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0개
-
최선의 정체는?-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비교하며2025.05.061. 플라톤의 이상국가 플라톤은 서양 철학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서양 철학은 현대의 관념을 정립하였다. 현대 철학은 플라톤의 이론을 계승 혹은 비판하는 과정 속에서 완성되어졌다. 플라톤이 주장한 이상국가는 바로 철학자가 왕이 되는 철인왕체제이다.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을 이성, 기개, 욕망으로 삼분하고, 이를 국가에도 대입한다. 가장 이성과 지혜가 뛰어난 자들인 철학자들은 통치자가 되고, 기개와 용기가 뛰어난 자들은 수호자가 된다. 그리고 욕망을 추구하는 자들은 생산자가 되어 지배를 받게 된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상국가 아리스토...2025.05.06
-
아리스토텔레스2025.05.04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B.C. 384년에 태어나 B.C. 322년에 사망했습니다. 그는 윤리학, 물리학, 정치학, 동물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윤리 철학서로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이 있습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환경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중심주의적 환경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식물은 동물을 위해, 동물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존재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인간만이 이성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른 존재들은 인간과 ...2025.05.04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심신문제에 대한 논의2025.01.031. 심신문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자아'에 대한 질문을 통해 심신문제(mind-body problem)를 다루었다. 플라톤은 이원론적 관점에서 영혼과 육체를 구분하였고, 영혼의 불멸성과 이데아 추구를 강조하였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일원론적 관점에서 영혼과 육체의 결합을 중요시하며, 현실 속에서 형상을 찾아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였다. 이들의 논의는 인간의 삶과 국가 정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 플라톤의 이원론 플라톤은 세계를 이데아와 물질계로 구분하는 이원론적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는 영혼이 인간의 본질이며,...2025.01.03
-
[한국외대] 교육철학및교육사 1강 과제 (A+)2025.01.181. 플라톤의 교육론 플라톤의 교육론은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초기 교육과 후기 교육으로 구분된다. 초기 교육은 '무시케' 교육으로, 예술, 자연, 인간의 삶 속에서 선의 무한히 다양한 형식을 식별하고 인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선에 대한 상상력을 불러일으키고 직감을 심어줌으로써 선을 추구할 수 있는 마음을 기른다. 후기 교육은 수학 등 개별 교과 교육으로, 무시케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고 변하지 않는 선을 추구하여 최상의 선에 대한 이해의 첫걸음이 된다. 2. 소크라테스의 질문하는 일 소크라테스의 질문하는 일은 상...2025.01.18
-
철학의 이해 -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등의 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플라톤은 인간을 '합리적 영혼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하며, 이성의 지배하에 있는 인간이 진정한 '인간다운 인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보았고, 칸트는 인간의 이성이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한편 홉스는 인간의 본성을 이기적이고 싸우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으며, 흄은 도...2025.01.24
-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파이돈' 감상문2025.01.241. 철학자의 죽음에 대한 관점 플라톤은 철학자가 죽음을 기다리지만, 자살은 옳지 않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의 생명이 신에게 귀속되므로 자살은 수치스러운 행위라고 규정했다.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 예를 들어 판결에 의한 자살이나 절망적인 상황에서의 자살은 용서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2. 영혼의 불멸성 플라톤은 영혼이 불멸하고 영원하다고 믿었다. 그는 영혼이 육체와 분리되어 온전히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상기설을 통해 영혼의 불멸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또한 영혼이 변화하지 않는 것에 가깝다는 점에서 육체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2025.01.24
-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향연' 감상문2025.01.241. 에로스(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 이 책은 기원전 416년경 비극 경연에서 처음 우승한 아가톤의 집에 있었던 향연의 참석자가 나누었던 '사랑(에로스)'에 대한 여러 관점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파이드로스, 파우사니아스, 에뤽시마코스, 아리스토파네스, 아가톤 그리고 소크라테스가 순서대로 에로스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며, 각자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에로스의 좋은 점을 이야기합니다. 이를 통해 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2. 아리스토파네스의 인간 기원 설화 아리스토파네스는 원래 인간은 현재 인간...2025.01.24
-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향연' 감상문 (2)2025.01.241. 사랑의 본질 향연에서 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사랑의 정의와는 다른 해석을 내놓는다. 사랑은 단순한 감정적 교감이 아니라 더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2. 플라톤과 소크라테스 향연은 플라톤이 저술한 책으로,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주인공이다. 소크라테스는 직접 저술한 작품이 없었지만 플라톤을 통해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3. 향연의 어원과 의미 향연이라는 단어의 어원을 분석해보면 '함께 술을 마시면서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철학자들이 모여 사...2025.01.24
-
철학의 이해: 에우튀프론 내용 요약 및 감상2025.01.261. 경건함의 정의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의 대화를 통해 경건함의 정의를 찾아가는 과정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에우튀프론은 처음에는 자신이 경건함을 잘 안다고 자부하지만,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따라 경건함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건함과 정의로움의 관계, 신들의 사랑과 경건함의 관계 등이 논의됩니다. 2. 소크라테스의 대화법 소크라테스는 에우튀프론과의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무지를 깨닫게 하고 지식으로 나아가게 하는 교육 방식을 보여줍니다. 그는 에우튀프론의 고정관념과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며, 경건함에...2025.01.26
-
(철학의이해)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2025.01.26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에게 있어서 인간다운 인간은 이성이라는 영혼의 부분이 기개와 욕망이라는 영혼의 부분을 잘 조절하는 존재이다. 욕망을 잘 조절할 때에 갈등이 사라지며 영혼이 조화를 이룬다는 것이다. 플라톤은 인간을 자신이 본 것을 탐구할 수 있는 존재라고 여겼으며, 인간에게는 대상을 객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태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플라톤은 인간의 진정한 주체는 영혼이며, 영혼의 핵심적인 부분은 이성이라고 주장하였다. 1. 플라톤의 인간관 플라톤의 인간관은 이데아론에 기반하고 있다. 플라...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