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0개
-
심리평가-로샤검사에서 정서2025.01.131. EBper EBper는 EB값 중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나눠준 값으로, 피검자의 대처 유형이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지를 결정하는 변인입니다. EBper가 2.5 이상인 경우 외향적 유형이며, 의사결정 시 정서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EBper가 2.5 미만인 경우 내향적 유형이며, 의사결정 전 감정을 보류하는 관념적 스타일을 사용하지만 때로는 감정이 사고를 직접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2. eb 값 eb 값은 Sum FM + Sum m : Sum C'+ Sum T + Sum V + Sum Y로, 비일상적인 괴로운 경...2025.01.13
-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2) 정리2025.01.281.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제 2판(MMPI-2)의 타당도 척도 MMPI-2의 타당도 척도에는 ? 척도(무응답 척도), VRIN 척도(무선반응 척도), TRIN 척도(일관성 척도), F척도(비전형 척도), F(B)척도(비전형-후반부 척도), F(P)척도(비전형-정신병리 척도), FBS척도(증상타당도척도), L척도(부인척도), K척도(교정척도), S척도(과장된 자기제시 척도)가 있다. 이 척도들은 수검자의 검사 태도와 반응 양상을 파악하여 검사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2.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제 2판(MMPI...2025.01.28
-
성격평가의 방법을 설명하시오2025.05.041. 성격평가의 정의 및 유형 성격이란 개인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보이는 일관되고 독특한 행동 및 사고 양식이다. 성격평가는 이러한 개인의 독특한 성격 유형을 구조화된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성격평가의 유형에는 개인면접, 관찰, 객관식 검사, 투사 검사 등이 있다. 2. 성격평가의 측정방법 성격평가의 대표적인 측정방법으로는 MBTI, MMPI, 캘리포니아 검사, 성격요인검사, 다면적 인성검사 등이 있다. 이러한 검사들은 개인의 성격 유형, 적응 수준, 정신병리 등을 평가하는데 활용된다. 3. 성격평가의 실제 사례 실제로 고등학...2025.05.04
-
심리 평가의 유형과 특성2025.05.011. 인지검사 임상 심리학자들은 내담자의 심리 평가를 위해 다양한 심리 검사를 사용합니다. 이들 심리 검사 중 인지검사로는 카우프만 지능검사(한국판 K-ABC)와 스텐포드 - 비네 검사가 있습니다. 카우프만 지능검사는 아동의 문제해결과 사실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며, 좌뇌와 우뇌의 균형을 맞추어 지능을 발달시킵니다. 스텐포드 - 비네 검사는 언어 중심의 개인지능검사로, 정신연령을 측정하는 연령 척도를 사용합니다. 2. 성격검사 임상 심리학자들은 내담자의 심리 평가를 위해 다양한 심리 검사를 사용합니다. 이들 심리 검사 중 성격검사로는...2025.05.01
-
심리분석사2025.04.261. 성격 심리학 성격 심리학은 개인의 성격을 연구하고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 심리학 분야입니다. 성격의 개별적인 차이는 질적인 것이 아니라 양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성격의 5요인 이론은 성격을 구성하는 기본적 요소를 제시하며, 신경생물학적 모델도 제안되었습니다. 2. 심리평가 심리평가의 목적은 고객과 환경에 대한 정보를 증가시켜 이해를 확장하고, 문제를 명확히 하고 세분화하여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것입니다. 심리검사는 성격, 지능, 적성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정량적, 질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절차입니다....2025.04.26
-
심리검사의 필요성과 객관적/투사적 심리검사에 관한 내용2025.04.261. 심리검사의 정의 심리검사는 인간의 심리적 속성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는 과정이다.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측정하여 개인 간의 비교가 가능하고, 개인의 인격적, 특징적인 행동을 이해할 수 있고, 개인 내 비교도 가능한 심리측정방법이다. 성격, 지능, 적성, 흥미나 가치관 등과 같은 인간의 지적능력이나 심리적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도구을 이용해 양적, 질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2. 심리검사의 필요성 심리검사의 목적은 각 개인의 비교와 개인 내부의 통찰을 통하여 개인의 행동이나 성격을 ...2025.04.26
-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윤리2025.01.021. 임상심리학의 이해 임상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고통이나 장애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문 분야의 학문입니다. 임상심리학자는 심리평가, 심리치료, 연구, 교육, 자문 및 행정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임상심리학은 유사 분야인 정신의학, 상담심리학과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 2. 임상심리학자의 기능과 역할 임상심리학자의 주요 기능과 역할은 심리평가, 심리치료, 연구, 교육, 자문 및 행정입니다. 심리평가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상태와 문제를 진단하고, 검증된 심리치료 방법을 적용하여 증상을 경감시킵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새로...2025.01.02
-
영아의 행동 반응(영아의 표정, 빨기반응, 시각반응, 습관화와 탈습관화, 조건화반응과 모방)2025.01.291. 영아의 표정 영아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표정을 분석하는 방법은 영아의 정서 상태에 대한 자료로 많이 사용된다. 연구자들은 특정 정서의 지표로서 영아의 표정을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자료와 도구를 개발했다. 예를 들어 Izard(1979)는 MAX(maximally discriminative facial movement coding system)라는 평가체계를 개발해서 얼굴의 움직임을 최대한 구분해 분석하였다. 2. 빨기 반응 영아는 생존에 중요한 빨기반사 능력을 타고난다. 연구자들은 압력 측정이 가능하도록 특별히 제작된 인공...2025.01.29
-
임상심리학자의 역할과 자질2025.05.041.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임상심리학자는 연구, 심리평가, 심리치료, 교육,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임상심리학자가 수행하는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정신과 환자를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심리평가는 오랫동안 임상심리학자들의 주요 업무로 인식되어 왔으며 현재도 심리검사를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전문가집단이 바로 임상심리학자이다. 1990년대부터는 단독 개업을 하는 임상심리학자들이 생기고 있으며, 각종 기업체에서도 임상심리학자를 채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2. 임상심리학자의 자질 임상심리학자들은 비교적...2025.05.04
-
[성격심리학] 성격 5요인 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격특질에 대해서 살펴보고 성격의 5요인에서 주장하는 5개의 성격특질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또한 성격 5요인 이론의 긍정적 측면과 비판점에 대해 논하시오.2025.01.221. 성격 5요인 이론의 개념과 구성 성격 5요인 이론은 개인의 성격을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개방성의 5가지 주요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각 요인은 개인의 행동, 사고, 감정 등에 일관성 있는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성격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2. 성격 5요인 검사 결과 분석 본인의 성격 5요인 검사 결과, 외향성과 개방성이 높고 성실성이 중간 정도이며, 정서적 안정성은 비교적 높고 친화성은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인의 성격 특질을 분석하고, 각 요인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