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4개
-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예비보고서2025.05.05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고정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측정값의 평균,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식스시그마 개념을 설명하였다. 또한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작아지는 이유와 4-wire 측정법을 설명하였다. 2. 전압 측정 6V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압을 DMM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DMM 내부 저항으로 인해 측정 전압이 실제 전압보다 낮아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3. 전류 측정 병렬 및 직렬 연결된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2025.05.05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4. Thevenin 등가회로 설계2025.05.151. 테브난 등가이론 테브난 등가이론은 복잡한 회로를 한 개의 전압원과 저항으로 나타내어 바깥에 어떤 새로운 저항을 가져와도 쉽게 흐르는 전류와 걸리는 전압을 바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테브난 등가회로가 실험적으로 맞는지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이번 실험은 중요하다. 2. 원본 회로 측정 그림 1과 같이 회로를 구성하고 RL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RL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였다. 전압, 전류를 기록하였고, 3.1에서 계산한 값과의 오차를 확인하였다. 오차의 이유는 브레드보드의 자체저항, DMM의 저항...2025.05.15
-
부산대 기초전기전자실험 예비보고서 1주차 A+보고서 1등보고서2025.05.161. 직류 회로 전압 측정 전압분배 법칙에 따르면 V0=3000/(1000+3000)*5= 3.75V 이다. 실험 결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3.677V로 이론값과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4k옴으로 바꾼 후, V0는 전압분배 법칙에 따르면 4V 이다. 실험 결과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3.923V로 이론값과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2. 교류 회로 전압 측정 이론 결과 주파수 1kHz, 진폭 5Vp-p, 오프셋 전압은 0V로 입력파형을 주었다. 실험 결과는 보고서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3. 직류 회로 전류 측정 옴의 법칙에 ...2025.05.16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4. Thevenin등가회로 설계2025.04.291. 브리지 회로 브리지 회로에서 R1에 걸리는 전압과 R2에 흐르는 전류를 nodal analysis를 통해 구하였다. R1에 걸리는 전압은 약 5V이고, R2에 흐르는 전류는 약 1A이다. 2. Thevenin 등가회로 설계 부하를 제거하고 전압원을 단락시켜 Thevenin 등가저항 Rth를 구하였다. 그리고 부하를 제거한 상태에서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Thevenin 등가전압 Vth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Thevenin 등가회로를 설계하였다. 3. Thevenin 등가회로 실험 Thevenin 등가저항 Rth를 측정하기 위...2025.04.29
-
휘스톤브릿지를 이용한 전기저항 측정2025.01.051. 휘스톤 브리지 휘스톤 브리지는 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치입니다. 이 회로에서 전류는 위와 아래, 두 갈래로 나뉘어 흐르며, 전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황을 만들어 미지의 저항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식 (13-4)를 도출하였고, 저항선의 길이와 비저항을 고려한 식 (13-8)을 통해 미지 저항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전기저항 측정 이 실험에서는 휘스톤 브리지의 구조와 사용법을 익히고, 미지의 저항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실험 과정에서는 미지 저항과 ...2025.01.05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92025.01.12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실습 4.1(A), (B)에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의 입력저항을 1㏀로, 부하저항을 1㏀ 저항으로 제작하여 입력전압을 0V부터 6V까지 1V씩 증가시키며 출력전압을 측정한 후, 입력저항 10㏀, 부하저항 100Ω으로 교체하여 같은 방식으로 입력전압을 증가시키며 출력전압을 측정하고 두 측정값을 비교해 보았다. 두 실습의 출력전압을 비교해본 결과, 입력저항과 부하저항을 바꾸었을 때 gain과 출력전압의 차이가 아주 작았다. 이것을 통해, 식 × 에서 알 수 있듯...2025.01.12
-
직류의 측정 결과보고서2025.04.251. 전류 측정 회로에서 전류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전류값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류계를 회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를 측정하였으며, 전류계 자체의 저항으로 인해 실제 측정값이 이론값보다 작게 나타났다. 또한 저항과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 변화를 관찰하여 옴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전하량 보존 단일 고리 회로에서 측정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하여, 전하량이 보존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옴의 법칙 회로에 인가된 전압이 일정할 때 전류와 저항은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지며, 저항이 일정...2025.04.25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9 -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2025.01.24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실험에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회로를 구현하고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전압이 약 2의 기울기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입력저항, 부하저항, 전원 전압의 변화에도 이득이 약 2V/V로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회로의 입출력 관계식이 Av = Rf/Ri와 같음을 확인하였다.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실험에서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2025.01.24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중앙대 22025.05.021. 건전지의 내부 저항 측정 실험 목적은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입니다.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이해하기 위해 건전지의 내부 저항 R1과 외부 부하 저항 R2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여 측정합니다. 이상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R1이 0에 가까워야 하며, 좋은 건전지일수록 내부 저항이 0에 가깝게 측정될 것입니다. 2. DMM의 입력 저항 측정 DMM의 측정 단위를 V에 맞추고 저항 양단에 DMM을 연결하여 전압과 전...2025.05.02
-
전기회로설계 및 실습_설계 실습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_결과보고서2025.01.211. 저항 측정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을 통해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실습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10 kΩ 저항을 측정한 결과 2-wire 측정법에서는 0.9%의 오차가 있었지만, 4-wire 측정법에서는 1% 이하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또한 저항 값이 낮은 경우 4-wire 측정법이 더 정확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2. 전압 측정 건전지의 양단에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한 결과 6.48V를 얻었고, 극성을 반대로 연결하면 -6.48V가 나왔습니다. DMM으로 측정한 전압 값은 4.504V로 오차가 0.09%였...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