및 결과 분석·피드백 공유, 손위생 챌린지 이벤트 개최 및 우수 수행자 포상 등의 개선 활동을 추진하였습니다. 2. 다제내성균 원내 발생 감소 00년도 다제내성균 발생건수 3건(CRE :1건, MRSA 2건)에서 0건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접촉주의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교육, 정기적 감염 발생 조사, 제한 항생제 리스트 결정 및 항생제 사용 모니터링 등의 개선 활동을 추진하였습...2025.01.19
-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 교직원 연수2025.01.051. 성희롱 및 성폭력의 법적 정의와 유형 성폭력의 유형으로는 강간, 유사강간, 강제추행, 성희롱, 성학대, 사이버 성폭력 등이 있으며, 성희롱은 성적 언동 등으로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느끼게 하거나 성적 요구에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 행위를 말한다. 2.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 방안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건전한 유치원 성인지 감수성 개선, 성적 언행 금지, 교직원 성범죄 예방 교육 및 자체 진단 실시, 양성평등교육 내실화, 피해 발생 시 적극적 대처 등이 필요하다. 3. 성사안 발생 시 처리 절차 ...2025.01.05
-
국내 코로나19 방역정책의 한계와 대처방안2025.05.041. 코로나19로 인한 시민들의 어려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시민들은 마스크 착용, 사회적 단절, 외출과 취미활동 감소 등을 가장 어렵고 불편한 경험으로 꼽았다.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불편감, 취업준비생은 구직 활동의 어려움, 직장인은 재택근무와 출퇴근의 어려움, 자영업자는 영업 유지의 어려움 등을 겪었다. 이를 통해 현행 방역지침의 소극성과 시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해 확진자 동선 공개, 강제입원, 격리조치, 집합금지 등...2025.05.04
-
MDS(골수이형성증후군)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학 A+자료 (간호과정 7개 분량 많음)2025.01.211. 골수이형성증후군 골수이형성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s, MDS)은 혈액 세포를 생산하는 조혈모세포에 이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혈액 세포를 만들어내는 일련의 이형성 질환을 의미한다. MDS는 주로 고령자에게서 발생하며, 골수에서의 조혈 세포 분화와 성숙 과정의 이상으로 인해 적혈 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 세포 생산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빈혈, 감염 위험 증가, 출혈 경향 등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나며,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2. 간호과정 간호과정에서 MDS 환자를 돌...2025.01.21
-
감염관리실 미화부 관련 부착물 PPT2025.01.281. 미화부 오물 처리실 관리 감염예방을 위해 오물 처리실 관리 시 외부인 출입 통제, 보호구 착용(마스크, 장갑, 긴팔 가운 또는 앞치마, 필요시 보안경), 오물 변기 사용 후 세척 및 뚜껑 닫기, 환경 소독 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른 관리 등의 기본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2. 미화부 손 위생 시점 미화부 직원은 환자 접촉 전·후, 장갑 착용 전·후, 쓰레기 및 오물 처리 후,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격리 병실 출입 전·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손 위생을 실시해야 한다. 3. 미화부 청소 및 소독 관리 청소 절차, 청소 도구 관리...2025.01.28
-
인계사항, 인계하기2025.05.101. 환자 정보 환자의 이름은 김*나, 나이는 52세, 성별은 여성, 과는 GS, 담당의는 김교수님입니다. 입원 날짜는 2*.**.**이며, 키는 158.5cm, 체중은 62kg입니다. 주진단은 R/O GB adenoma이며, 수술명은 Laparo scopy cholecystectomy입니다. 입원 동기는 6/15일부터 지속적인 RLQ 복통으로 나사렛 병원에서 검사 후 수술이 권유되어 본원에 입원하였습니다. 2. 환자 관리 환자 관리 교육 자료가 있으며, 90일 이내 타병원 입원력은 없습니다. 이명(+), 영양상태는 좋으며, 정신기...2025.05.10
-
다제내성균에 대해2025.05.151. 다제내성균이란? 다제내성균(multidrug-resistant organisms 또는 multidrug-resistant bacteria)은 슈퍼박테리아(super-bacteria)라고도 불리며 여러 종류의 항생제(antibiotic)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이 균에 감염되었을 때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거의 없는 세균입니다. 항생제 사용이 증가하면서 세균들이 이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어 다제내성균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2. 다제내성균의 발생 원인 미생물로 인해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하게 되...2025.05.15
-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2025.05.051. 응급실 실습 준비 응급실 실습을 위해 응급 카트의 구성과 약품 위치, 응급 환자 분류 체계인 KTAS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응급 카트에는 응급 약물, 기도 관리 기구, 주사 및 채혈 물품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KTAS는 응급실 내원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하여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입니다. 2. 출혈 및 쇼크 관리 외출혈과 내출혈의 특징과 처치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외출혈은 직접 압박, 지압법, 지혈대 사용 등으로 지혈하며, 내출혈은 기도 유지, 지혈, 수액 공급 등으로 관리합니다. 쇼크는 심장성, 저혈량성, 신경성, ...2025.05.05
-
병원의 치료적 환경 및 간호사의 역할2025.05.131. 병원 치료적 환경 병동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어떠한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한 대책을 세우고 실천하는 동시에 입원 환자들이 병동을 집처럼 편안하다고 느낄 수 있는 안정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치료적인 병동관리입니다. 이를 위해 안전관리, 시설관리, 일상생활 관리, 외출·외박·방문객 관리, 순회, 투약관리, 격리지침 및 집중보호실 관리 등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2. 정신간호사의 역할 정신간호사는 입원 자체가 대상자에게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개별화되고 지지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대상자와...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