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6개
-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결과노트2025.05.121. 아보가드로수 결정 실험 이번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실험은 오차율 76.4%로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실험이었다. 이러한 오차가 나오게 된 요인에는 첫째, 용액을 실험자가 한 방울씩 떨어뜨리며 측정하여 각 방울의 부피가 일정하지 못했다. 둘째, 물통에 채운 물의 수면이 잔잔하지 않았다. 바람이 계속 불어 위치를 옮겨봤지만 그래도 바람을 피할 수 없어 수면이 약간 흔들리는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셋째, 스테아르산 단층막이 너무 빠르게 오그라들어 직경 측정이 정확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소수점 자릿수를 다르게 계산할 때마다 다른...2025.05.12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4. Thevenin 등가회로 설계2025.05.131. Thevenin 등가회로 설계 본 실험은 복잡한 회로를 간단한 등가회로로 만드는 Thevenin등가회로를 직접 설계, 제작, 측정하여 원본 회로 및 이론값과 비교하는데에 의의가 있다. 브리지회로를 구성하여 R_L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였고, 오차율이 0.3%로 비교적 정확한 실험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R_Th와 V_Th를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한 결과 오차율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한 등가회로 검증실험에서 복잡한 회로가 Thevenin의 정리가 적용됨을 오차율 0%로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R_L이 R_Th와 ...2025.05.13
-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15 휘스톤브릿지 결과보고서 <작성자 학점 A+>2025.04.282025.04.28
-
0.1N HCl 및 0.1N NaOH용액 제조 및 표정 결과레포트2025.01.031. 0.1N HCl 및 0.1N NaOH 용액 제조 및 표정 이번 실험은 염기 표준용액을 만들고 산을 이용하여 이 염기를 표정하는 것이다. 메틸 오렌지 지시약은 산성에서는 등적색, 염기성에서는 황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 실험에서 종말점을 잘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종말점에서의 색은 등적색과 황색을 섞은 황적색이 나왔다. 실험에서 적정에 사용된 NaOH의 평균은 22.9ml이다. 여기서 MV(HCl)=M'V'(NaOH) 식을 이용하면 실험에 사용된 NaOH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0.1M X 0.015L = xM X 0.02...2025.01.03
-
금오공과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 직렬과 병렬 회로 결과보고서2025.05.041. 직렬 회로 직렬 회로 실험에서 이론값과 실험값이 모두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전류(I)는 20mA, 전압(V_t)은 5V, 전압 강하(V_1, V_2)는 각각 3V, 2V로 나타났습니다. 오차율이 존재하지 않아 실험 결과가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병렬 회로 병렬 회로 실험에서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율이 작은 편입니다. 전류(I)는 이론값 83mA, 실험값 81mA로 2.41%의 오차율을 보였습니다. 전압(V_t)은 이론값 5V, 실험값 4.9V로 2%의 오차율을 보였습니다. 실험 결과가 이론값과 유사하다고 볼 ...2025.05.04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Wheatstone Bridge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결과 A+2025.01.121. Wheatstone Bridge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Wheatstone Bridge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Wheatstone Bridge 회로에서 검류계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P,Q 지점에서 등전위를 이루며, 이 과정에서 Ohm의 법칙과 저항의 정의를 이용하여 미지저항의 저항값을 구할 수 있다. 실제 실험 결과 이 식을 이용하여 멀티미터 값과 계산값을 비교했을 때 대체로 0~1% 정도로 근소한 오차율을 나타냈다. 1. Wheatstone Bridge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Wheatstone Bri...2025.01.12
-
물리화학실험 edtermination of conductivity coefficent 실험보고서2025.05.051.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KCl, CaCl2, KMnO4 수용액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각 이온의 이동도를 계산하였다. 농도별 당량전도도와 전도도상수를 구하고, 이를 통해 이온의 이동도를 계산하였다. 오차율은 5-10% 정도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강전해질일수록 이온화가 많이 일어나 당량전도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농도가 낮아질수록 이온의 활동면적이 넓어져 당량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1.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 전해질 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은 용액 내 이온의 농도와 이동도를 ...2025.05.05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Op Amp의 특성측정 방법 및 Integrator 설계2025.05.101. Op Amp의 특성 측정 이번 실험을 통해 이상적인 Op-Amp의 동작원리와 실제 Op-Amp간의 차이를 알 수 있었고, Offset voltage를 측정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Open Loop Gain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 파형을 관찰하였고, 이상적인 Open Loop Gain은 무한대이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매우 큰 이득을 갖게 되어 Saturation 전압에 가까운 출력 전압을 나타냈습니다. 오차율은 6.7%였습니다. 2. Integrator 설계 Integrator 회로를 구성하여 입력 사각파에 대한 출력 삼각파를 관찰...2025.05.10
-
[건국대]물리학및실험2 A+레포트(자필토의)-5콘덴서충방전2025.04.281. 콘덴서 충방전 이 실험에서는 RC 회로의 충전 및 방전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다양한 저항과 커패시터 값을 사용하여 충전 및 방전 그래프를 얻었고, 이론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실험값이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RC 회로의 시간 상수 τ(tau)가 RC 값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 콘덴서 충방전 콘덴서 충방전은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콘덴서는 전기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동 소자로, 전원 공급 장치, 필터...2025.04.28
-
충북대 일반물리학및실험2 A 키르히호프법칙2025.01.031. 키르히호프의 법칙 실험 6.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통해 실험값, 이론값, 오차율 등을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측정값과 이론값 사이의 오차율이 허용 범위를 벗어났는데, 이는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할 때 프로브 연결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문제와 전원 공급장치의 오류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험을 진행할 때는 가변저항의 프로브 연결 위치와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불량 여부를 주의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1. 키르히호프의 법칙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전기 회로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본 원리입니다. 이...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