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01개
-
아날로그회로실험및설계 Op-Amp 단위이득 팔로우와 비교기 실험 보고서2025.01.241. 연산 증폭기 연산 증폭기는 구현하는 단자가 2개의 지점에서 전류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를 증폭으로 구현하는 소자입니다. 이미터 부분에서 들어오는 전류를 전체적으로 통제하고 효율적으로 증폭을 구현하며, 컬렉터 부분에서 이 전류를 모아 회로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이미터 부분과 컬렉터 부분의 두 지점에서 증폭이 구현되어 연산증폭기라고 정의됩니다. 2. 반전 증폭기 반전 증폭기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에 비례하지만 부호가 반전되어 나타나는 회로 구조입니다. 이상적인 OP amp를 가정하면, 입력 전압에 따른 출력 전압...2025.01.24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2025.04.301. Inverting Amplifier 설계 Inverting Amplifier의 설계에서 5의 gain을 얻는 것을 목표로 회로를 설계하였다. Inverting Amplifier의 R2은 경험적 최댓값인 1MΩ으로 설계하였고 R1에 200kΩ을 사용했다. 출력전압은 1Vpp로 gain 5를 만족하였다. Inverting Amplifier의 3dB bandwidth는 149.5kHz, unit gain frequency는 706.83kHz로 측정하였다. 2. Non-Inverting Amplifier 설계 Non-Inverting...2025.04.30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 예비보고서12025.01.201. High-Pass Filter 설계 설계실습 계획서1-3-1에서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RE200B)와 증폭기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High-Pass Filter(DC-block, 3-dB freq.=5 Hz)를 R과 C를 이용하여 설계하는 내용이 다루어졌습니다. 주어진 C 값 10uF와 3dB 주파수 5Hz를 이용하여 R 값을 3.183kΩ으로 계산하였습니다. 2. 2-stage Op-amp 반전증폭기 설계 1-3-2에서는 적외선 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해 2-stage Op-amp 반전증폭기를 설계하였습니다. 각 반...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9번 실습- 결과보고서)2025.05.151. RC 직렬 LPF(low Pass Filter) RC 직렬 LPF에 주파수가 10kHz인 정현파를 인가하고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크기와 위상이 차이나는 것을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확인하였다. 11us 의 delay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위상이 빠르다. XY mode를 사용했을때는 타원형으로 파형이 관찰되었다. 이는 입력파형과 출력파형의 위상차이와 크기 차이를 확인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낮은 주파수부터 큰 주파수로 변화를 주어 전압값을 기록하고 측정하여 LPF 그래프를 만들 수 있었다....2025.05.15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2025.05.131. 계측장비 접지상태 측정 본 실험은 측정에 의해 DMM, Oscilloscope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상태, 즉 내부연결 상태와 입력저항을 유추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히는데 의의가 있다. 220 V전원을 공급하는 벽면 소켓에서 각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실효값을 측정하였다. 오실로스코프의 값이 function generator에서 설정한 값의 약2.2배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DMM의 측정 주파수의 따른 특성은 약 700 kHz에서 DC 전압의 50%가 측정되었다....2025.05.13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3 결과보고서2025.05.091. 미분기 회로 실험 1에서는 미분기 회로의 특성을 알아보고, 회로를 구성한 후 측정한 출력 값을 이론,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하여 입/출력 전압 관계식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했을 때 오차가 3%~7%정도로 크지 않았으며, 미분기의 입출력 관계식이 V_o = -R_F C dV_i/dt와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분기가 차단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에서 반전증폭기로 동작하는 것도 관찰할 수 있었다. 2. 반전증폭기 실험 결과에서 미분기 회로가 차단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에서 반전증폭기로 동작하는 것을 확...2025.05.09
-
전기전자공학실험-A급 및 B급 전력 증폭기 (2)2025.04.301. pnp형 트랜지스터 pnp형 트랜지스터는 npn형 트랜지스터와 방향이 반대이므로 회로를 구성할 때 주의해야 한다. 2. B급 증폭기 설계 B급 증폭기를 설계할 때 피크전압이 앞의 것과 똑같이 나타나 회로의 효율이 완벽하게 실험이 가능했다. 3. 출력 전력 계산 책에 나온 출력 전력을 사용할 때는 rms값인지, peak값인지, p-p값인지 주의하여 값을 계산해야 한다. 4. A급 증폭기 효율 A급 증폭기의 최대 효율 25%는 초과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5. B급 증폭기 다이오드 B급 증폭기의 다이오드 2개는 파형이 0.7...2025.04.30
-
[전자공학실험2] 발진기와 타이머2025.04.271. 발진기의 발진 원리 실험을 통해 발진기의 발진 원리를 이해하고, 윈-브리지 발진기를 구현하였다. 이득 변화에 따른 발진 조건의 변화를 근 궤적도 상에서 관찰하였다. 2. 윈-브리지 발진기와 리미터 리미터를 윈-브리지 발진기에 추가하여 리미터의 동작을 이해하였다. 리미터가 추가되면 출력 파형이 clamping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타이머 555를 이용한 발진기 타이머 555를 이용하여 발진기를 구성하고, 내부의 플립플롭의 동작으로부터 출력 펄스파의 발진 주기를 계산하였다. 1. 발진기의 발진 원리 발진기의 발...2025.04.27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4 예비보고서2025.05.091. 정궤환 회로 실험 목적은 연산 증폭기를 사용하여 정궤환 회로를 구성하고,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 사각파 발생 회로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입니다. 회로를 구성하여 각 경우에 대한 V_TL, V_TH, +V_sat, -V_sat을 측정하여 이들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 이론에서 배운 내용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슈미트 트리거 회로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일반적인 소자(V_ILmax, V_IHmin)와 다르게 V_TL, V_TH라는 threshold가 있습니다. 출력이 ...2025.05.09
-
전자공학실험 6장 공통 이미터 증폭기 A+ 결과보고서2025.01.151.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이미터 증폭기는 베이스가 입력 단자, 컬렉터가 출력 단자, 이미터가 공통 단자인 증폭기이고, 높은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입력-출력 특성 곡선을 구하고, 소신호 등가회로의 개념을 적용하여 전압 이득을 구하고, 이를 실험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2. BJT 동작 영역 실험회로 1에서 VBB가 0~0.5V일 때는 출력전압 VO가 거의 바뀌지 않고 VBB또한 VBE>0.7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cut-off(차단영역)임을 알 수 있다....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