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2개
-
신생아황달 고빌리루빈혈증2025.05.081.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hypervilirubinemia)은 혈청 내 빌리루빈이 상승되어 중추신경계 손상을 줄 수 있는 상태입니다. 이는 적혈구 모세포에서 헤모글로빈이 헴과 글로빈으로 분리되면서 비결합 빌리루빈이 생성되고, 이 비결합 빌리루빈이 간 효소와 결합하여 결합 빌리루빈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발생합니다. 신생아에서 황달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태아 헤모글로빈(Hb F)이 많고 간에서 빌리루빈 제거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2. 핵황달 핵황달(bilirubin encephalopathy)은 ...2025.05.08
-
아동간호학 A+ 받은 jaundice 황달 간호과정 보고서2025.05.131. 황달(jaundice) 황달은 혈색소와 같이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색의 담즙색소(빌리루빈)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쌓여 눈의 공막이나 피부, 점막 등에 노랗게 착색되는 것을 말한다. 빌리루빈은 간에서 gluconyl transferase 효소의 작용으로 알부민으로부터 분리되고 glucuronic acid와 결합하여 수용성인 conjugated bilirubin glucuronide(직접 빌리루빈)로 전환된 후 담즙으로 배출된다. 신생아에게 황달이 생기는 원인은 모유 수...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