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폐색전증 문헌고찰2025.05.131. 폐색전증의 원인과 위험요인 폐색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의 합병증이며, 치료하지 않은 심부정맥혈전증의 30%에서 발생한다. 장기간의 부동, 수술, 골절, 과응고력, 과거력, 화상, 임신, 에스트로겐 치료, 심근경색증, 뇌졸중, 악성 종양, 외상, 중심정맥카테터 삽입 등이 위험요인이다. 2. 폐색전증의 병태생리 대부분의 폐색전증은 심부정맥혈전증의 피덩이가 떨어져 나와 폐동맥을 폐쇄하는 것으로, 환기-관류 불균형, 폐혈관 저항 증가, 폐동맥압 상승, 심부전을 초래한다. 색전 위에 모인 혈소판이 혈관을 수축시켜 환기와 관류를 방해하고 저...2025.05.13
-
A++ 성인간호 케이스 급성 호흡부전2025.01.221. 급성 호흡부전 급성 호흡부전은 갑작스런 호흡기계의 장애로 정의할 수 있다. 충분한 산소를 얻지 못해 신체대사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애를 동반하여 생명이 위협을 받은 상태를 말한다. 안정 시에도 호흡기능이 불충분한 상태로 산소의 섭취와 탄산가스 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그 결과 저산소혈증과 과탄산혈증을 나타난다. PaCO2 50mmHg이상, PaO2 50mmHg이하이면 급성 호흡 부전으로 본다. 만성적으로 과탄산혈증인 사람은 원래 PaCO2 5mmHg정도만 증가되어도 급성 호흡부전으로 간주한다. 2. 급성 호...2025.01.22
-
ARDS 케이스2025.04.271.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RDS는 폐 손상이나 다양한 중증 질환으로 인해 비심인성 폐부종이 유발되는 급성 진행성 폐질환으로, 폐의 기능이 수일 내에 저하되어 동맥혈 내 산소분압이 떨어지거나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는 상태이다. 사망률은 50~80%로 높으며 ARDS 예방은 ARDS 고위험 대상자의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원인은 폐에 직접 손상을 가져오는 질환이나 전신작용으로 폐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 있으며, 흔히 관찰되는 원인은 패혈증, 외상, 흡인이다. 병태생...2025.04.27
-
ABGA, A-line 관리 간호2025.05.101.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 동맥혈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es analysis, ABGA)은 호흡기능의 지표로서 동맥혈에서 산소분압(PaO2), 이산화탄소 분압(PaCO2), pH, HCO3-,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여 폐의 가스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다. 검사대상은 호흡 문제나 대사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이며, 채혈 방법, 결과 분석, 산-염기 불균형의 유형과 증상, 저산소혈증과 고이산화탄소혈증의 증상 등을 설명하고 있다. 2. Arterial C...2025.05.10
-
ARDS 병태생리와 case 대학병원 발표 70페이지 marinos the little icu book 참고2025.05.161.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는 ICU 입원의 10%,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기계 환기치료하는 환자의 25%를 차지하는 미만성 염증성 폐 손상을 말한다. ARDS의 특징은 기계 환기, 불용성 저 산소혈증 등이며, 발병기전은 순환하는 호중구의 활성화로 시작된다. ARDS의 선행요인에는 폐렴, 폐 외 패혈증, 흡인 등이 있으며, 대부분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ARDS의 임상적 특징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침윤과 산소화 장애이다. 2.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