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Rat 적출 회장에서 Atropine 투여 전후 Acetylcholine 농도에 따른 장력 변화 관찰 및 Rat에서 Acetylcholine 투여에 따른 혈압 변화 관찰2025.01.161. Acetylcholine의 작용 기전 Acetylcholine은 소화관 평활근과 혈관에서 모두 동일한 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한다. 그러나 소화관 평활근과 혈관에서 동일한 방향의 수축 또는 이완을 일으키지 않는다. 혈관에서의 작용은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는게 아니라 우선적으로 혈관내피세포에 있는 Receptor에 작용하여 NO를 방출시키게 되고 NO가 혈관 평활근으로 가서 신호전달을 야기하여 혈관 평활근 이완을 유발하게 된다. 장관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기전은 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하여 세포내...2025.01.16
-
약리학 간호 자율신경계 작용제 중간고사 기말고사 대비 예상 20 문제, 풀이 (객관식 오지선다, 퀼리티 좋음)2025.01.121. Phenylephrine Phenylephrine은 혈압 상승제이며,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게 금기이다. 또한 동공 확대제이며, 안구 내 투여 시 이차적으로 폐쇄각 녹내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2.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은 심장을 제외한 모든 교감신경 표적세포에 작용하며, 평활근 억제, 혈관 이완, 동공 확대, 심박수와 수축력 증가, renin 분비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3. 아드레날린성 약물 아드레날린성 약물에는 albuterol, epinephrine, dobutamine 등이 있으며, phenytoin은 아드레날린성...2025.01.12
-
[A+] [수선생님 극찬] 수술실 실습_ Billroth2 case (수술 준비물, 약물, 절차)2025.01.281. 위암 수술 위암 수술의 기본 원칙은 종양에서 충분한 안전거리까지 절제하고, 위 주위의 림프절을 절제하며, 모든 절제 조직을 한 덩어리로 떼어내는 것이다. 본 사례에서는 Billroth II 수술을 시행했는데, 이는 위암이 유문부에 위치해서 십이지장쪽으로 많이 잘라줘야 하거나 체부에 위치하는데 근위부에 위치해서 자르고 나서 위와 십이지장을 바로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된다. 수술 과정에는 전신마취, 수술 체위 설정, 피부 소독, 트로카 삽입, 대망 절제, 위 동맥 결찰, 십이지장 절제, 위 절제, 위-공장 문합 등의 단계가 ...2025.01.28
-
간호 약리학 3장 요약2025.01.151. 약물의 분류 약물의 분류 2부터 10주차비catecholamine류-Phenylephrine, Albuterol, amphetamine, ephedrine, pseudoephedrine->뇌에 작용 가능, CNS 흥분제(의존성 주의) / 메스암페타민이 제일 강함(히로뽕)에페드린이 슈도에페드린보다 효과가 강함 2. 약물의 작용 1) 호흡기계- 기관지 확장제 : 천식, COPD 치료- 베타2 수용체 흥분- 약물 : albuterol(salbutamol), salmeterol, terbutaline 선택적/E 비선택적- 부작용 : ...2025.01.15
-
2022 약리 총정리 REPORT2025.04.301. 부교감신경 작용제 부교감신경 작용제인 bethanechol(Urecholine)과 마이토닌정은 소변 정체(방광을 완전히 비우지 못함)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들은 콜린 수용체를 직접 자극하여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킵니다. 하지만 부교감신경 작용으로 인해 타액 분비 증가, 발한, 복부 경련, 저혈압 등의 유해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로 또는 장 폐색이 의심되는 환자나 천식 환자에게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2. 항콜린성 약물 항콜린성 약물인 atropine(Atro-pen, Atropain, Atropisol)은 항콜린에스테라아...2025.04.30
-
간호학과 약리학 알레르기 비염과 감기 치료제(상부호흡기) 중간고사 기말고사 족보 대비 문제2025.01.291. 비강 점막 비강 점막은 혈관이 풍부한 조직이며, 교감신경 활성화는 세동맥을 수축시켜 점액 분비를 감소시키고 비강 점막층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부교감신경 활성화는 세동맥을 확장시켜 점액 분비를 증가시키며 코막힘과 콧물을 악화시킨다. 비강 점막은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 점액을 분비한다. 2.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태생리는 비강 점막의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유리로 인한 재채기, 소양증, 눈물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호산구의 활동으로 인한 염증이 주요 원인이다. 3.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2025.01.29
-
수술실 마취과 약물(진정제 및 마약 포함) 종류 및 특성, 주의사항 레포트 A+2025.05.061. 수술실 마취 카트 수술실 마취 카트에는 다양한 약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acupan, salon, Metoclopramide, Chlorpheniramine, Dexamethasone, Ropivacaine, Nicardipine, Lidocaine HCL, Labetalol HCL, Phenylephrine, Furosemide, Ondansetron, nasea, Esmolol, Epinephrine, Ketorolac, Ephedrine, Glycopyrrolate, Pyridostigmine, Atropine 등이 있...2025.05.06
-
자율신경계 약물 정리(과제)2025.01.121. 교감신경(아드레날린)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동공이 확대되고 심장과 기관지가 확장되며 노르에프린과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 분비됩니다. 소화는 억제되고 포도당 분비가 증가하여 에너지를 대비하게 됩니다. 또한 방광을 이완시켜 뇨의를 느끼지 않게 하고 동공이 확대되며 침분비가 억제됩니다. 심박수와 혈압도 상승하게 됩니다. 교감신경 자극제는 이러한 작용을 돕고, 교감신경 억제제는 이러한 작용을 억제합니다. 2. 교감신경 자극(+) 교감신경 자극제, 아드레날린성 약물의 대표적인 약물은 phenylephrine입니다. 이 약물은 알파1 수...2025.01.12
-
급성담낭염 case study2025.01.151. Cholecystitis 급성담낭염은 결석담낭염과 무결석담낭염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결석담낭염으로, 이는 화학적 자극과 담낭관, 담낭경부 또는 총담관을 폐색시키는 담석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한다. 담낭에 염증이 생기면 정체된 담즙이 재흡수되고 담낭벽에 화학적 자극제로서 역할하게 되고, 이러한 담즙은 독성 효과를 갖는다. 재흡수된 담즙이 순환장애나 부종, 담낭팽창 등을 동반한 경우에는 담낭벽의 허혈 및 감염을 일으킨다. 그 결과 조직이 괴사되어 헐고, 담낭벽이 천공을 유발한다. 천공이 작고 국소적이면 ...2025.01.15
-
[A+ 보장]아동간호학실습 폐렴(Pneumonia)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25페이지 자료입니다.2025.01.211. 폐렴(Pneumonia) RS 바이러스 감염증은 R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유발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을 말합니다. RS 바이러스는 우리말로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이는 만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습니다. 이 바이러스에 한 번 감염되면 평생동안 지속적으로 재감염이 이루어집니다. 성인의 경우 가벼운 감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면역 저하자 또는 노령층에서는 중증 감염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RS 바이러스는 주로 모세 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행됩니다. 어린 아기가 RS 바이러스...2025.01.21