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의 이해(기말) - 플라톤 '향연' 감상문
문서 내 토픽
-
1. 에로스(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책은 기원전 416년경 비극 경연에서 처음 우승한 아가톤의 집에 있었던 향연의 참석자가 나누었던 '사랑(에로스)'에 대한 여러 관점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파이드로스, 파우사니아스, 에뤽시마코스, 아리스토파네스, 아가톤 그리고 소크라테스가 순서대로 에로스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며, 각자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에로스의 좋은 점을 이야기합니다. 이를 통해 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 아리스토파네스의 인간 기원 설화아리스토파네스는 원래 인간은 현재 인간의 모습 둘이 붙어 있었으며, '남-남', '여-여', '남-여'의 세 가지 성이 존재했다고 말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힘과 자만심이 넘쳐 신을 공격하게 되었고, 이에 제우스가 인간을 절반으로 잘라 지금의 모습으로 다시 만들어 놓았다는 내용의 설화를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동성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
3. 소크라테스의 에로스 개념소크라테스는 에로스가 아름다움과 추함의 중간에 있는 존재라고 설명합니다. 에로스는 좋은 것을 늘 소유하고자 하는 욕구로서, 이를 통해 행복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디오티마와의 대화를 통해 출산이 에로스의 영생을 추구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에로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
4. 사랑에 대한 개인적 견해저자는 플라톤의 '파이돈'과 '향연'을 통해 사랑과 에로스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특히 아리스토파네스의 인간 기원 설화와 소크라테스의 에로스 개념에 공감하며, 사랑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었다고 언급합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사랑과 에로스의 의미가 퇴색되고 있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합니다.
-
1. 에로스(사랑)에 대한 다양한 관점사랑에 대한 관점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사랑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았는데, 플라톤은 사랑을 이데아의 세계로 향하는 영혼의 여정으로 보았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랑을 우정과 동료애의 관점에서 해석했습니다. 또한 에피쿠로스는 사랑을 쾌락과 행복의 관점에서 바라보았습니다. 이처럼 사랑에 대한 관점은 철학자들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는 사랑이 복잡하고 다면적인 인간 경험임을 보여줍니다. 사랑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아리스토파네스의 인간 기원 설화아리스토파네스의 인간 기원 설화는 사랑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그는 인간이 본래 둥글고 완전한 존재였지만, 제우스의 분노로 인해 둘로 갈라졌다고 설명합니다. 이에 따라 인간은 자신의 다른 반쪽을 찾아 헤매며, 사랑을 통해 원래의 완전한 모습으로 회복되고자 한다는 것입니다. 이 설화는 사랑을 인간 본성의 근원적인 욕구로 바라보며, 사랑이 인간을 온전한 존재로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사랑에 대한 독특한 철학적 해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소크라테스의 에로스 개념소크라테스는 에로스(사랑)을 인간 영혼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보았습니다. 그에 따르면 에로스는 인간을 이성과 지혜의 세계로 이끌어 올리는 힘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참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에로스를 단순한 육체적 욕망이 아닌, 진리와 미를 향한 영혼의 갈망으로 해석했습니다. 이는 사랑을 단순한 감정이 아닌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특성으로 바라보는 독특한 관점입니다. 소크라테스의 에로스 개념은 사랑에 대한 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사랑에 대한 개인적 견해사랑은 인간 경험의 가장 복잡하고 다면적인 측면 중 하나입니다. 개인적으로 나는 사랑을 단순한 감정이나 욕망 이상의 것으로 바라봅니다. 사랑은 우리를 자신의 진정한 모습으로 이끌어 가는 힘이며,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사랑은 우리를 타인과 연결시켜 주며, 우리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해줍니다. 물론 사랑에는 고통과 어려움도 따르지만, 이를 통해 우리는 성장할 수 있습니다. 결국 사랑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특성이자,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이끌어 가는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철학의이해(기말)_플라톤 향연 강철웅 옮김. 아카넷. 2020_감상문 (1)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